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Using Metaverse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소고

  • Received : 2022.11.25
  • Accepted : 2022.12.24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Metaverse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use of the Metaverse started for commercial purposes, and now its use is expanding to all areas, including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the domestic Metaverse platform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se of Metaverse for mathematics education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and most of the content is limited to mathematical games. However, there are a lot of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with Metaverse, and we need to develop the Metaverse platforms specialized for mathematics education with high-quality mathematics content. The researcher suggested to build infrastructure and operate a national level educational Metaverse platform, develop math-specific Metaverse platforms and mathematical content based on field-tested research on the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s. The researcher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to strengthen the utilization capacity of the Metaverse for mathematics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메타버스의 활용은 상업적인 목적에서 시작하여 이제는 교육을 포함하여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메타버스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수학교육을 위한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육을 위한 메타버스의 활용은 아직은 초기 단계로 수학 게임 등에 국한한 콘텐츠가 대부분이지만, 수학교육을 위한 많은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수학교육에 특화된 메타버스 플랫폼과 양질의 수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언으로, 기반시설의 구축, 국가 수준의 수학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구축과 운영,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에 대한 현장 적용 연구를 기반으로 한 수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 및 수학콘텐츠 개발, 메타버스의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연수를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2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연구지원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계보경 외 (2021). 메타버스(Metverse)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2021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21-6.
  2. 고선영, 정한균, 김종인, 신용태(2021).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 방향. 정보처리학회지, 28(1), 9-16.
  3. 고현주, 전재천 유인환 (2022).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플립러닝 프레임워크 개발 및 적용. J 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6(2), 129-140. https://doi.org/10.14352/jkaie.2022.26.2.129
  4. 고호경 (2020).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2), 223-237. https://doi.org/10.30807/KSMS.2020.23.2.003
  5. 교육부 (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6. 김난도 외 (2022). 트렌드 코리아 2023. 서울: 미래의 창.
  7. 김대식 (2022). 메타버스 사피엔스: 또 하나의 현실, 두 개의 삶, 디지털 대항해시대의 인류. 서울: 동아시아.
  8. 김상균 (2021).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메타버스. 경기: 플랜비디자인.
  9. 김수향, 문미경 (2021). 메타버스(Metaverse)와 미래교육 학습자 정체성 연구. 경기도교육원 이슈페이퍼 2021-09.
  10. 김용옥 (2014). 도울의 교육입국론. 서울: 통나무.
  11. 김준연 (2021). 메타버스 콘텐츠의 혁신 생태계와 지속 성장의 조건. Future Horizon (pp. 25-30). 1,2(49).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소.
  12. 김평원 (2021). 임장성(Telepresence)과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교육적 비계로 활용하는 메타버스 러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6), 69-80.
  13. 김희철, 김묘은, 박일준 (2021).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제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7(9), 253-265. https://doi.org/10.9708/JKSCI.2022.27.09.253
  14. 나해찬, 이유진, 김수영, 김윤상 (2022).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에 관한 연구: 사례 분석과 제언.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3(5), 827-836.
  15. 남미자 외 (2021). 학습자 주도성, 미래교육의 거대한 착각: 학교 없는 학습은 가능한가? 서울: 학이시습.
  16. 박문호 (2022). 박문호 박사의 빅히스토리 공부 우주의 탄생부터 인간 의식의 출현까지. 서울: 김영사.
  17. 박혜연, 손복음, 고호경 (2022).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분석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6(1), 1-21.
  18. 박휴용 (2021a). 메타버스 환경 속 가상학습의 이론적 토대 및 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제. 교사교육연구, 61(1), 35-56. https://doi.org/10.15812/TER.61.1.202203.35
  19. 박휴용 (2021b).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학습론. 전북: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 서울특별시교육청 (2021). 서울 수학학습 메타버스 이용안내.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21. 손정명, 이시훈, 한정혜 (2022).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소통 SW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1), 11-22.
  22. 안유미, 최재용 (2021). 메타버스(Metaverse) 우리의 미래다. 통계청 통계교육원. 통계의 창. Available from http://sti.kostat.go.kr/window/2021b/main/2021_win_08.html
  23. 엄미리 외 (2022). 메타버스 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교육문제연구, 35(3), 55-79.
  24. 오혜정 (2021). 메타버스 플랫폼의 유형별 사례를 통한 콘텐츠 활용방안. 인문사회21, 12(6), 2673-2684.
  25. 울산수학문화관 (2022). 울산수학문화관 메타버스 수학문화관. Available from https://usmcc.use.go.kr/we/exprn/onlnMath
  26. 윤주한, 이다민 (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양철학 교육에 관한 고찰-'VR챗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6(2), 275-288.
  27. 이명숙 (2021). 해커톤 수업사례를 통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6), 61-68.
  28. 이바른, 최은경 (2022).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4(10), 99-115.
  29. 이유택 외 (2021). 서울형 메타버스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보고서. 서교연 2022-24.
  30. 이임복 (2022). 메타버스: 이미 시작된 미래. 서울: 천그루숲.
  31. 이주호, 정제영, 정영식 (2021). AI 교육혁명. 서울: 시원북스.
  32. 이준석, 이대웅 (2022). 메타버스 콘텐츠의 재미 요소 분류.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6(8), 1148-1157. https://doi.org/10.6109/JKIICE.2022.26.8.1148
  33. 인천광역시교육청 (2022). 인천수학교육플랫폼. Available from http://www.xn-9d0bk0rzuim9emmaw8wz0ne 6bzta.com/
  34. 장지영 (2021).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게더타운(Gather.town) 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32(4), 279-301. https://doi.org/10.18209/IAKLE.2021.32.4.279
  35. 전영주, 김창일 (2021). 수학과 인공지능(AI) 핵심 개념과 <인공지능 수학> 내용 체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4(4), 391-405. https://doi.org/10.30807/KSMS.2021.24.4.004
  36. 전재천, 정순기 (2022).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2021년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12(2), 361-368.
  37. 정주영, 현정엽, 김종민 (2022). ICT 생태계 모형 기반 메타버스 유형의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 학회논문집 17(4), 206-212.
  38. 최인선 (2022).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중학교 통계 단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5(4), 149-174. https://doi.org/10.30807/KSMS.2022.25.2.003
  39. 팝스쿨 (2022). 열린 학교 활짝: 비주얼 수업. Available from https://popschool.co.kr/virtual/imList_pop.php
  4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2021). 2021년 교육정책네트워크 해외교육동향 기획기사(하). 연구자료 CRM 2021-111. 한국교육개발원.
  41. 황요한 (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교육 인식 및 만족도 사전조사: 이프랜드(ifland) 앱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3), 121-133. https://doi.org/10.5392/JKCA.2022.22.03.121
  42. 홍경숙 외 (2019). 학교 공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서울: 창비.
  43. 홍진욱, 한정완 (2022).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20(5), 627-635. https://doi.org/10.14400/JDC.2022.20.5.627
  44. A Publicat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2021). Global tends 2040: A more contested world. A Publicat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Washington, DC.
  45. Biesta, G. J. J. (2016). Giving teaching back to education: Responding to the disappearance of the teacher. Phenomenology & Practice, 6(2), 35-49. https://doi.org/10.29173/pandpr19860
  46. Dale, E. (1969).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3rd ed.). New York: Dryden Press.
  47. Deleuze, G., & Guattari. F. (1987).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Translated by Brian Massumi),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8.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cMillan.
  49. Einstein, A., & Shaw, G. B. (2012). Einstein: On cosmic religion and other opinions & aphorisms. New York: Dover.
  50. Esin, S., & Ozdemir, E. (2022). The Metaverse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opinion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Online Learning, 5(4), 1041-1060.
  51. Gartner (2021). 3 themes surface in the 2021 Hype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Available from https://www.gartner.com/smarterwithgartner/3-themes-surface-in-the-2021-hypecycle-for-emerging-technologies
  52. Hayles, N. K. (1999). How we become posthuman: Virtual bodies in cybernetics, liteature, and informa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3. Huizinga, J. (1949).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54. Im, T., Yang, E., Kim, K., & Rye, J. (2021). A study on user experience analysis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metaverse.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5), 679-695. DOI: 10.22251/jlcci.2021.21.15.679
  55. Industry Dive (2022). Should schools invest in the metaverse? Available from https://www.k12dive.com/news/should-schools-invest-in-the-metaverse/621266/
  56. Jagannathan, S. (2022). Education meets the Metaverse: Reimagining the future of learning. World Bank Group. Available from https://olc.worldbank.org/about-olc/education-meets-the-metaverse-reimagining-the- future-of-learning
  57. Krokos, E., Plaisant, C., & Varshne, A. (2018). Virtual memory palaces: Immersion aids recall. Virtual Reality.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007/s10055-018-0346-3
  58. McKinsey & Company (2022). Value creation in the metaverse: The real business of the virtual world. A report of McKinsey & Company, June 2022.
  59.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 teachers'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60. Narin, N. G. (2021). A content analysis of the Metaverse articles. J ournal of Metaverse Research Article, 1(1), 17-24.
  6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8). Student agency for 2030. Available from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teaching-and-learning/learning/student-agency/
  62. Ofgang, E. (2022). The Metaverse: 5 things educators should know. Available from https://www.techlearning.com/news/the-metaverse-5-things-educators-should-know
  63. Pimentel, D. et al. (2022). An introduction to learning in the Metaverse. Meridian Treehouse.
  64. Smart, J. M., Cascio, J., & Paffendorf, J. (2007). Metaverse roadmap overview. CA: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Available from http://www.metaverseroadmap.org/overview/index.html
  65. Stephenson, N. (1992). Snow crash. New York: Bantam Books.
  66.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67. TIMSS & Pirls (2022). TIMSS 2019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Available from https://timss2019.org/reports/
  68. Tlili, A. et al. (2022). Is Metaverse in education a blessing or a curse: A combined content and bibliometric analysis. Smart Learning Environments, 9(24), 1-31. https://doi.org/10.1186/s40561-021-00182-7
  69. Travers, C. (2022). Virtual humans. Available from https://www.virtualhumans.org/
  70.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3). The didactical use of model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n example from a longitudinal trajectory on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1), 9-35. DOI:10.1023/B:EDUC.0000005212.03219.dc
  71. Zhang, X., Chen, Y., Hu, L., & Wang, Y. (2022). The metaverse in education: Definition, framework, features, potential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topics. Frontiers in Psychology. Doi 10.3389/fpsyg.2022.1016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