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 of COVID-19 Preventive Behavior for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Metropolitan Area

수도권 거주 20-30대 성인 남녀의 코로나19 예방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문우진 (김포대학교 보건행정과) ;
  • 양혜정 (동원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 Received : 2021.12.28
  • Accepted : 2022.02.21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influencing factor of COVID-19 preventive behavior focused on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recently have a high infection rate of COVID-19.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questionnaire aimed at 210 people in their 20s and 30s of metropolitan area from July 10th to 19th in 20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 and COVID-19 preventive behavior, as perceived seriousness,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disability and perceived benefit,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s well conducted. Second, as perceived benefit of health belief get higher, the subjective norm is well observed. Third, as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come higher, COVID-19 preventive behavior is well conducted. Fourth, th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norm.

본 연구는 특히 최근 높은 감염율을 보이고 있는 코로나19 감염에 대하여 20·30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 남녀 2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1년 7월 10일부터 1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건강신념과 코로나19 예방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신념의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 지각된 이익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예방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신념의 지각된 이익이 높을수록 주관적 규범을 잘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예방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신념과 코로나19 예방행동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 김포대학교의 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https://news.joins.com/article/24100194
  2. http://ncov.mohw.go.kr/
  3. C. J. Atchison, L. Bowman, C. Vrinten, R. Redd, P. Pristera, J. W. Eaton, and H. Ward, "Perceptions and behavioural responses of the general public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urvey of UK Adults," MedRxiv, 2020.
  4. 장해, 박주식, 이경식,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해외감염병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적 행위단서로서의 SNS 구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3-50, 2019.
  5. 홍다예, 전민아, 조창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감염 예방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모델에 사회적 변인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22-35,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5.022
  6. 장창식, 행위단서로서 미디어 캠페인이 코로나19 예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예방효능감의 매개역할과 수치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7. I. M. Rosenstock, V. J. Strecher, and M. H. Becker, The health belief model and HIV risk behavior change, Preventing AIDS, Springer, Boston, pp.5-24, 1994.
  8. C. J. Carpenter,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predicting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Vol.25, No.8, pp.661-669, 2010. https://doi.org/10.1080/10410236.2010.521906
  9. 유선욱, 박계현, 나은영,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27-53, 2010.
  10. 유석조, 정현주, 박현순,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 및 백신 부작용 보도의 영향분석 : 건강신념모델과 계획된 행동이론 간 비교,"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3호, pp.283-319, 2010.
  11. I. Ajzen,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2 nd ed,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2005.
  12. 이병관, 오현정, 신경아, 고재영, "행위단서로서의 미디어 캠페인이 인플루엔자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4호, pp.108-138, 2008.
  13. G. H. Iwaya, J. G. Cardoso, J. H. D. Sousa, and A. V. Steil,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maintain social distancing," Revista de Administracao Publica, Vol.54, No.4, pp.714-734, 2020.
  1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15. 이윤재, 건강신념이 건강정보처리과정과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6. 김선화, 성미혜, 김윤아, 박혜진, "초등학생 딸을 둔 어머니의 HPV 예방접종의도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5권, 제3호, pp.285-298, 2019. https://doi.org/10.4069/kjwhn.2019.25.3.285
  17. 오향옥, 50세 이상의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고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8. 진경, 손애리, 김성민, 김용범, 홍영선, "사회규범인식과 음주태도에 대한 성별차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3-24, 2018. https://doi.org/10.14367/kjhep.2017.35.1.13
  19. 김지미, 이선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간호대생의 병원감염관리수행,"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29-238,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29
  20. I. Ajzen,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Action control,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11-39, 1985.
  21. 유우준, 소비자 정체성과 브랜드커피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