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sical Analysis on the Phrases of Chinese Poetry in Pansori Words

판소리 사설 중 한시 어구의 활용에 따른 음악적 분석

  • 김미숙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 Received : 2022.02.21
  • Accepted : 2022.03.24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way of utilizing phrases of Chinese poetry in Manjeongje and its musical characteristics. To this end, the roles of phrases contained in the Pansori words were classified into five patterns: landscape description, strengthening of pleasant emotions, strengthening of sad emotions, wordplay, and combination of various poems. As a result of analysis, phrases quoted in sad mood part consist of slow rhythm of Jinyangjo and Jungmori, and sad melody of Gyemyun-gil and Jingyemyun tone; thus, both the rhythm and melody are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ood of poems. On the other hand, the melody in the landscape description parts, and the rhythm in the joyful feeling and wordplay par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ing the mood. In addition, when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to the perspective of Pansori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discover novel texts, apply to editorials, and study musical implementation suitable for the original mood in order to create more artistic Pansori.

본 논문의 목적은 만정제 <춘향가>에 나타난 한시 어구의 활용 방식과 그 음악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설에 활용된 한시 어구들의 역할을 풍경 묘사, 즐거운 감정의 심화, 슬픈 감정의 심화, 언어의 유희, 여러 시의 재구 등 다섯 가지의 패턴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음악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슬픈 감정의 심화를 위한 한시 차용이 가장 많은 가운데, 슬픈 대목에 차용된 한시 어구들은 진양조, 중모리의 느린 장단과 계면길, 진계면성음의 애조 띤 선율로 구성됨으로써 장단과 선율이 모두 이면에 부합하게 표현되고 있는 반면, 풍경묘사 대목은 선율이, 즐거운 심정·언어유희 대목은 장단이 분위기를 좌우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 분석결과를 작창의 관점에 적용해볼 때, 보다 예술성 있는 판소리를 창작하기 위해서는 청중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 참신한 텍스트의 발굴과 사설에의 적용, 이면에 맞는 음악적 구현 방법 등을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106968)

References

  1. 정병헌, 판소리 예술론, 태학사, 2021.
  2. 김동욱, "판소리 삽입가요를 위한 시론," 논문집, 제7 권, pp.245-309, 1957.
  3. 민혜숙, "심청전 삽입시가의 고찰," 국어국문학연구, 제14호, pp.547-578, 1991.
  4. 임보연, 김동건, "장재백 창본 <춘향가>의 한시 어구의 수용 양상과 의미," 판소리연구, 제35집, 판소리학회, pp.183-215, 2013.
  5. 안순태, "열녀춘향수절가의 한시 어구 활용양상 연구," 한국한시연구, 제23권, pp.395-430, 2015.
  6.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도서출판 어울림, 2004
  7. 이성천, 음악통론과 그 실습, 음악예술사, 1971.
  8. 김미숙, 김소희 바디 <춘향가>의 사설구성과 음악적 특징, 민속원, 2016.
  9. 이수진, <남원고사> 소재 삽입한시 연구,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