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UD)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서울시 유니버설 디자인(UD) 관광지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백설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성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흥순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2.03.16
  • Accepted : 2022.04.11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In 1991, the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 (UNWTO) declared "tourism accessible for all" recommending the practice of the right to enjoy tourism.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19), the disabled, who are the most vulnerable in tourism, accounted for 5.1%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the elderly over 65 is expected to increase to 20.3% by 2025. In particular, the need for customized policies has been raised as the proportion of disabled people among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continues to increase. Thus, this study identifi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UD) tourist destinations considering the tourism vulnerable groups. Administrative units (425 dongs) in Seoul were used as spatial units for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first, a spatial model was specified through LM verification, and the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D tourist destination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the number of universally certified businesses, the number of restaurants, and the number of bus stops that were available to the vulner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universal certified businesses, restaurants, and bus stops in dongs with UD tourist destinations. The findings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when promoting the right to enjoy tourism in the future and improving Korean universal design quality.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는 1991년 관광약자를 위한 '모두를 위해 접근 가능한 관광'을 선언하며 관광향유권의 실천을 권고하였다. 보건복지부(2019)에 따르면 관광약자인 등록장애인은 전체 인구 대비 5.1%이며,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맞춤형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관광 취약계층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광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행정동(425개)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20년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LM 검증을 통해 적합한 공간 모형을 추정한 후, 적합한 모형을 적용한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 관광지의 공간적 특성은 관광약자가 이용 가능한 시설로 인증된 유니버설 인증업소 수, 외식업소 수, 버스정류장 수와 정(+)의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유니버설 디자인 관광지가 밀집된 행정동에 유니버설 인증업소와 외식업소, 버스정류장이 다수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관광향유권의 도모를 위한 정책과 국내의 유니버설 디자인 정책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박광재.전현정.강지혜.이주형(2007), "일본 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3(12): 95~102.
  2. 강영애.송화성(2021), "관광 취약계층으로서 장애인과 고령자의 여가제약 비교 연구 : 열린 관광지 정책 관점에서", 「관광연구」, 36(1): 89~111.
  3. 문지원.김상희.최동식(2011), "K대학 캠퍼스 보행공간에 대한 K대학 캠퍼스 보행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2): 273~285.
  4. 문화체육관광부(2014.05.02), "장애인.저소득층 등 관광취약계층의 관광복지 증진 위한 「관광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5. 민병아.이연숙.이수진(2010),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디자인서울거리 평가 연구: 남대문로, 능동로, 강남대로, 천호대로의 4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6(12): 13~24.
  6. 박경옥(2019),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관광환경 조성] 여행향유권 기본권리를 우선적으로 보장하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부산관광 조성필요", 「부산발전포럼」, 180: 46~51.
  7. 반정화(2018), "장애인 관광시장 활성화 기반 마련하고 전문인력 확충.정보네트워크 구축 필요", 「국민여행실태조사 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8. 보건복지부(2020.04.19),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장애인 지속 증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9. 서울관광재단(2020), 「서울특별시 모두가 접근가능한 숙박|음식점|카페」, 서울관광재단.
  10. 이경찬.민웅기.김남조(2012),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생태관광지로의 적용 가능성", 「관광연구」, 27(5): 423~442.
  11. 이규일(2021),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유니버설 디자인 7원칙의 적용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 20(1): 1~10. https://doi.org/10.7743/KISEE.2021.20.1.001
  12. 이영진.손영민(2011), "장애인의 관광접근성 개선을 위한 해변 관광지의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적용",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4): 349~374.
  13. 이희연.노승철(2012), 「고급통계분석론」, 고양: 문우사.
  14. 조민정.최상헌(2009),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본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5~170.
  15. 최길동.곽봉철(2013), "도시 내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추진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4): 275~283.
  16. 하은경(2004), "공간계획에 있어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0(4): 1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