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establishment of Korean Names of Imported Fisheries Crustaceans

수입 수산 갑각류의 국내 명칭 재정립

  • Park, Wongyu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eonghye (Department of Coastal Fisheries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박원규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 김영혜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Received : 2020.01.12
  • Accepted : 2022.02.15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e use of uncertain names for imported crustaceans causes considerable confu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public market. Therefore, there have been demands for reestablishment of the domestic names of imported fish to correct the market order and to prevent damage caused by confusion among consumers. A total of 118 species of imported fisheries crustaceans were reviewed (47 crab spp., 36 shrimp spp., 27 lobster and crayfish spp., five mantis shrimp spp., and three horseshoe crab spp.). Although not belonging to the Subphylum Crustacea, three species of the Subphylum Chelicerata and five species of the Order Stomatopoda were included for review. Of these, 49 species that require Korean name assignment and reexamination of domestic names were selected and Korean names were assigned.

Keywords

서론

지난 10년간 국내로 수입되는 갑각류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국내로 수입되는 수산물 총량은 총 150여개국에서 550 만톤, 56억달러에 달했다(MOF, 2021a). 2011년에 수입된 갑각류는 총 1만 1천톤에 달했고, 가격으로는 9천 7백만달러였으나, 10년이 지난 2020년에는 4만 9천톤에 이르렀고, 가격으로는 6억 3천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수입되는 양으로서는 약 4.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가격으로는 6배 이상 증가하였다. 수입되는 종의 수도 점점 증가하여 2011년에 19종이던 것이 2019년에는 무려 56종의 갑각류가 수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F, 2021a, 2021b). 수입되는 종의 수만 증가한 것이 아니라 대상 국가 수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동남아시아산 수입해양 갑각류 도감(Kim et al., 2018) 이발간되었으나 지역적으로 제한되어 있어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데는 부족하다. 국민 먹거리로 자리잡아가는 수입수산물의 관리는 증가하는 수입물의 양이나 가격만큼 체계적으로 잘 관리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더욱이 수입산과 국내산 어종의 유사한 명칭으로 인해 유통시장의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국산 수산물의 가치하락으로 국내 어가가 어려움을 겪고 소비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입 어종의 유통질서를 바로잡고 소비자의 어명 혼동으로 인한 피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수입 어종의 국내 명칭의 재정립이 요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수산물의 가치 하락과 소비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수입 수산 갑각류의 유통 상의 국내 명칭을 조사하고, 수입산 갑각류 50종의 국내 명칭을 검토하고 재정립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수입 갑각류 현황

2011년에서 2020년까지 국내로 수입된 수산물 중 갑각류 만을 분류하여 수입량(ton)과 수입액($)으로 구분하여 연도별 변동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입 현황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수입 검역 통계(MOF, 2021b)를 기반으로 하여 정리하였다.

수입 갑각류의 국내 명칭 검토

수입된 갑각류의 유통질서 혼란 및 소비자 피해 발생 유발 사례를 파악하고자 수입된 갑각류의 국내 명칭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수입 검역 통계(MOF, 2021b)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MFDS, 2021)을 참고하였고, 인터넷을 통하여 유통되는 국내 명칭을 조사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특정 종의 국명으로 표기되었더라도 실제로 수입된 갑각류의 국명 또는 학명이 일치하지 않거나 의심스러운 사례를 파악하였다.

국내 명칭 재정립 대상 갑각류

2011년에서 2020년까지 국내로 수입된 수산물 중 갑각류 만을 대상으로 국내 명칭 재정립이 필요한 대상종을 선별하였고, 국내산을 갑각류를 대상으로 제작된 도감들(Kim, 1973a, 1973b; Kim, 2012a, 2012b)과 동남아시아산 수입 해양 갑각류 도감(Kim et al., 2018) 등을 참조하여 대상종을 선별하였다.

결과

수입 수산 갑각류 현황

2011년에는 20종이 채 되지 않는 19종의 갑각류가 수입되었으나, 매년 증가세를 타고 2020년에는 무려 56종의 외국산 갑각류가 수입되었다. 수산물 종의 증가와 더불어 수입양도 증가세를 이루고 있다(Fig. 1). 2011년 11, 430톤을 수입하였고, 2013년에 34, 671톤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수입량이 감소하였다. 2014년에는 1, 184 톤으로 2011년 이후 최저를 기록한 후 다소 증가세와 감소세를 유지하다 2018년 이후에는 급격한 수입량을 기록하였다(Fig. 1). 수입된 갑각류는 게류 47종, 새우류 36종, 가재·닭새우류 27종, 갯가재 5종, 투구게류 3종 등, 총 118종이었다. 분류군상 갑각아문 (Subphylum Crustacea)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통상적으로 갑각류로 인식되고 있는 협각아문(Subphylum Chelicerata)에 속한 투구게류 3종을 포함시켰다.

Fig. 1. 2011-2020 yearly imported amount of crustaceans in Korea.

수입 갑각류의 유통명칭

여러 종이 하나의 유통명으로 유통되는 예

유통명은 식품판매업자가 임의로 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의 수입 검역 통계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공정 상의 명칭과 수입 시 관계기관의 명칭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한 가지 명칭 안에 여러 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 소비자가 혼돈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소지가 있었다(Table 1). 도화새우로 유통되는 종으로는 Pandalus hypsinotus, P. jordani, P. montagui, P. platyceros, Heterocarpus laevigatus 그리고 H. reedi가 있었고, 바다가재로 유통되는 종으로는 Homarus americanus, H. gammarus, Jasus lalandii 그리고 J. edwardsii 가 있었다. 닭새우로 유통되는 종으로는 Panulirus japonicus, Panulirus argus 그리고 Panulirus interruptus가 있었다.

Table 1. Cases of multiple species traded under one species

유통시장에서 유통되는 국내 명칭

국내 유통시장에서 유통되는 이름들은 유통업자가 임으로 영어를 한국어로 Cancer pagurus는 브라운크렙으로, 가시투성왕게(Paralithodes brevipes)가 공인된 이름이나 갈색왕게, 하나사키왕게로 유통되고 있었다. Pandalus borealis는 북방 분홍 새우로, Nephrops norvegicus는 노르웨이바다가재로, Penaeus aztecus는 북부갈색새우로, Penaeus esculentus는 갈색 호랑이 새우로 유통되고 있었으나 국내 어느 도감에도 나와있지 않은 명칭들이었다. Penaeus indicus는 국내 명칭없이 거래되고 있었으며, Penaeus kerathurus는 각종 신문에 알제리 양식관련 기사에서 거론된 이름인 지중해토속새우로 유통되고 있었다. 또한 주로 저가 게장전문점에서 무한으로 제공되는 Portunus san- guinolentus는 삼점게로, Portunus pelagicus로 추정되는 절단 게는 절단꽃게로, 보리새우와 유사하게 보이는 Penaeus semi- sulcatus는 자연산깅타이거새우와 홍다리블랙타이거로 유통되고 있었으며, 흰다리새우인 Penaeus vannamei는 대하로 유통되고 있었다(Table 2).

Table 2. Examples of distributions named by distributors

종명 확인이 불가능한 예

수입 시 통관과정의 명칭과 식품공전상의 명칭이 상이하여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유통업자가 임의로 명칭을 정하여 유통명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많았다. 이 중에는 종명 확인이 전혀 어려운 경우도 있었는데 대개의 경우 절단된 상태이거나 대단위로 냉동되어 오는 경우가 해당되었다. 얼룩새우(Penaeus monodon) 로추정되는 상품은 블랙타이거새우로 유통되고 있고 있었으며, 대하로 추정되는 상품은 왕새우로, 흰다리새우로 추정되는 상품은 흰다리 화이트새우로 유통되고 있었다. 아예 추정이 불가한 경우도 있었는데 중국산 민물가재, 손질꽃게, 베이비크렙, 초 새우 초밥새우, 손질깐새우, 냉동새우, 홍새우살, 요리용새우, 찐 새우, 분홍새우, 그리고 민물새우 등의 유통명이었다.

국내 명칭 재정립 대상 수입 갑각류

비교적 종의 동정이 가능하여 공인된 국내명칭이 요구되는 50 종을 선별하여 간략한 특징을 기술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기술하였다.

Subphylum Crustacea Brünnich, 1772 갑각아문

Class Malacostraca Latreille, 1802 연갑강

Order Decapoda Latreille, 1802 십각목

Suborder Pleocyemata Burkenroad, 1963 포란아목

Infraorder Brachyura Latreille, 1802 단미하목

Superfamily Cancroidea Latreille, 1802 은행게상과

Family Cancridae Latreille, 1802 은행게과

Genus Cancer Linnaeus, 1758

Cancer borealis Stimpson, 1859 조나 게

영명: Jonah crab

신칭: 북쪽은행게(북쪽을 의미하는 borealis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최대 18 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갑각 너비는 수컷은 최대 222 mm, 암컷은 150 mm를 초과하지 않는다. 윗부분은 보통 붉은색, 아랫부분은 노란빛을 띠며 때로는 다리에 노란색과 붉은색 얼룩이 있다. 몸은 던저네스 크렙과 같이 타원형이나 더 큰 집게발을 가진다[사진 참조(http://asq. kr/Y6sxPL2)].

Cancer pagurus Linnaeus, 1758 국내 명칭 없음

영명: Brown crab

신칭: 둥근은행게(갑각의 모양이 둥근 파이 모양을 가지는 데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은 타원형이며 적갈색을 띤다. 몸집이 큰 개체는 최대 25 cm이지만 몸길이는 보통 15 cm에 이른다. 집게발의 집게와 앞마디는 가장자리가 검으며, 수컷의 집게발은 암컷보다 더 단단하다[사진 참조(http://asq.kr/GlhU0)].

Superfamily Grapsoidea MacLeay, 1838 바위게상과

Family Gecarcinidae MacLeay, 1838 뭍게과

Genus Cardisoma Latreille, 1828 큰뭍게속(영명 large land crab에서 명명)

Cardisoma carnifex (Herbst, 1796) 국내 명칭 없음

영명: Brown land crab

신칭: 붉은발큰뭍게(영명 red-claw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12 cm 정도이다. 갑각은 타원형에 가까우며 색은 갈색에서 회갈색을 띤다. 외지의 세 번째 악각은편모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강모로 덮여있다. 수컷은 뿔모양의 첫 번째 유영지 끝부분은 비대칭이며, 외부모서리는 이빨형이다. 암컷의 생식관은 측면 가장자리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사진 참조(https://url.kr/rlgbue)].

Genus Gecarcinus de Saussure, 1853 신칭: 뭍게속(영명 land crab에서)

Gecarcinus quadratus de Saussure, 1853 국내 명칭 없음

영명: Halloween crab

신칭: 할로윈뭍게(영명 Halloween crab은 외형의 무늬가 할로윈 장식모양이어서 칭함)

형태학적 특징: 갑각 길이는 5 cm에 이르며, 대부분 집게발은 자주색, 다리는 붉은 주황색을 띤다. 눈 뒤에는 노란색, 주황색 또는 붉은색 반점이 있으며, 중앙 하부 갑각에는 흰색 반점이 있다. 눈과 눈 사이에 긴 타원형의 노란 점무늬가 있다[사진 참조 (https://url.kr/aukewt)].

Superfamily Portunoidea Rafinesque, 1815 꽃게상과

Family Carcinidae MacLeay, 1838

Genus Carcinus Leach, 1814 신칭: 녹색꽃게속

Carcinus maenas (Linnaeus, 1758) 국내 명칭 없음

영명: European green crab

신칭: 유럽녹색꽃게(영명이 European green crab이므로 명명)

형태학적 특징: 갑각은 최대 길이 6 cm 및 너비 9 cm 정도 이며 눈 뒤쪽 가장자리를 따라 5개의 짧은 톱니가 있다. 눈 사이에 3 개의 굴곡이 있어 밀접한 종인 Carcinus aestuarii와 구분된다. 색은 녹색부터 갈색, 회색, 적색까지 매우 다양하며 탈피가 지연되는 개체는 녹색보다는 적색으로 변한다[사진 참조(http:// asq.kr/XBAZxd)].

Family Geryonidae Colosi, 1923

Genus Chaceon Manning & Holthuis, 1989 신칭: 심해꽃게속

Chaceon fenneri (Manning & Holthuis, 1984) Golden crab 국내 명칭 없음

영명: Golden deepsea crab

신칭: 금색심해꽃게(영명 golden deepsea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갑각은 길이보다 너비가 더 넓으며, 갑각 길이는 수컷은 34-139 mm, 암컷은 39-118 mm정도이다. 포란한 암컷의 크기는 91-118 mm이다. 갑각의 전외측 톱니는 5개이며, 두 번째와 네 번째는 축소되어 있다. 몸의 색은 황갈색을 띤다[사진 참조 (http://asq.kr/ZiS5Bw3)].

Chaceon quinquedens (Smith, 1879) 국내 명칭 없음

영명: Deep-sea red crab

신칭: 대서양심해꽃게(영명 Atlantic deepsea crab)

형태학적 특징: 갑각의 최대 길이는 수컷은 최대 18 cm, 암컷은 13.6 cm 정도이다. 대게와 비슷한 생김새에 다섯 번째 다리가 납작하지는 않으나, 꽃게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띤다[사진 참조(http://asq.kr/z3uwd8)].

Family Portunidae Rafinesque, 1815 꽃게과

Genus Callinectes Stimpson, 1860 푸른꽃게속

Callinectes sapidus Rathbun, 1896 국내 명칭 없음

영명: Blue crab

신칭: 미국꽃게

형태학적 특징: 일반적으로 전면부, 특히 집게발을 따라 밝은 청색으로 쉽게 구분되며, 몸의 나머지 부분은 올리브색을 띤다. 수컷은 복판이 뒤집힌 T자 모양이며 암컷은 넓은 삼각형 또는 둥근 모양이다. 갑각 길이는 최대 25 cm 정도이며 갑각 너비는 길이의 약 2배이다. 갑각의 톱니 수는 4개로, 6개를 가지는 Callinectes ornatus와 구별된다[사진 참조(https://url.kr/7hgdwk)].

Scylla serrata Forskål, 1775 톱날꽃게

영명: Giant mud crab

신칭: 큰톱날꽃게(영명 Giant mud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최대 갑각 너비는 수컷 기준 25-28 cm이다. 갑각은 매끄러우며 전면부에 4개의 넓은 돌출부가 있고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다. 갑각 가장자리에는 9개의 넓은 톱니가 있으며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다. 몸은 진청색 혹은 청록색을 띤다[사진 참조(https://url.kr/fgqv3a)].

Superfamily Hymenosomatoidea MacLeay, 1838 말랑게상과

Family Hymenosomatidae MacLeay, 1838 말랑게과

Genus Limnopilos Chuang & PKL Ng, 1991 신칭: 작은거미게속

Limnopilos naiyanetri Chuang & PKL Ng, 1991 국내 명칭 없음

영명: Thai micro crab

신칭: 작은거미게(영명 micro spider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둥근 갑각이 최대 1 cm 정도이며 기본색은 연회색으로 갑각에 무늬가 있다. 집게발과 다리는 갈색에서 연한 베이지색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사진 참조(https://aquati- carts.com/products/thai-micro-crabs)].

Superfamily Majoidea Samouelle, 1819 물맞이게상과

Family Inachidae MacLeay, 1838 거미다리게과

Genus Macrocheira De Haan, 1839 거미게속

Macrocheira kaempferi (Temminck, 1836) 국내 명칭 없음

영명: Japanese spider crab

신칭: 일본거미게(영명 Japanese spider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절지동물 중 가장 크며 갑각 크기는 약 37 cm 이며 집게 사이 길이는 약 4 m에 이른다. 갑각은 반원형 모양으로 머리 부분이 좁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기가 약간 작지만 넓은 복부가 있다. 성체 수컷은 집게가 유영지보다 훨씬 길고 오른쪽과 왼쪽 집게 크기가 같은 반면 암컷은 유영지보다 짧은 집게를 가진다. 체색은 진한 오렌지색에서 연한 황갈색이며 다리를 따라 흰 반점이 있다[사진 참조(http://asq.kr/ysnlzn)].

Family Mithracidae MacLeay, 1838

Genus Mithraculus White, 1847 신칭: 애기거미게속

Mithraculus sculptus (Lamarck, 1818) 국내 명칭 없음

영명: Green clinging crab

신칭: 녹색애기거미게(영명 Emerald crab에서 에머랄드의 색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약 4 cm까지 성장하며 체색은 녹색으로 집게의 끝부분은 흰색이다. 갑각은 편평하고 집게보다 크기가 크며 흰색 물질이 부착된 돌기를 가진다. 유영지는 털이 부착되어 있고 외피로 덮여 있다[사진 참조(http://asq.kr/ZU1fu8x)].

Family Oregoniidae Garth, 1958 긴집게발게과

Chionoecetes angulatus Rathbun, 1924 대게

영명: Triangle tanner crab

신칭: 삼각대게(영명 triangle tanner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Chionoecetes tanneri과 유사하나 갑각 중앙에 넓은 홈이 있고 측면에 하나의 큰 가시가 있어 구분된다[사진 참조(https://url.kr/6ig53n)].

Chionoecetes bairdi Rathbun, 1924 대게

영명: Bairdi crab

신칭: 베어다이대게(이종의 명명시 Baird박사의 이름을 가지고 명명)

형태학적 특징: 갑각 너비는 수컷은 약 14 cm, 암컷은 약 8 cm 정도이다. 두 개의 넓고 납작한 이마뿔을 가지며 갑각은 넓고 타원형이다. 유영지는 집게 보다 길며, 긴마디가 약간 부풀어 올라 납작한 형태이며 긴마디와 발목마디 사이에 가시가 있다. 성체는 녹색-갈색으로 오렌지색 가시를 가지며 복부는 분홍색이다[ 사진 참조(http://asq.kr/XuGTaf)].

Superfamily Potamoidea Ortmann, 1896 포타몬상과

Family Potamidae Ortmann, 1896 포타몬과

Genus Geothelphusa Stimpson, 1858 신칭: 도랑게속

Geothelphusa dehaani (White, 1847) 국내 명칭 없음

영명: Japanese freshwater crab

신칭: 도랑게(서식지가 작은 하천이나 도랑에서 기인하여 명명)

형태학적 특징: 민물에서 주로 서식한다. 갑각 너비는 약 20- 30 mm이며 표면에 털이나 돌기가 없고 매끄럽다. 수컷의 경우 오른쪽 집게가 왼쪽보다 크지만 예외도 있다. 체색은 서식지 환경에 따라 자줏빛-검은색, 적갈색, 회청색 3가지로 나뉜다[사진 참조(http://asq.kr/yszPeeB)].

Infraorder Anomura MacLeay, 1838 이미하목

Superfamily Aegloidea Dana, 1852 신칭: 바퀴가재상과

Family Aeglidae Dana, 1852 신칭: 바퀴가재과

Genus Aegla Leach, 1816 신칭: 바퀴가재속

Aegla platensis Schmitt, 1942 국내 명칭 없음

신칭: 바퀴가재(바퀴벌레를 닮은 데서 명명, 온라인에서 통용)

형태학적 특징: 복부가 부분적으로 흉부에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수컷의 평균 길이는 19.2 mm, 암컷의 평균 길이는 19.1 mm이다[사진 참조(https://url.kr/bi6lkh)].

Superfamily Paguroidea Latreille, 1802 집게상과

Family Calcinidae Fraaije, Van Bakel & Jagt, 2017 신칭: 산호집게과

Genus Calcinus Dana, 1851 신칭: 산호집게속

Calcinus laevimanus (Randall, 1840) 국내 명칭 없음

신칭: 산호집게(주로 산호초에 서식하는 데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집게를 가지며 복족류 껍데기에 몸을 숨긴다. 몸길이는 최대 30 mm, 갑각 너비는 최대 8 mm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왼쪽 집게가 오른쪽보다 훨씬 크며 체색은 일반적으로 갈색-회색이다[사진 참조(https://www.marinespecies.org/photo- gallery.php?album=717&pic=142864)].

Superfamily Paguroidea Latreille, 1802 집게상과

Family Coenobitidae Dana, 1851 뭍집게과

Birgus latro (Linnaeus, 1767) 코코넛 게

영명: Coconut crab

신칭: 야자게

형태학적 특징: 대부분의 소라게와는 달리 미성체기의 어린 개체들만 복족류 껍질을 이용해 몸을 보호하며 성장하면서 외골격을 발달시킨다. 성체는 최대 1 m까지 성장하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집게를 가지며 왼쪽 집게가 오른쪽보다 크다. 서식하는 섬에 따라 체색의 차이가 있으며 보라색-파란색에서 오렌지색-붉은색까지 다양하다[사진 참조(https://www.marinespe- cies.org/photogallery.php?album=717&pic=48012)].

Coenobita brevimanus Dana, 1852 국내 명칭 없음

영명: Indonesian hermit crab

신칭: 작은손뭍집게[종명의 Latin name (brevi=small, manus= hands)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성체는 최대 230 g까지 자라며 갈색-붉은색이다. 육지 생활로 인해 복부에 폐를 보유하며 작은 크기의 아가미를 지닌다. 검은색 눈자루와 불균형적으로 큰 짙은 보라색의 집게로 다른 종과 쉽게 구분한다. 동일 속의 다른 종들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의 복족류 껍데기를 선호한다[사진 참조(http:// crustiesfroverseas.free.fr/illustration.php?n=8&irenavID=484)].

Superfamily Lithodoidea Samouelle, 1819 왕게상과

Family Lithodidae Samouelle, 1819 왕게과

Lithodes aequispinus Benedict, 1895 왕게붙이

영명: Golden King Crab

신칭: 황색왕게(왕게붙이에서 붙이란 말은 한국어로 가족을 의미함으로 적절하지 않아 보임. 영명 golden king crab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다섯 쌍의 다리를 가지며, 첫 쌍은 집게를 가진다. 오렌지-갈색 혹은 황금색을 띈다. 큰 가시가 달린 얇고 긴 다리를 가지지만, 왕게와 청색왕게에 비해 훨씬 작고 갑각 너비는 약 25 cm정도이다. 이들은 독특한 갑각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5-9개의 가시가 갑각 중간에 위치한다[사진 참조(https:// url.kr/j48xue)].

Lithodes santolla (Molina, 1782) 국내 명칭 없음

영명: Southern king crab

신칭: 칠레왕게(칠레에서 주로 생산되고 수입된 데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갑각 길이가 최대 19 cm까지 클 수 있는 대형 게이다. 둥근 배 모양의 몸통과 긴 다리를 가지며 분홍빛과 붉은빛을 띤다. 갑각 전체가 날카롭고 가벼운 가시로 뒤덮여 있다[ 사진 참조(http://asq.kr/xlLWKV)].

Infraorder Caridea Dana, 1852 생이하목

Superfamily Palaemonoidea Rafinesque, 1815

Family Palaemonidae Rafinesque, 1815 줄새우과

Palaemon paludosus (Gibbes, 1850) 줄새우

영명: Riverine grass shrimp

신칭: 강변줄새우(영명 Riverine grass shrimp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최대 길이 46 mm로 몸은 길고 대부분 투명하다. Palaemonetes kadiakensis와 유사하지만 미절의 가시 배열에 차이를 보인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유영지의 형태에 있어 수컷과 암컷은 차이를 보이며, 수컷은 암컷에 비해 첫 번째 유 영지의 내지가 더 크다. 이마뿔의 등쪽면에 6-8개의 이빨을 가지고, 복면에는 3-4개의 이빨을 가지며 끝에는 존재하지 않는다[사진 참조 (http://asq.kr/xPVWR49)].

Macrobrachium lanchesteri (de Man, 1911) 징거미새우

영명: Riceland prawn

신칭: 란체스터징거미새우(Lanchester의 이름을 가지고 명명)

형태학적 특징: 포란한 암컷의 전체 길이는 33 mm, 수컷의 최대 길이는 62 mm의 작은 종이다. 편평한 몸체에 상대적으로 큰 복부를 가지고 있다. 반투명한 몸을 가지고 있으며, 갑각 측면을 따라 세로 혹은 사선의 갈색 선이 있다. 이마뿔의 말단은 톱니 모양이 아닌 매끄럽다[사진 참조(https://diszhal.info/halak/ Macrobrachium_lanchesteri.jpg)].

Superfamily Pandaloidea Haworth, 1825 도화새우상과

Family Pandalidae Haworth, 1825 도화새우과

Genus Heterocarpus A. Milne-Edwards, 1881 신칭: 도롱이 새우 속

Heterocarpus laevigatus Spence Bate, 1888 도화새우

영명: Smooth nylon shrimp

신칭: 매끈도롱이새우(종명의 laevigatus=smooth와 머리 부분이 도롱이를 걸친 것 같은 모양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최대 몸길이는 수컷 181 mm, 암컷 180 mm 정도이다. 최대 갑각 길이는 거의 50 mm이다. 확연히 휜 등을 가지고 중심 갑각 측면으로 수직 자국이 있으며, 이마뿔 앞쪽 윗부분은 매끄럽다. 독특한 적갈색 체색을 띄며 꼬리 부분에 흰 점을 가진다. 다리는 다섯 번째 쌍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붉으며, 복부 부분은 가시가 없다[사진 참조(http://asq.kr/ZpKbL6)].

Heterocarpus reedi Bahamonde, 1955 도화새우

영명: Chilean nylon shrimp

신칭: 리디도롱이새우(reedi의 종명을 사람이름 Reed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이마뿔을 제외한 최대 갑각 길이는 수컷이 34 mm, 암컷이 39 mm이다. 두 번째 흉지는 비대칭인 쌍을 이루는데 한쪽은 가늘고 길며 다른 한쪽은 짧지만 강한 형태를 보인다[사진 참조(https://www.ifop.cl/wp-content/uploads/2018/04/ camaron-nailon-11.jpg)].

Pandalus borealis Krøyer, 1838 북쪽분홍새우

영명: Northern shrimp

신칭: 북방도화새우(종명 borealis에서 boreal은 북쪽을 의미하나 P. eous가 이미 북쪽분홍새우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 명명)

형태학적 특징: 수컷 크기는 두흉갑장 20.4 mm, 전장 121 mm, 암컷은 두흉갑장 26.1 mm, 전장 150 mm이다. 몸은 비교적 가늘고 길며 표면은 매끈하고 털이 없다. 이마뿔은 갑각 길이의 1.5-2.1배 정도이며, 이마뿔 윗부분은 12-16개의 톱니가 있는데, 톱니 중 앞 끝 1-3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움직일 수 있다. 이마뿔의 아랫 가장자리에는 6-9개의 톱니가 있으며 앞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수컷의 숫돌기는 안부속체보다 짧고 긴 털을 많이 가진다. 복부의 곡선에서 뒤쪽으로 향하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사진 참조(http://asq.kr/XPTq6c8)].

Pandalus jordani Rathbun, 1902 도화새우

영명: Ocean shrimp

신칭: 조단도화새우(종명 jordani에서 명명, 일반명이 ocean shrimp이나 해양을 붙이기에는 맞지 않음)

형태학적 특징: 전장은 175 mm이며, 표면이 매끄럽고 빛이 난다. 이마뿔은 갑각 길이의 약 1-3배이다. P. borealis와 크기, 색상, 신체특성이 매우 유사하나 복부의 곡선에 돌출된 가시가 없다[사진 참조(http://asq.kr/xgUTyMN)].

Pandalus montagui Leach, 1814 도화새우

영명: Pink shrimp, Aesop shrimp

신칭: 이솝도화새우(영명 Aesop shrimp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반투명하고 분홍빛이 돌며, 일반적으로 5 cm 까지 성장한다. 이마뿔은 길고, 구부러져 있으며 끝부분이 갈라져 있고 뒤쪽 등 가장자리에 톱니가 10-12개 있다. 첫 번째 안테나는 두 부분으로 나뉘고 두 번째 안테나는 매우 길어서 몸의 길이를 초과하고 옅은 갈색으로 띠를 두르고 있다[사진 참조 (http://asq.kr/XwO4iQq)].

Pandalus platyceros JF Brandt in von Middendorf, 1851 도화새우

영명: Spot shrimp

신칭: 점도화새우(영명 spot shrimp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전장은 25-30 cm이며, 갑각에는 흰 줄무늬가 있고 복부의 첫 번째와 다섯 번째 부분에 흰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 참조(http://asq.kr/Xf9txu)].

Superfamily Pasiphaeoidea Dana, 1852 돗대기새우상과

Family Pasiphaeidae Dana, 1852 돗대기새우과

Pasiphaea japonica Omori, 1976 큰돗대기새우

영명: Japanese glass shrimp

국내 명칭: 현 명칭 그대로 사용

형태학적 특징: 전장은 50-80 mm이며 이마뿔은 없지만 복안 뒤에 작은 가시가 있다. 체색은 투명하고 연한 분홍빛을 띤다[사진 참조(https://catalog.digitalarchives.tw/item/00/04/82/6e.html)].

Infraorder Astacidea Latreille, 1802 가재하목

Superfamily Nephropoidea Dana, 1852 가시발새우상과

Family Nephropidae Dana, 1852 가시발새우과

Genus Nephrops Leach, 1814 신칭: 노르웨이가시발새우속

Nephrops norvegicus (Linnaeus, 1758) 네 점 발 빨간 새우

영명: Norway lobster

신칭: 노르웨이가시발새우(국산종인 Metanephrops thom- soni는 가시발새우이므로 유사종은 유사한 이름을 가져야 함)

형태학적 특징: 옅은 주황색의 작은 바닷가재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18-20 cm이나 최대 25 cm까지 자란다. 처음 3쌍의 다리는 집게를 가지며 그 중 첫 번째 다리는 크고 길쭉하며 가시가 돋아 있다. 두 쌍의 안테나가 있는데, 두 번째 안테나가 훨씬 길고 얇다. 길고 가느다란 이마뿔이 있으며 눈은 크고 검은색이며 움직일 수 있다[사진 참조(http://asq.kr/zdUBG)].

Homarus americanus H. Milne Edwards, 1837 바다가재

영명: American lobster

신칭: 아메리카바다가재(종명 americanus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개체마다 색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은 올리브 녹색 또는 녹색을 띤 갈색이며, 체색은 섭이 특성, 유전, 빛의 노출에 따라 다르다. 최대 몸 길이는 64 cm이나 보통 25 cm 이하이다. 수컷은 복부 아래에 날카로운 가시를 가지고 암컷은 뭉툭한 가시를 가진다. 수컷의 복부는 갑각의 폭보다 좁으며 암컷의 경우는 같거나 더 크다. Homarus gammarus와는 다르게 집게에 있는 가시는 붉은색이며 집게 밑면은 주황색 또는 빨간색이다. 6쌍의 배다리가 있고 마지막 한 쌍은 부채모양의 꼬리로 확대되어 있다[사진 참조(http://asq.kr/Ysk3Vj)].

Homarus gammarus (Linnaeus, 1758) 바다가재

영명: European lobster

신칭: 유럽바다가재(원산지가 지중해, 흑해, 지중해 등의 유럽이므로)

형태학적 특징: 일반적으로 전장이 23-50 cm이며, 등 쪽은 파란색이고 배 쪽은 노란색이다. 이마뿔은 짧고 가시가 있다. 첫 번째 가슴다리는 크고 비대칭적인 한 쌍의 발을 가진다. 집게에 있는 가시는 흰색이며, 집게의 밑면은 아이보리 화이트색 또는 매우 옅은 빨간색이다[사진 참조(http://asq.kr/XJIUl2p)].

Superfamily Parastacoidea Huxley, 1879 남방가재상과

Family Parastacidae Huxley, 1879 남방가재과

Genus Cherax Erichson, 1846 체락스속 신칭: 남방가재속

Cherax quadricarinatus (von Martens, 1868) 국내 명칭 없음

영명: Australian red-claw crayfish

신칭: 붉은발남방가재(영명 red claw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수 모두 35 cm까지 자라며, 드물게 더 긴 개체도 존재한다. 몸의 색은 짙은 갈색에서 청록색까지 다양하며 성체 수컷은 집게 바깥쪽 가장자리에 뚜렷한 붉은 반점이 있어 다른 민물가재들과 구분된다[사진 참조(http://asq.kr/ zri5T5)].

Infraorder Achelata Scholtz & Richter, 1995 닭새우하목

Superfamily Palinuridae Latreille, 1802 닭새우상과

Family Palinuridae Latreille, 1802 닭새우과

Genus Jasus Parker, 1883 신칭: 남방닭새우속

Jasus lalandii (H. Milne Edwards, 1837) 바다가재

영명: Cape rock lobster

신칭: 라란디남방닭새우(종명 lalandii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수 모두 최대 46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주황색에서 적갈색이다. 꼬리는 주황색, 파란색과 녹색을 띄며, 머리 앞쪽으로 긴 더듬이가 뻗어 있다[사진 참조 (http://asq.kr/Z3O8Cv)].

Jasus edwardsii Hutton, 1875 바다가재

영명: Red rock lobster

신칭: 붉은남방닭새우(영명 red rock lobster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수컷은 최대 58 cm까지 자라며 암컷의 경우 43 cm까지 자란다. 몸의 등 부분 색은 짙은 빨간색과 주황색이며 배는 더 옅은 노란색을 띄거나 회색, 녹색, 갈색이다. 복부는 더 옅은 색깔을 띤다[사진 참조(http://asq.kr/zSl98N)].

Panulirus argus (Latreille, 1804) 닭새우

영명: Caribbean spiny lobster

신칭: 카리브닭새우(영명 Caribbean spiny lobster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수 모두 최대 60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일반적으로 녹색 또는 갈색이지만 드물게 황갈색 개체도 존재한다. 황색에서 하얀색의 반점이 있고, 복부에는 더 큰 반점이 있다[사진 참조(http://asq.kr/zSVTadc)].

Panulirus interruptus Randall, 1840 닭새우

영명: California spiny lobster

신칭: 캘리포니아닭새우(영명 California spiny lobster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수 모두 60 cm까지 자란다. 몸의 등 부분 색은 갈색 빛이 도는 빨간색이며 다른 바닷가재에 흔히 있는 반점이나 무늬가 없다[사진 참조(http://asq.kr/XO7V53)].

Panulirus regius de Brito Capello, 1864 국내 명칭 없음

영명: Royal spiny lobster

신칭: 왕닭새우(영명 Royal spiny lobster에서 유래)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수 모두 최대 46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녹색을 띄고 배 부분 체절에는 좁은 흰색의 띠가 있다. 이 배 부분의 흰색 띠는 다른 Panulirus 종과는 구별된다[사진 참조(http://asq.kr/v4cTU4)].

Family Scyllaridae Latreille, 1825 매미새우과

Subfamily Ibacinae Holthuis, 1985 부채새우아과

Genus Parribacus Dana, 1852 신칭: 부채새우붙이속

Parribacus japonicus Holthuis, 1960 국내 명칭 없음

영명: Japanese mitten lobster

신칭: 부채새우붙이(영명 Parribacuss에서 parr는 ‘-에 준하는 또는 작은’ 뜻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최대 16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갈색이고 푸른빛을 띠며 복면과 다리는 황갈색이다. 몸 전체는 황갈색의 짧은 털이 자라 있다. 더듬이가 지느러미처럼 커지고 납작하다. 이는 다른 바닷가재들과 구별된다[사진 참조(http:// asq.kr/y9SwBuT)].

Subfamily Arctidinae Holthuis, 1985 매미새우아과

Scyllarides latus (Latreille, 1803) 국내 명칭 없음

영명: Mediterranean slipper lobster

신칭: 지중해매미새우(영명 Mediterranean slipper lobster)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수 모두 최대 45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위장색을 띄고, 갑각에 눈에 띄는 결절로 덮여 있다. 제2 더듬이는 지느러미처럼 커지고 납작하다. 이는 다른 바닷가재들과 구별된다[사진 참조(http://asq.kr/zmXYDmy)].

Suborder Dendrobranchiata Spence Bate, 1888 수상새아목

Superfamily Penaeoidea Rafinesque, 1815 보리새우

Family Aristeidae Wood-Mason in Wood-Mason & Alcock, 1891

Genus Aristaeopsis Wood-Mason, 1891 신칭: 진홍새우속

Aristaeopsis edwardsiana JY Johnson, 1868 국내 명칭 없음

영명: Scarlet shrimp

신칭: 진홍새우(영명 Scarlet Gamba Prawn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컷은 최대 33.7 cm까지 자라며, 수컷은 최대 19.3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아주 짙은 빨간색이고 때로는 매우 어두운 빨간색이다. 암컷은 길고 매끄러운 이마 뿔을 가지고 있다[사진 참조(http://asq.kr/xi0gfRG)].

Family Penaeidae Rafinesque, 1815 보리새우과

Genus Penaeus Fabricius, 1798 보리새우속

Penaeus aztecus Ives, 1891 북부 갈색 새우

영명: Northern brown shrimp

신칭: 갈색보리새우(영명 brown shrimp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암컷이 최대 23.6 cm까지 자라고, 수컷은 최대 19.5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주로 녹색과 갈색으로 보인다. 꼬리의 말단은 적갈색을 띄고 뾰족하다.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길고, 이마뿔은 5-10개의 날카로운 톱니를 가지고 있다[사진 참조(http://asq.kr/x6uHhY)].

Penaeus esculentus Haswell, 1879 갈색 호랑이 새우

영명: Brown tiger prawn

신칭: 범보리새우

형태학적 특징: 갑각의 길이가 2.5-3.5 cm일 때 성숙하고, 몸길이는 최대 23.5 cm까지 자란다. 몸의 색은 주로 갈색이나 크림색과 붉은 갈색의 띠모양의 무늬를 갖는다[사진 참조(http:// asq.kr/xvmRbNZa)].

Penaeus indicus H. Milne Edwards, 1837

영명: Indian white prawn

신칭: 인도보리새우(종명 indicus=Indian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최대 몸길이는 수컷 약 18.4 cm, 암컷 약 22.8 cm이다. 갑각에는 털이 없다. 이마뿔은 가늘고 길며, 등 쪽에 7-9개의 톱니, 배 쪽 가장자리에 4-6개의 톱니가 있다. 몸은 반투명하고 올리브 녹색에서 회청색 반점이 있다[사진 참조 (http://asq.kr/XHwno61)].

Penaeus kerathurus Forskål, 1775 지중해토속새우(매스컴상) 각종 신문에 알제리 양식 관련 기사에서 거론된 이름

신칭: 지중해보리새우

형태학적 특징: 최대 몸길이는 수컷 약 18.0 cm, 암컷 약 22.5 cm이다. 좌우 측편형이며 몸은 호박색으로 되어있다. 다섯 쌍의 다리는 얇고, 청색꼬리는 붉은 점이 나열되어 있다[사진 참조 (http://www.ictioterm.es/especies/fotos_principales/M/Penae- us_kerathurus_M.jpg)].

Genus Holthuispenaeopsis K. Sakai & Shinomiya, 2011 신칭: 기니민새우속

Holthuispenaeopsis atlantica Balss, 1914 국내 명칭 없음

영명: Guinea shrimp

신칭: 기니민새우(영명 Guinea shrimp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최대 몸길이는 수컷 약 12 cm, 암컷 약 14 cm 이다. 세 번째 다리는 집게발이고, 이마뿔은 더듬이 인편보다 뚜렷하게 길고, 아래쪽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다. 5번째 다리는 3 번째 또는 4번째 다리보다 길다. 더듬이의 길이는 몸길이의 약 3배에 이른다. 체색은 옅고, 다리와 미지의 끝은 적갈색이다[사진 참조(http://asq.kr/Yf6CNMD)].

Family Solenoceridae Wood-Mason, 1891 대롱수염새우과

Genus Pleoticus Spence Bate, 1888 신칭: 붉은대롱수염새우속

Pleoticus muelleri Spence Bate, 1888 아르헨티나 붉은 새우

영명: Pleoticus muelleri

신칭: 알젠틴붉은대롱수염새우(영명 Argentine red shrimp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은 전체적으로 광택이 있고 최대 19 cm에 이른다. 암컷은 흉부XIV에 삼각형 돌기가 없고, 흉부XIII에 강한 중앙 돌기가 있다. 수컷은 몸 중앙선의 약 0.4길이에 숫돌 기가 있다[사진 참조(http://asq.kr/xwhqyqr)].

Superfamily Sergestoidea Dana, 1852 젓새우상과

Family Sergestidae Dana, 1852 젓새우과

Acetes indicus H. Milne Edwards, 1830 국내 명칭 없음

영명: Jawla paste shrimp

신칭: 인도젓새우(종명의 Indicus=Indian에서 명명)

형태학적 특징: 몸길이는 최대 2.5 cm에 이른다. 주로 해수의 중층이나 표층 가까이 분포한다. 암컷과 수컷 모두 유 영지의 첫 번째 기저에 앞쪽으로 휘어진 가시가 있다. 미지의 내지에는 2-4개의 붉은 점이 있다.

고찰

수입명과 유통명을 통제하거나 조정하는 국가기관이 없어 통관 시와 유통 시의 명칭이 다를 수 있어 소비자나 정책 기관에서는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수입 시에는 반드시 학명과 공인된 국내 명칭을 기재하고, 유통 시에도 공인된 국내명칭만 사용하도록 입법화해야 한다.

식품공전에는 국산과 수입산을 합하여 모두 103종의 갑각류를 목록화하고 있으나 수입산 만도 118종이나 되어 식품공전에 포함되지 않은 이름이 많다. 또한 식품공전에 나와있는 이름도 학회 등에서 국내 명명을 과정을 거치지 않은 이름이 있어 식품공전 상의 명칭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유통업자에 의해 갑각류의 명칭이 임의로 정해지고 있으나 규제할 방법이 없어 소비자를 혼란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출처 불명의 이름과 심지어는 상품명만 기재되어 무슨 종인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에게 혼돈을 초래할 수 있다. 유통업자가 유통명이나 상품명을 가지고 유통시키더라도 반드시 무슨 종인지를 표기하도록 하여야 한다. 완전체가 아닌 상태로 수입되는 갑각류의 경우 더더욱 종을 구분하기 어려워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런 경우도 반드시 무슨 종을 가지고 상품화했는지를 알 수 있는 표기가 있어야 한다. 일부 과다하게 포장된 유통명이나 명칭의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관계부처의 홈페이지에 상시노출시켜 누구나 문제점을 지적하고 오류를 수정해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소비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주요종의 구분법을 제작하여 배포하는 것이 소비자의 혼돈을 줄일 수 있으며, 분류명(동 정명)의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부처 보유 무역거래 INVOICE, HSK 등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유로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사사

References

  1. Kim W, Park JH, Jeong JH and Lee DM. 2018. Encyclopedia of imported marine crustaceans from South-eastern Asia: Chin a.Thailand.Vietnam.Malaysia.Indonesi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124.
  2. Kim HS. 1973a. Anomura.Brachyur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14.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Korea, 694.
  3. Kim HS. 1973b. Macrur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19.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Korea, 414.
  4. Kim JN. 2012a.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 21, No 14. Shrimps I (Arthropoda: Crustacea: Decapoda: Penaeidae, Sicyoniidae, Splenocerida, Hippolytidae, Crangon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173.
  5. Kim JN. 2012b.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 21, No. 21. Shrimps II (Arthropoda: Crustacea: Decapoda: Palaemonidae, Hippolytidae, Processidae, Pandal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101.
  6.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1. Food code. Retrieved from 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
  7.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1a. Fisheries information portal. Retrieved from https://www.fips.go.kr.
  8.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1b. National fishery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Retrieved from http://www.nfq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