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도덕 교과서 인물 내용 분석

Analysis of Character Content in Middle School Morality Textbooks

  • 투고 : 2021.11.02
  • 심사 : 2021.12.03
  • 발행 : 2022.02.28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 1 교과서에 소개된 인물을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중학교 도덕 교과서 재구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분석 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된 인물은 교학사의 경우 전체 83명, 미래엔의 경우 65명이 소개되었다. 둘째, 핵심 가치별 성실의 경우 교학사 50명(60.2%), 미래엔 29명(44.6%), 배려의 경우 교학사 22명(26.5%), 미래엔 29명(44.6%) 정의의 경우 교학사 11명(13.3%), 미래엔 7명(10.8%)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 가치 정의의 내용 요소 중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도덕적 시민, 사회정의, 북한 이해, 통일윤리의식에는 한 명도 소개하지 않았다. 넷째,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있는 내용을 교재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constructing middle school morality textbooks by analyzing the character traits introduced in the middle school Morality 1 course textbook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study metho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n a case study of Kyohaksa, a total of 83 people were introduced, and in the case of MiraeeN, 65 people were introduced. Second, in the case of sincerity by core value, 50 students, 60.2%, future 29, 44.6%, consideration 22, 26.5%, future 29, 44.6%, justice 11 students, 13.3%, 7 in the future, 10.8%. Third, in the content and core values of Kyohaksa, there were concepts of morality that were not included: citizenship, social justic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or a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ethics. Fourth, there are contents that are not covered i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textbook.

키워드

I. 서 론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 현장에서 교육이 구현해야 할 방향을 정하고, 교수 학습 내용을 결정하며, 교육 방법과 평가 방법의 기준을 제공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교육부는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의 전면 시행과 함께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계획하고 있다[2]. 2015 교육과정개정 이후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 개정을 할 때 중요한 핵심요소 중 하나는 현행 교육과정이 학교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이나 해결방안을 명확하게 진단하는 것이다. 각각의 교과는 각 교과의 목표와 그 실현을 위한 내용을 교과서에 담는다. 교과서는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교과서는 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교수 학습 도구이다.

도덕 교과는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학생들의 가치관 및 도덕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교과이다. 이는 도덕 교과의 특수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도덕 교육의 목표를 도덕적 지식의 습득이나 도덕적 탐구만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도덕적 실천에 두기 때문이다[3].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하는 필요성은 청소년들의 주요 활동 장소가 학교이며, 가장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26]. 도덕과는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이며 나아가 인문학적 사유와 성찰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타 교과 및 학교생활 전반을 통한 인성교육을 통합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학교 인성교육의 주관 교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4]. 중학교 단계에서는 초등학교 도덕 과에서 형성된 가치・덕목 및 규범에 대한 이해와 도덕적 기능 및 실천 능력을 심화하여 현대 사회의 다양한 도덕 문제에 대한 탐구와 삶의 이야기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도덕적 정체성을 구성하며, 배려하는 인간관계와 정의로운 공동체 및 자연과 조화로운 관계를 구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실천하는 덕성과 역량을 함양한다[5].

도덕 교육의 성패를 결정하는 것은 도덕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나 연구자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도덕 교육의 자료로 활용하는 교과서 또한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덕 교과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교과서 분석과 관련된 연구는 (배화순, 2021; 방정숙, 황지남, 2021; 김진석, 강훈식, 박지숙 외. 2021; 박영예, 2020; 우경숙, 임진영, 2020; 임소혜, 임희정, 2020; 박지윤, 김영민, 2019) 등이 있다 [6-13]. 중학교 도덕 교과서 분석과 관련된 연구는(김형렬, 유가현, 정진리, 2020; 김상범, 2019; 김혜진, 2018; 정진리, 2019) 등이 있다[9][14-16]. 그러나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소개된 인물들을 도덕 교과서 내용 체계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없다. 중학교 도덕 교과서 인물을 분석한 연구는 최형찬 (2011)의 “도덕 교과서분석-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와 구니이 유타카 (2012)의 “한국과 일본의 초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물상 비교연구." 정도이다[3][17].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 1 교과서에 소개된 인물을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추후 중학교 도덕 교과서 재구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도덕 교과서 인물 소개 중요성

모든 각과 교육이 중요하지만 도덕 교육은 특히 인성교육의 핵심 과목이다. 인성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 사회적으로는 현재 가장 큰 관심을 끄는 주제이다[18]. 도덕과는 인성의 중심축을 이루는 도덕성 발달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적․사회적 건강을 높임으로써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로서의 임무를 수행한다[5]. 그러므로 도덕과 교육은 학생들이 여러 상황과 계기를 통해 학습한 다양한 가치, 규범들에 대해 이성적⸱합리적 이해를 도모하고 학생들의 건전한 인격 형성에 이바지하는 특성이 있다. 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핵심 과제는 학생이 건전한 도덕성을 함양과 함께 도덕가치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다[19][20]. 중학교 도덕 교과는 기본적으로 성실, 배려, 정의, 책임 등 21세기 한국인으로서 갖추고 있어야 하는 인성의 기본 요소를 핵심 가치로 설정하여 내면화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는다[5]. 이상과 같은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로 비추어 볼 때 학교에서 가르치는 모든 교육이 중요하지만 도덕 교육은 특히 학생들의 인격 형성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는데 필수교과이다.

교과서는 실제 세계와 교과의 바다로 학습자를 안내하는 인식의 창과 같은 기능을 한다[21]. 그러므로 교과서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학습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 가정, 가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식은 지식 체계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일화, 예화, 인물, 사진, 삽화 등도 포함된다. 학습자는 교과서에 제시되는 모든 것에서 가시적․잠재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22]. 이러한 측면에서 청소년 문제가 심각한 시대에 도덕 교과서에 소개되는 인물은 더욱 중요하다. 도덕 교과의 교수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역사적 인물이나 직업적으로 훌륭한 인물을 보여주는 것이다. 훌륭한 인물을 통하여 학생들은 삶의 본보기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교과서에 소개하는 인물과 인물의 이야기는 학생들의 도덕적 기준과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은 학생들에게 중요한 모델 역할을 한다. 도덕 교육의 가치․덕목을 향상하기 위해 등장하는 인물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근면, 성실, 책임, 배려, 정직, 애국심 등 가치와 덕목을 다루면서 예화와 이야기를 통해 인물을 소개하는 방식이다. 나눔과 행복을 직접 실천한 이태석 신부,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정약용, 민족의 통일을 위해 평생을 바친 김구 등이다. 이러한 소개방식은 직접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더라도 학생들의 도덕적 기준으로 삶는데 밀접히 연결되고 있다[23]. 그러므로 도덕 교과서에 소개되는 인물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은.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는 자신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진정성을 추구하는 성실을 내면화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타자에 대한 존중을 토대로 바람직한 관계 설정을 지향하는 배려를 중심에 두며, 사회 및 공동체와의 관계에서는 공정성을 토대로 바람직한 사회를 추구하는 정의를 중심에 둔다. 자연 및 초월과의 관계에서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인과적 책임과 삶의 의미 물음에 대한 존재적 책임을 포용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책임을 지향하는 도덕적인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삼는다.’[4][5].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교과서는 국정교과서, 검정 교과서, 인정교과서로 구분된다. 중학교 도덕 교과서는 검정 교과서이다. 중학교 도덕교과 9종의 저자와 출판사는 [표 1]과 같다.

표 1. 중학교 도덕 1 교과서 저자와 출판사

CCTHCV_2022_v22n2_317_t0001.png 이미지

검정 체제의 장점은 교과서 경쟁을 통해 교과서 수준을 높이고 다양성을 꾀하자는 것이다. 중학교 도덕 교과서 9종 중 교학사와 미래엔의 교과서 내용 체계 및 영역은 [표 2]와 같다[23][24].

표 2.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영역(교학사, 미래엔)

CCTHCV_2022_v22n2_317_t0002.png 이미지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중학교 도덕 교과서 중 중학교 도덕 1 검정 교과서 9권 중 2권을 선정하였다. 일선 고등학교 교과서의 채택 순위 같은 경우는 비공개 자료이기 때문에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교과서 선정 기준은 첫째, 현직 도덕 교사들 3명과 상의하여 9종 중 발행 부수가 4쇄 이상 인도서 중에 대하여 대단원 도입, 본문 내용, 활동 자료, 읽기 자료, 인터뷰, 영상자료, 단원 정리 및 평가 등을 검토하고 인물에 대한 읽기 자료, 멘토와의 인터뷰 자료 등이 풍부한 교과서 2종을 선택하여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선택한 도서는 [표 3]과 같다.

표 3. 중학교 도덕 1 교과서 분석 대상

CCTHCV_2022_v22n2_317_t0003.png 이미지

2. 분석 방법

분석 방법은 일반적으로 분석연구에서는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2인 이상의 전문가가 분석하고 조정하는 검토단계를 거치는데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도덕 1 교과서 2종 모두 연구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한 페이지씩 읽어 가면서 인물의 내용을 분석 틀에 표시하면서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두세 명이 분석할 때와 1명이 두 번 분석할 때 모두 장단점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1명이 두 번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이 명확하므로 여러 사람이 분석하는 그것보다 타당성을 확보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분석 기간은 2021년 5월 15일부터 6월 12일까지 이루어졌다. 1차 분석 후 분석의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1 주일 후 다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2번 코딩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Cohen의 κ로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Cohen의 κ는 2명의 코더 간 비교와 명목척도만 가능하고 일치도에 대한 백분율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다. 그 결과 소개된 인물 내용의 명목척도로 핵심가치에 잘못 표시한 인물이 성실에 5명(6.3%), 배려에 3명(5.8%), 정의에 1명(5.5%) 있었다. 그다음 핵심 가치에 잘못 표시된 인물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한 결과 잘못 표시된 인물은 없었다.

3. 분석 틀

분석 틀은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을 사용하였다.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의 경우 4가지 영역과 4가지 핵심 가치로 구성된다.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 핵심 가치는 성실, 타인과의 관계 영역에서 핵심 가치는 배려,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에서 핵심가치는 정의,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에서 핵심 가치는 책임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분석 틀 [표 4]와 같다.

표 4.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내용 분석

CCTHCV_2022_v22n2_317_t0004.png 이미지

Ⅳ. 연구 결과

1.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비교 분석 결과- 교학사, 미래엔

내용 체계는 네 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자연 초월과의 관계이다. 성취기준은 핵심 가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성실, 배려, 정의, 책임이다.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의 교학사와 미래 엔의 인물 내용 비교 분석 결과는 [표 5]와 과 같다.

표 5.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비교 분석 결과-교학사, 미래엔

CCTHCV_2022_v22n2_317_t0005.png 이미지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의 교학사와 미래엔의 인물 내용 비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된 인물은 교학사의 경우 전체 83명, 미래엔의 경우 65명이 소개되었다. 교학사가 18명 더 소개하고 있다. 둘째, 핵심 가치별 성실의 경우 교학사 50명, 60.2%, 미래엔 29명, 44.6%, 배려의 경우 교학사 22명, 26.5%, 미래엔 29 명, 44.6%, 정의의 경우 교학사 11명, 13.3%, 미래엔 7명, 10.8%로 나타났다. 성실 핵심 가치의 내용 요소 중 교학사의 경우 도덕적인 삶에 15명 18.1%로 가장 많은 인물을 소개하고 있고, 미래엔의 경우 행복한 삶이 10명 15.5%로 가장 많은 인물을 소개하고 있다. 다음이 교학사의 경우 자아 정체감 12명, 14.4%, 미래 엔의 경우 도덕적 행동에 7명 10.8%로 소개하고 있다. 셋째, 핵심 가치별 배려의 경우 교학사는 우정에 9명 10.9%로 가장 많은 인물을 소개하고 있으며 미래 엔의 경우에도 우정에 9명 13.8% 소개하고 있다. 다음이 교학사는 가정윤리 7명 8.4%, 미래엔의 경우 성 윤리 8명 12.3% 소개하고 있다. 넷째, 핵심 가치별 정의의 경우 교학사는 세계 시민윤리에 5명 6.1%, 미래엔의 경우에도 세계 시민 윤리에 4명 6.1% 소개하고 있다.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교학사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 인물 내용 분석 결과-교학사는 [표 6]과 같다.

표 6.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 인물 내용분석 결과-교학사

CCTHCV_2022_v22n2_317_t0006.png 이미지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의 교학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가치 요소 중 성실이 50명, 60.2%로 가장 많이 소개되었으며, 배려가 22명, 26.5%, 정의가 11명 13.3%, 책임은 0명으로 소개되었다. 둘째, 핵심 가치 성실의 내용 요소 중 도덕적 삶이 15명, 18.1%, 자아 정체감이 12명 14.4%, 행복한 삶이 9명 10.9%, 삶의 목적 8명 9.6%, 도덕적 행동 6명 7.2% 순으로 소개되었다. 핵심가치 배려의 내용 요소 중 우정이 9명 10.9%, 가정윤리가 7명 8.4%, 성 윤리 4명 4.8%, 이웃 생활 2명 2.4% 순으로 소개되었다. 정보통신윤리, 평화적 갈등 해결, 폭력의 문제는 한 명도 소개되지 않았다. 핵심 가치 정의의 내용 요소 중 세계 시민 윤리가 5명 6.1%, 인간존중이 4명 4.8%, 문화 다양성이 2명 2.4% 순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도덕적 시민, 사회정의, 북한 이해, 통일윤리 의식은 모두 한 명도 소개되지 않고 있다. 핵심 가치 책임의 내용 요소 중 자연관, 과학 윤리, 삶의 소중함, 마음의 평화는 모두 한 명도 소개되지 않았다.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미래엔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 인물 내용 분석 결과-미래엔은 [표 7]과 같다.

표 7.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 인물 내용분석 결과-미래엔

CCTHCV_2022_v22n2_317_t0007.png 이미지

중학교 도덕과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도덕 1의 미래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가치 요소 중 성실이 29명, 44.6%로 가장 많이 소개되었으며, 배려가 29명, 44.6%, 정의가 7명 10.8%, 책임은 0명으로 소개되었다. 둘째, 핵심 가치 성실의 내용 요소 중 행복한 삶이 10명, 15.5%, 도덕적 행동이 7명 10.8%, 삶의 목적이 6명 9.2%, 도덕적 삶이 3명 4.6%, 자아 정체감이 3명, 4.6% 순으로 소개되었다. 핵심 가치 배려의 내용 요소 중 우정이 9명 13.8%, 성 윤리가 8명 12.3%, 가정윤리가 7명 10.8%, 이웃 생활이 5명 7.7% 순으로 소개되었다. 정보통신윤리, 평화적 갈등 해결, 폭력의 문제는 한 명도 소개되지 않았다. 핵심 가치 정의의 내용 요소 중 세계 시민 윤리가 4명 6.1%, 인간 존중이 3명 4.6% 순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문화의 다양성, 도덕적 시민, 사회정의, 북한 이해, 통일 윤리의식은 모두 한 명도 소개되지 않았다. 핵심 가치 책임의 내용 요소 중 자연관, 과학 윤리, 삶의 소중함, 마음의 평화는 모두 한 명도 소개되지 않았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 1 교과서에 소개된 인물을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추후 중학교 도덕 교과서 재구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된 인물은 교학사의 경우 전체 83명, 미래 엔의 경우 65명이 소개되었다. 교학사가 18명 더 소개하고 있다.

둘째, 핵심 가치별 성실의 경우 교학사 50명, 60.2%, 미래엔 29명, 44.6%, 배려의 경우 교학사 22명, 26.5%, 미래엔 29명, 44.6%, 정의의 경우 교학사 11 명, 13.3%, 미래엔 7명, 10.8%로 나타났다.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핵심 가치 중 성실에 가장 많은 인물을 소개하고 있다. 인물 소개의 비중이 핵심 가치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교학사의 경우에는 확실히 성실에 소개하는 인물이 배려의 2배, 정의의 5배 정도 소개하고 있으며, 미래엔의 경우에는 성실과 배려에 모두 29명씩 비슷하게 소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핵심 가치의 내용 요소별로 보면 성실의 내용 요소에서 교학사의 경우 도덕적인 삶에 15명 18.1%로 가장 많은 인물을 소개하고 있고, 미래엔의 경우 행복한 삶에 10명 15.5%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핵심 가치 성실의 내용 요소인 도덕적인 삶, 도덕적 행동, 자아 정체감, 삶의 목적, 행복한 삶 모두에 비슷한 수준으로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넷째, 핵심 가치 배려의 경우 내용 요소에서 교학사는 우정에 9명 10.9%로 가장 많은 인물을 소개하고 있으며 미래엔의 경우에도 우정에 9명 13.8% 소개하고 있다. 그다음이 교학사는 가정윤리 7명 8.4%, 미래 엔의 경우 성 윤리 8명 12.3%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핵심가치 내용 요소 중 정보통신윤리, 평화적 갈등 해결, 폭력의 문제에는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한 명의 인물도 소개하지 않고 있다. 이는 시대 정신에 비추어 볼 때 강조되어야 할 내용 요소인데 인물 소개가 없다는 것은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핵심 가치 정의의 경우 교학사는 세계 시민윤리에 5명 6.1%, 미래엔의 경우에도 세계 시민 윤리에 4명 6.1% 소개하고 있다. 핵심 가치 내용 요소 교학사의 경우 도덕적 시민, 사회정의, 북한 이해, 통일윤리 의식에는 한 명도 소개하지 않았다. 미래엔의 경우에는 문화 다양성, 도덕적 시민, 사회정의, 북한 이해, 통일윤리 의식에 모두 한 명의 인물도 소개하지 않았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학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아동은 친 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이러한 시대 정신에 비추어 볼 때 강조되어야 할 내용 요소인데 인물 소개가 없다는 것은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핵심 가치별 책임의 경우 내용 요소에는 자연관, 과학 윤리, 삶의 소중함, 마음의 평화가 있다. 이들 내용 요소에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한 명도 소개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소개하고 있는 인물들이 영역별로 편차가 크다.

일곱째,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중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의 핵심 가치인 정의 부분의 내용 요소에서 도덕적 시민, 사회정의, 북한의 이해, 통일 윤리의식과 자연 초월과의 관계 영역의 핵심 가치인 책임의 내용 요소 중 자연관, 과학 윤리, 삶의 소중함, 마음의 평화 부분이 교재에서 내용 자체를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다루지 않고 있다. 도덕 교과서는 국정교과서가 아니라 검정 교과서로 제작한다. 검정 교과서를 채택한다는 것은 도덕 교과서의 서술방식의 다양화이다. 그런데도 교과서에 소개된 내용을 보면 교학사와 미래엔 모두 교과서 내용 체계에서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과 다루지 않는 내용이 대동소이하다. 추후 교과서 제작 시 차별화 측면에서 고려해 볼 만한 사항이다.

아홉째, 두 교과서가 소개하는 인물은 상당히 차이가 있다. 그러나 내용적인 측면에서 인물 소개 비중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내용 영역별로 그리고 핵심 가치에 맞는 인물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는 교과서 제작사 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검정 교과서의 장점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2. 제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 교과서는 학생들의 인성 함양과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표면적 교육과정은 물론 잠재적 교육과정도 중요하다. 도덕 교과서를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생활에서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있다. 그러므로 교과서에 수록되는 인물은 학생들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어서 신중하게 소개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 수와 대륙별, 성별, 나이별, 직업별로 분석하여 인물선정에 있어 편중된 부분은 없는지 분석하여 향후 중학교 도덕 교과서 재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검정교과서 전체를 비교하지 않고 두 개 검정교과서를 채택하여 분석한 점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중학교 도덕 교과서 전체를 비교해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경애, 미래지향적 교육체제 조성 방안 연구: 미래교육 핵심 이슈, 한국교육개발원, 2016.
  2. 교육부,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교육부 보도 자료(2021. 2. 16), 세종: 교육부, 2021.
  3. 최형찬, "도덕 교과서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범한철학, 제60권, 제1호, pp.205-233, 2011.
  4.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2015,
  5.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2015
  6. 배화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제80권, pp.223-245, 2021. https://doi.org/10.17253/SWUERI.2021.80..011
  7. 방정숙, 황지남, "초등학교 3-4학년 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 분석," 초등수학교육, 제24권, 제1호, pp.21-41, 2021.
  8. 김진석, 강훈식, 박지숙,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창의성 요소 분석: 과학과, 영어과, 미술과, 음악과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제31권, pp.173-192, 2021.
  9. 김혜진,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 교육 내용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제60권, pp.181-214, 2018.
  10. 박영예, "2015 개정 초등영어 3-6학년 교과서의 파닉스 분석," 교육논총, 제40권 제4호, pp.73-96, 2020.
  11. 우경숙, 임진영,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공감 관련 내용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pp.625-649, 2020. https://doi.org/10.24159/JOEC.2020.26.1.625
  12. 임소혜, 임희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 6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한국초등교육, 제31권, 제3호, pp.181-195, 2020. https://doi.org/10.20972/KJEE.31.3.202009.181
  13. 박지윤, 김영민, "2015 개정 초등영어 3, 4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전략 분석," 교육논총, 제39권, 제4호, pp.21-39, 2019.
  14. 김형렬, 유가현, 정진리,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민주 시민상의 변천," 도덕윤리교육, 제69권, pp.375-410, 2020.
  15. 김상범,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도덕윤리과육연구, 제63권, pp.111-134, 2019.
  16. 정진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서의 여성 대표성 종단 분석: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 과정까지," 도덕윤리과교육, 제64권, pp.241-270, 2019.
  17. 구니이 유타카, "한국과 일본의 초.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인물상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51-73, 2012.
  18. 장민희, 서예지, 정태연, "한국 인성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질적연구: 성격발달이론과 긍정심리학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제47권, 제2호, pp.5-30, 2020. https://doi.org/10.22804/JKE.2020.47.2.001
  19. 박현아, 유성호, "한국의 도덕 가치관이 게이머 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294-30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294
  20. 최현호, "인권교육 개선을 위한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pp.233-264, 2005.
  21. 김정호, 윤현진, 황혜정, 이선경, 박소영,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22. 교육부, 교과용 도서 실험 학교 운영 보고서, 세종: 교육부, 2000.
  23. 정창우, 노영란, 정희태, 박성춘, 문일호, 김성관, 김정민, 정병석, 김성태, 이수빈, 이주은, 이지연, 정나나, 중학교 도덕 1, 서울: (주)미래엔, 2021.
  24. 황인표, 정상봉, 장동익, 이인재, 손철성, 임선희, 윤종열, 심지나, 김창희, 정연경, 중학교 도덕 1, 서울: (주)교학사, 2021.
  25. 박수경, 양심영,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친사적 행동, 공감능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142-15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142
  26. 윤옥한, 이경란, "인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193-20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