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hodology Study of Design Related to Accidental Explosion of Simple Explosive Storage Facility

화약류 간이저장소의 우발적 폭발을 고려한 안전설계 방법 연구

  • 김정규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정승원 ((주)한화 글로벌 IS영업팀) ;
  • 김준하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최병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Received : 2022.12.08
  • Accepted : 2022.12.21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regulations on the simple explosive storage facility, the effects of internal explosion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andard storage facility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FEM analyses and field experim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the existing storage structure was not sufficient for 15 kg of emulsion-type explosive. Thus, an alternative method of splitting explosives was tested by conducting sympathetic detonation experiments. This method worked properly as expected, and the proper amount of splitted explosiv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In addition, a storage structure with open ceiling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because explosion pressure was released so rapidly that the damage of the facility could be reduced significantly. Hence, such a structural pattern was proposed as a new design scheme for simple explosive storage facility.

화약류 간이저장소에 대한 현재의 규정이 적정한지를 검토할 목적으로 내부 폭발이 표준적인 저장소의 구조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FEM 해석과 현장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에멀젼 계열 폭약 15 kg에 대한 기존 저장소 구조물의 방폭 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기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폭약을 분할하는 방법을 상정하고 순폭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폭약을 분할하는 방법이 예상대로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적정한 분할 폭약량도 결정하였다. 또한, 저장소 구조물 상부를 개방하는 방법을 시험한 결과, 폭발압력이 신속하게 배출되어 구조물 손상이 크게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구조물 형태는 화약류 간이저장소에 대한 새로운 설계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2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해외자원개발협회의 지원(2021060003, 스마트 마이닝 전문 인력 양성사업)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기본사업인 '심지층 개발과 활용을 위한 지하심부 특성평가 기술개발(과제코드 GP2020-010)'의 지원을 받 아 수행되었음을 밝힙니다.

References

  1. 고영훈, 정승원, 양형식, 2018, 디커플링 조건 및 폴리머 겔 적용에 따른 발파공 발파위력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36, No. 2, pp. 1-9.
  2. 김성환, 김한수, 2017, 실내폭발 효과를 포함한 폭발하중 산정.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Vol. 30, No. 3, pp. 191-198.
  3. 김준하, 정승원, 김정규, 2022, 안전한 화약류 저장을 위한 순폭 실험 연구,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40, No. 3, pp. 33-43.
  4. 김한수, 안효승, 2014,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폭발하중에 의한 연쇄붕괴 해석을 위한 침식 기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한국콘크리트학회), Vol. 26, No. 3, pp. 335-342.
  5. 노유송, 민경조, 오세욱, 박세웅, 석철기, 조상호, 박훈, 2018, 콘크리트 블록에서 인공절리에 따른 발파영향 평가, 화약발파(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36, No. 3, pp. 1-9.
  6. 심보훈, 김국주, 김춘호, 박상우, 백장운, 박영준, 2020, 방폭패널을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폭압저감 능력 실험적 평가.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Vol. 20, No. 6, pp. 15-21.
  7. 우진호, 나원배, 김헌태, 2009, 아치형 해저 케이블 보호 구조물의 앵커 충돌 수치 시뮬레이션, 한국해양공학회지, Vol. 23, No. 1, pp. 96-103.
  8. 이경구, 김태진, 김은석, 김진구, 2007, 폭발하중에 의한 강재기둥의 거동,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Vol. 23, No. 7, pp. 37-44.
  9. 정승원, 김정규, 김준하, 김남수, 김종관, 2022, 수치해석을 통한 화약류 간이저장소의 방폭성 및 구조인자 평가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Vol. 32, No. 2, pp. 160-172.
  10. 지훈, 문세훈, 정진웅, 성승훈, 유양선, 2018, 내부폭발 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전산수치해석과 실험적 검증,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 27 No. 1, pp. 101-109.
  11. 한혁섭, 2020, 폭발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폭발현상해석과 구조해석.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454-459.
  12. Miller, P., 2004, Towards the modelling of blast loads on structur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oronto, pp. 4-7.
  13. Van den Berg, A.C., 1985, The Multi-Energy Method; A framework for vapour cloud explosion blast prediction, J. of Hazardous Materials, Vol. 12, pp. 1-10. https://doi.org/10.1016/0304-3894(85)8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