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warenes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22.11.27
  • Accepted : 2022.12.26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4 weeks on the preparation of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for 109 students in 4 classes of the 2nd year intensive course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ended a two-week field training practice after listening to a lecture on how to write a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ried to find out about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 course plan and the class to prepare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The researcher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y reviewing and deliberation on the questionnaire questions together with 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writing of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 consists of 8 questions. Preferred reference materials when writing the course plan, the level of interest in lear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cience course plan and class, the science preferred model, the evaluation method in unit time, and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ne's own efforts to write the course plan, the contents of this course are the science faculty. It is composed of the prepar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plan and how helpful it is to th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eferred teacher guidance the most when draft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plans. Second, it i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stage is very importa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 of the science department.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ve that the sc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uccess of the class. Fourth, it was said that the student's level, the teacher's ability, and the appropriate lesson plan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class. Fifth,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efer the inquiry learning class model. Sixth, it was found that reports and activity papers were preferred for evaluation in 40-minute classes. Seventh, it was sta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is highly related to the class, so it will be studied and studied diligently. Eighth, the method of writing a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 based on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 is interpreted as very beneficial.

본 연구는 B 교육대학교의 2학년 심화과정 4개반 109명을 대상으로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해서 4주간 강의를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해 강의를 들은 후 2주간의 현장교육실습을 다녀왔다. 초등예비교사들이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을 위해 자료선택, 과정안과 수업의 연계 정도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초등예비교사 4명과 함께 설문 문항에 대해 검토·심의하여 설문을 완성하였다. 과학과 교수·학습과 정안 작성과 관련한 설문은 8문항으로 수업과정안 작성시 선호하는 참고자료, 학습에서 관심단계, 과학과 수업과정안과 수업의 성공여부, 과학과 선호모형, 단위시간에서 평가방식,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을 위한 자신의 노력, 본 강좌 내용이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과 수업에 어떤 도움이 되는가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이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시에는 교사용 지도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과 교수·학습 단계에서는 전개단계를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이 수업의 성공 여부에 높은 상관이 있다고 여긴다. 넷째, 수업은 학생의 수준과 교사의 능력, 적합한 수업계획이 가장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다섯째, 초등예비교사들은 탐구학습 수업모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40분 단위의 수업에서 평가는 보고서 및 활동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수·학습과정안은 수업의 연관성이 높으므로 열심히 연구하고 공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덟째, 교수설계 원리에 근거한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법은 매우 유익한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21). 예비 생물교사의 교육실습 수업에 나타난 담화 구조 분석. 생물교육, 49(4), 546-556. https://doi.org/10.15717/BIOEDU.2021.49.4.546
  2. 김나예, 김정렬(2018). 초등영어 수행평가에 대한 영어전담교사들의 인식조사. 교사교육연구, 57(4), 529-538. https://doi.org/10.15812/TER.57.4.201812.529
  3. 김민환, 김성훈, 노태희(2021). CHAT을 이용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설계 및 실행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4), 311-32.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4.311
  4. 김성훈, 전유선, 강훈식, 노태희(2022). 예비과학교사의 교육실습 과학수업에서의 발문에 대한 반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1), 97-109.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1.97
  5. 김정주(2022). 교육실습기간 중 수업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 방안 고찰. 인문사회21, 13(4), 2063-2077.
  6. 김혜경, 조진우, 설양환(2022). 미래 초등교원 양성을 위한 국제교육실습의 변화 방향에 대한 소고. 교육연구논총, 43(2), 237-269.
  7. 박종필(2021). 교육실습생 평가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32(2), 663-688.
  8. 반승관, 임유하, 신주연(2021). 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중등교육연구, 69(3), 389-418.
  9. 안정현, 신수범, 설양환(2021).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대학-학교 연계 온라인 교육실습 지원 플랫폼 개발 사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3), 1007-1036.
  10. 이평구, 강문정, Zhao Xiaoshuai, 황정훈, 엄문영(2021).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양성체제 및 과정의 관계 탐색: 체계적 문헌 분석을 활용하여. 초등교육연구, 34(4), 83-106.
  11. 이혁규(2021).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왜 잘 개선되지 않을까? 교육문화연구, 27(1), 101-123. https://doi.org/10.24159/JOEC.2021.27.1.101
  12. 임종현, 홍진표, 박정민, 안미리(2022). 2010년~2021년 국내 메타버스와 가상세계를 활용한 교육 연구 동향 분석: LDA 기반 토픽 모델링과 시계열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2), 187-214.
  13. 장명덕(2014).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14. 정수현, 김연구(2021). 원격교육실습에 대한 교육실습지도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연구, 32(1), 39-68.
  15. 정여훈, 곽지영(2021).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실시간 한국어교육 실습 사례 연구-연세대학교 한국어 교원양성과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63, 195-216.
  16. 조규희, 강정진(2022).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기대와 경험. 외국어교육연구, 36(2), 1-22. https://doi.org/10.16933/SFLE.2022.36.2.1
  17. 최현주, 하문선, 신수범(2021). 초등 예비교사의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34(2), 187-218.
  18. 탁해리, 박환보(2022). 코로나 19 상황에서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교육연구논총, 43(2), 271-297.
  19. Jenkins, G. (2020). Teacher agency: The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responses to curriculum chang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47(1), 167-181.
  20. Kidd, W., & Murray, J. (2020).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effects on teacher education in england: How teacher educators moved practicum learning online.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4), 542-558. https://doi.org/10.1080/02619768.2020.1820480
  21. Kim, Y. O., Yun, S. Y., & Sol, Y. H. (2021). The long-term effects of a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The development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competences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8(1), 3-20.
  22. Priestley, M., Biesta, G., & Robinson, S. (2015). The role beliefs in teacher agency. Teachers and Teaching, 21(6), 620-640.
  23. Spinelli, M., Lionetti, F., Pastore, M., & Fasolo, M. (2020). Parents' stres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s in families facing the COVID-19 outbreak in Italy. Frontiers in Psychology, 11, 1-7. https://doi.org/10.3389/fpsyg.2020.00001
  24. Zhou, S. J., Zhang, L. G., Wang, L. L., Guo, Z. C., Wang, J. Q., Chen, J. C., Liu, M., Chen, X., & Chen, J. X. (2020).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of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in Chinese adolescents during the outbreak of COVID-19.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9(6), 749-758. https://doi.org/10.1007/s00787-020-015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