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BL-applied Environmental Writing Class on Climate Literac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22.11.28
  • Accepted : 2022.12.27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BL applied environmental writing class on the climate literac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43 5th grade students. To carry out this study, an environmental writing class that applied PBL in the 8th clas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writing class applying PB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climat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cognitive and definitional domains, excluding the sub-domain of climate literacy. Second, the environmental writing class applying PB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ll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sensitivity, aesthetic sense and emotional stability, and sympathy and compassion. The reason why the environmental writing class applying PBL was able to improve the climate literac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tha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alize that environmental problems are deeply related to our real lives.

본 연구는 P광역시 H초등학교 5학년 4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 및 환경감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8차시의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기후소양의 하위영역 실천영역을 제외한 인지와 정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은 초등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환경감수성의 하위영역 민감성, 심미감과 정서안정, 동정과 연민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 및 환경감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원인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환경문제가 우리의 실생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가은(2017). 친환경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경희(2013). 환경이야기 창작 활동이 초등학생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성(2012). 환경동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순식, 최성봉(2010). 환경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민감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학회지, 19(1), 69-80.
  5. 김은영(2022). 토의.토론을 강조한 환경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정, 조부경(2013). 사진을 활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미디어 연구, 12(2), 23-46.
  7. 김정민(2015). PBL 기반 초등학교 저학년 환경교육 자료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진주(2018).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환경 글쓰기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문경은(2013). 환경글쓰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생활 쓰레기 배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정애, 최돈형(2008). 환경일기쓰기를 통한 환경소양함양. 한국환경교육, 21(3), 13-25.
  11. 박혜경(2014). 초.중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기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배지아(2017).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문제 중심학습 연구: 4학년 식물의 생활 단원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서우석(1999). 초등학교 실과교과를 통한 환경교육의 방안. 실과교육연구, 5(1), 73-90.
  14. 손준호(2016).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Keeling Curve)활동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292-308.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292
  15. 안윤화(2016). 환경동화를 활용한 유아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윤나경(2021). 기후변화와 관련된 환경일기 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상원, 이영희(2010).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지, 16(4), 125-146.
  18. 이영희(2010). NIE를 활용한 환경 글쓰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용섭(2015). 초등예비교사의 생태동아리 멘토 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78-38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78
  20. 이용섭, 김순식(2013).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지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35-241.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35
  21. 전수옥(2004).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교육교재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3. Savery, J. R., & Duffy, T. M. (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5), 31-38.
  24. Torp, L., & Sage, S. (2002).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dulum.
  25. Walton, H. J., & Mathews, M. B. (1989). Essentials of problem-based learning. Medical Education, 23, 542-558. https://doi.org/10.1111/j.1365-2923.1989.tb0158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