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dult attachmen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it is inferred that infants and toddlers attending daycare centers will b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ir parents' adult attachment type. For this study, a total of 247 copies of the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43 copies where data were omitted after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00 parents (150 parents and 150 mothers) of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dult attachment, self-recovery elastic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imulate normality statistical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lf-recovery elasticity was verified as a negative relation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verified as a negative relationship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influence of parents' adult attachment on self-recovery elasticity, parental attachmen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어린이집에 일찍 보내는 부모는 자녀와 애착형성을 이루기보다 부모가 갖고 있는 성인애착유형에 따라 영유아에게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줄 것으로 유추되어, 영유아가 부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영유아 부모 300명(부 150명, 모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자료가 누락 된 43부를 제외하고 총 247부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 성인애착, 자아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의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정규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성인애착이 자아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는 부적관계로 검증되었으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부적관계로 검증되었으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로 부모의 성인애착이 자아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의 현상학적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