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 attachment types of daycare center parents

어린이집 부모의 성인애착유형이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연구

  • 신동열 (대한 신학대학원 대학교) ;
  • 신수원 (대한 신학대학원 대학교)
  • Received : 2022.01.04
  • Accepted : 2022.01.13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dult attachmen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it is inferred that infants and toddlers attending daycare centers will b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ir parents' adult attachment type. For this study, a total of 247 copies of the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43 copies where data were omitted after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00 parents (150 parents and 150 mothers) of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dult attachment, self-recovery elastic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imulate normality statistical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lf-recovery elasticity was verified as a negative relation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verified as a negative relationship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influence of parents' adult attachment on self-recovery elasticity, parental attachmen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어린이집에 일찍 보내는 부모는 자녀와 애착형성을 이루기보다 부모가 갖고 있는 성인애착유형에 따라 영유아에게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줄 것으로 유추되어, 영유아가 부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영유아 부모 300명(부 150명, 모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한 후, 자료가 누락 된 43부를 제외하고 총 247부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 성인애착, 자아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의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정규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성인애착이 자아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는 부적관계로 검증되었으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부적관계로 검증되었으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로 부모의 성인애착이 자아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의 현상학적 연구를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희(2021), "행복코칭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2. 서현석(2013),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후기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3. 서해인(202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아동기 부모애착과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4. 신수정(2017),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5. 장에스더(2021),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역경후성장의 관계:긍정적 자기자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지각된 정서적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6. 어영란(2019), "중년기 여성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고통감내력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국내석사.
  7. 정주희(2019), "대학생의 성인애착, 자기비하, 탈중심화, 반추,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원대학교.
  8. 태진우, 남종호(2021), "중년남성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9. Ainsworth M. D. S. (1973), The development of infant-mother attachment. In B. M. S.(1973). Caldwell & H. N. Ricciuti(Ed.),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3.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 The science of happiness andaproposal for a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11. Emmons, R. A, &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w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m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8(5).
  12.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ew York: Broadway Books.
  13. Heinzer, M. M. (1995), Loss of a parent in childhood: attachment and coping in a model of adolescent resilience. Holistic Nursing Practice, 9(3).
  14. Main, M. (1995), Attachment: Overview, with implications for clinical work. In. S. Goldberg, R. Muir, & J. Kerr (Eds.), Attachment theory: Social, developmental and clinical perspectives, (pp.407-474). Hillsdale, New Jersey.: Analytic Press.
  15.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80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