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gital Medicine Taken by Eye and Ear :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ronic brain disease using VR/AR technology

눈과 귀로 복용하는 디지털 치료제 : VR/AR 공감 반응을 활용한 만성 뇌 질환 재활치료방법 개발

  • 이종현 (서울대학교 뇌 융합 인문과학 실험실(BHL)) ;
  • 권영성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21.12.22
  • Accepted : 2022.01.20
  • Published : 2022.01.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ronic brain disease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VR/AR technology and raises the research need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In addition, by proposing a digital therapeutic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R/AR rehabilitation treatment.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research trends of VR/AR technology, neurophysiology, and chronic brain disease and proposed a method for applying VR/AR technology to treat chronic brain disease patients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prepare a neurophysiological basi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brain disease patients using VR technology. The second stage is to provide a treatment method using VR/AR technology and systematize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The third stage is to conduct clinical trails and validate that the treatment method and contents utilization is effective for the patient. It is hope that this study serves as a guide for developing media production base technology for treating patient with a chronic brain disease.

본 연구는 VR/AR 기술을 활용한 만성 뇌 질환 재활치료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디지털 치료제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 연구이다. 아울러 디지털 치료제 연구 개발 과정을 제안하여 VR/AR 재활치료가 그 잠재력을 발휘하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VR/AR 기술 연구, 신경생리학적 연구, 만성 뇌 질환 환자 치료 연구의 동향을 규명하였으며, VR/AR 기술을 만성 뇌 질환 환자들의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과정 및 방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뇌질환 환자 재활치료의 신경생리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이러한 신경생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VR/AR 기술을 활용한 치료 방법 및 그에 따른 콘텐츠의 특징을 체계화하는 단계이며, 세 번째 단계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치료 방법과 콘텐츠 활용이 환자에게 실제로 효과가 있음을 의학적으로 밝혀내는 단계이다. 본 연구의 제안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향후의 연구는 개인과 사회에 공헌하고 학계와 산업계의 여러 분야에 파급 효과를 끼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가 만성 뇌 질환 환자 치료용 미디어 제작 기반 기술 개발 및 디지털 치료제 개발 산업의 기반을 닦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NRF-2020R1G1A1101384).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D KIOSK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보 길잡이) 제57호>, 2019.
  2. Laver, K. E., Lange, B., George, S., Deutsch, J. E., Saposnik, G., & Crotty, M., 「Virtual reality for stroke rehabilit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
  3. 권영성, 이종현, & 이성은, 「배경음악의 템포가 수용자의 공감과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뮤리듬 웨이브렛 변환 뇌파 분석 연구」, 「PREVIEW:디지털영상학술지」, 2021.
  4. 권혁찬, 양윤하, 황수진, 김수희, 이현주, & 태기식,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증강현실 거울치료 효과 비교」,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5. 김정자, & 최은영,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심리재활에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2005.
  6. 양병일, & 박형기, 「동작관찰 훈련과 운동 상상훈련이 뇌 활성상태에 미치는 효과」, 「신경치료」, 2018.
  7. 양병일, & 박형기, 「테라테인먼트적 가상운동 프로그램이 하지 근 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8.
  8. 이문규, & 김종만,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1.
  9. 이현주, 송근산, 임현승, & 태기식, 「뇌파분석을 통한 증강현실 기반 거울운동이 거울신경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2019.
  10. 장한진, & 노기영, 「3D 게임의 입체영상효과와 피로도에 대한 실험연구: 뇌생리학 측정의 결합」,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13.
  11. Bang, Y., Son, K., & Kim, H. 「Effect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using Nintendo Wii and treadmill walking exercise on balance and walking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06.
  12. Johansson, B. B., 「Current trends in stroke rehabilitation. A review with focus on brain plasticity」,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2011.
  13. Kim, J. Y., Ko, Y. M., & Park, J. W., 「Comparison of EEG Changes Induced by Action Execution and Action Observatio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7.
  14. Kim, J., Jang, S., Kim, C., Jung, J., & You, J. 「Use of virtual reality to enhance balance and ambulation in chronic stroke: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9.
  15. Kwon, Y. S., & Lee, S. E., 「Cognitive Processing of Sound Effects in Television Sports Broadcasting」, 「Journal of Radio & Audio Media」, 2020.
  16. Lutz, O., Burmeister, C., dos Santos, L., Morkisch, N., Dohle, C., & Kruger, J., 「Application of head-mounted devices with eye-tracking in virtual reality therapy」,「Current Directions in Biomedical Engineering」, 2017.
  17. Moon, J., Jeon, M., Kim, B., & Cho, H. 「Effects of virtual reality combined with balance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ost-stroke: a preliminary study」,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8. Mouthon, A., Ruffieux, J., Walchli, M., Keller, M., & Taube, W., 「Task-dependent changes of corticospinal excitability during observation and motor imagery of balance tasks」, 「Neuroscience」, 2015.
  19. Oberman, L. M., Pineda, J. A., & Ramachandran, V. S., 「The human mirror neuron system: a link between action observation and social skills」,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2007.
  20. Pineda, J. A.,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mu rhythms: translating "seeing" and "hearing" into "doing"」, 「Brain research reviews」, 2005.
  21. Reynolds, C., Osuagwu, B. A., & Vuckovic, A., 「Influence of motor imagination on cortical activation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linical Neurophysiology」, 2015.
  22. Song, B. K.,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in sensory, hand function, postural control and ADLs within sensorimotor deficits after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2.
  23. Straudi, S., Severini, G., Charabati, A. S., Pavarelli, C., Gamberini, G., Scotti, A., & Basaglia, N., 「The effects of video game therapy on balance and attention in chronic ambulatory traumatic brain injury: an exploratory study」, 「BMC neurology」, 2017.
  24. 보건복지부, 뇌졸중 신규환자의 10년간 총 의료비 4,618억 원, 장애등록률 28.3%, 소득계층 하향 변화, 2018.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4584)
  25. 보건복지부, 심근경색.뇌졸중 이제 국가가 종합 관리한다, 2018,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588448)
  26. Gartner, <5 Trends Emerge in the Gartner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2018. Retrieved from https://www.gartner.com/smarterwithgartner/5-trends-emerge-ingartner-hype-cycle-for-emerging-technologies-2018/
  27. Grand View Research, , 2017. Retrieved from https://www.grandviewresearch.com/press-release/global-digital-therapeutics-market
  28. Harvard Business Review Staff, , 2017. Retrieved from "https://hbr.org/2017/11/a-managers-guide-to-augmented-reality#augmented-reality-in-the-real-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