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ing Immersive Theatre -Focus on the Case Analysis of the Local Production of -

이머시브 공연 프로듀싱의 특징 연구 -<위대한 개츠비> 국내공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최경화 ((주)스테이지앤조이) ;
  • 변혁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Received : 2021.12.22
  • Accepted : 2022.01.24
  • Published : 2022.01.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theatres through previous studies. Immersive Theatres can be understood as a form of performance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in various spaces so that the audience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or immerse themselves sensibly. However, since it absorbs various art forms and continues to change and develop,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concept by grasping its characteristics as an immersive experience rather than defining it as on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eatrical producers and immersive theatres, the producing immersive theatre < The Great Gatsby> is analyzed to derive differences between the immersive theatre and the gener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mmersive theatres have audiences at the center of all aesthetic performance environments.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audience as a "passive consumer" change to an "active and creative consumer" in immersive theatres where the audience-centered immersive environment and experience are the key, and it was found that not only producers but also the creatives should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audience and reflect it in the producing.

본 연구는 공연의 기획·제작과정의 전반을 책임지는 공연 프로듀서 관점에서 이머시브 공연의 프로듀싱에 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이머시브 공연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책임 프로듀서로 참여한 이머시브 공연 <위대한 개츠비> 국내 공연의 프로듀싱 과정을 단일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듀서 관점에서 기존 프로시니엄 무대에서의 일반 공연과 이머시브 공연 프로듀싱의 차별점과 프로듀서로서 주목해야할 이머시브 공연의 특성에 관해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osephine Machon, 「Immersive Theatres - Intimacy and Immediacy in Contemporary Performance」, London, Palgrave Macillan, 2013
  2. Jason Warren, 「Creating Worlds; How to Make Immersive Theatre」, London: Nick Hern Books, 2017, Introduction
  3. 백영주,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인문콘텐츠36」, 서울: 인문콘텐츠학회, 2015
  4. 리봄, 「한국 이머시브 연극 특성」,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연극원 연극학과 연극학전공, 2021
  5. 박성연, 「수용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 연극의 '관객성'연구」, 서울: 세종대학교 대학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박사학위 논문, 2021
  6. 서지혜 외 2인, 「2018 공연예술트렌드조사 보고서」,(예술경영지원센터,2018)
  7. 손국봉, 「무대예술과 결합한 디지털 영상 표현의 재매개와 시공간 확장성에 관한 연구」,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술.디자인학과 영상.애니메이션전공 박사학위 논문, 2021
  8. 오승희, 「동시대 공연예술 프로듀서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국내비영리 공연예술 프로듀서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무용원 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2016
  9. 오은영, 「확장적 극 공간에 관한 연구:<로드씨어터 대학로>를 중심으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무대미술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7
  10. 정새롬, 「이머시브연극(Immersive Theatre)의 공연미학연구:극단 '펀치드렁크'의 상하이공연을 중심으로,서울:중앙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연극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19
  11. 진소현, 「이머시브 연극의 특성 연구」,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연극원 연극학과 극장경영전공, 2018
  12. 허순자, 「이머시브 연극(Immersive Theatre)의 장소성과 관객의 공간 이동성」,「연극교육연구 29」, 서울: 한국연극교육학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