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Proportional Reasoning Tas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추론 과제의 분석

  • Received : 2021.12.23
  • Accepted : 2022.01.26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Current mathematic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ratio and proportion concept is not distorted or broken while being treated as if they were easy to teach and learn in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 Based on prior work,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proportional reasoning task from the proportional perspective of Beckmann and Izsak(2015) to the multiplicative structure of Vergnaud(1996) in four ways. This compared how they interpreted the multiplicative structure and relationships between two measurement spaces of ratio and rate units and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units presented in the revised textbooks of 2007, 2009, and 2015 curriculum.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proportional reasoning task presented in the ratio and rate section varied by increasing both the ratio structure type and the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y during the 2009 curriculum, but simplified the content by decreasing both the percentage structure type and the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y. In addition, during the 2015 curriculum, the content was simplified by decreasing both the type of multiplicative structure of ratio and rate and the type of proportional reasoning, but both the type of multiplicative structure of percentage and the content varied. Second, the study found that, the proportional reasoning task presented in the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e sections was similar to the previous one, as both the type of multiplicative structure and the type of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y increased during the 2009 curriculum. In addition, during the 2015 curriculum, both the type of multiplicative structure and the activity of proportional reasoning increased, but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one 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ype of multiplicative structure and proportional reasoning. Therefore,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analyze the multiplicative structure and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ies of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reconstruct them according to the concepts to teach them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proportional reasoning in various situations.

본 연구에서 초등 교과서의 비와 비율 단원 및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에서 비와 비례 개념과 관련하여 제시된 활동을 분석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추론 과제가 교육과정별로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비와 비율 단원에 제시된 비례추론 과제가 2009 개정 때에는 비와 비율의 곱셈 구조 유형과 비례추론 활동이 모두 늘어 내용이 다양해졌지만, 백분율의 곱셈 구조 유형과 비례추론 활동은 모두 약화되었다. 2015 개정 때에도 둘 다 약화되었고, 백분율의 곱셈 구조 유형과 비례 추론 활동은 모두 늘어 내용이 다양해졌다.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에 제시된 비례추론 과제가 2009 개정 시기에는 비의 성질의 곱셈 구조 유형과 비례추론 활동이 모두 증가하여 내용이 다양해졌지만, 비례식과 비례배분은 곱셈 구조 유형만 늘고 비례추론 활동에는 큰 변화가 없어 이전과 내용이 비슷했다. 그리고 2015 개정 시기에 비례식의 곱셈 구조 유형과 비례추론 활동이 모두 늘어 내용이 다양해졌지만, 비의 성질과 비례배분은 곱셈 구조의 유형과 비례추론 활동에 큰 변화가 없어 이전 내용과 비슷하였다. 비와 비율 단원과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에서 모두 다중 묶음 관점에 따라 측정 공간 내의 분석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주로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수학 5-2. 두산동아.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 6-1. 두산동아.
  3. 교육과학기술부(2011c).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1d).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수학과).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2015a). 수학 6-1. (주)천재교육.
  6. 교육부(2015b). 수학 6-2. (주)천재교육.
  7. 교육부(2015c).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교육부.
  8. 교육부(2020a). 수학 6-1. (주)비상교육.
  9. 교육부(2020b). 수학 6-2. (주)비상교육.
  10. 권미숙, 김남균(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과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11-229.
  11. 박선영, 이광호(2018).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 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 -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1(2), 237-260.
  12. 서은미, 방정숙, 이지영(2017).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비례 추론 수업 분석: 비표, 이중수직선, 이중테이프 모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4), 791-810.
  13. 엄선영, 권혁진(2011). 학업성취도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및 전략 분석. 초등수학교육논문집, 15(3), 537-556.
  14. 임재훈, 이형숙(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연구, 25(2), 189-206.
  15. 정영옥 (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16. 정은실(1998). 곱셈 구조에 대한 개념적 장 연구. 과학교육연구, 24, 57-68.
  17. 정은실(2003). 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수학적, 심리적 분석. 학교수학, 5(4), 421-440.
  18. 정은실(2013).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비례 추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505-516.
  19. 조지원, 신항균(2018). 이중수직선과 이중테이프 모델을 활용한 비율 지도가 초등학생의 비례추론 능려고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9(4), 51-67. https://doi.org/10.20972/KJEE.29.4.201812.51
  20. Beckmann, S., & Izsak (2015). Two perspectives on proportional relationships: Extending complementary origins of multiplication in terms of quantiti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17-38.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6.1.0017
  21. Fredenthal, H. (1983). Dida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2. Vergnaud, G. (1996). The theory of conceptual fields. In L. P. Steffe & P. Nesher (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219-239. Mahwah, NJ: Lawrence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