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청주교육대학교 대학발전연구과제(과제번호 CJE2020D027) 연구 수행 결과로 작성된 것임
References
-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2008).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다면체 정의 구성 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18(1), 53-77.
-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영미(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 44(2), 307-323.
- 김남균(2019).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의 개방형 수학 수업설계와 실행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35(1), 85-103.
- 김연주, 나귀수(2009).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141-161.
- 김은혜, 박만구(2011). 수학 영재교육 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해결 전략 및 행동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9-38.
- 박화영, 김수환(2006).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수학 영재아 수업 사례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0(1), 117-145.
- 백동현, 이경화(2017).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다중해법 간의 질적 차이 분석. 학교수학, 19(3), 481-494.
- 신인선, 김시명(2006).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행동특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0(1), 33-59.
- 양은경, 신재홍(2014). 개방형 기하 문제에서 학생의 드래깅 활동을 통해 나타난 수학적 추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1), 1-27.
- 오민영(2020).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생들의 예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 오민영, 김남균(2021).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예 공간 분석. 초등수학교육, 24(4), 247-264.
- 이대현(2008). 초등 수학 평가를 위한 개방형 문제의 활용 결과 분석. 수학교육, 47(4), 421-436.
- 이대현(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 임송현(2014). 조건부족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영재의 수학적 사고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임재훈(2012). 초등수학 교과서의 분수 곱셈 알고리즘 구성 활동 분석: 모델과 알고리즘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4(1), 135-150.
- 정동권(1996). 兒童의 發展的 思考力을 기르기 위한 Open-ended Problem의 活用.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29(2), 225-239.
- 정두영, 김도상(2000).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수학 교수.학습의 전개. 수학교육논문집, 10, 201-219.
- 하수현, 이광호(2014). Leikin의 수학적 창의성 측정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83-103.
- Becker, J. P., & Shimada, S.(2004). 개방형 교수법: 수학 지도를 위한 새로운 제안(구광조, 전평국, 박성선, 문성길,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1995).
- Bingolbali, E.(2011). Multiple solutions to problems in mathematics teaching: Do teachers really value them?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1), 18-31. https://doi.org/10.14221/ajte.2011v36n1.2
- Bingolbali, E., & Bingolbali, F.(2020). An examination of tas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multiple outcomes and multiple s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4), 214-235.
- Krutetskii, V. A. (2014). 수학적 능력의 심리학(송상헌, 임재훈, 권석일, 남진영, 정영옥, 서동엽, 김성준, 김지원,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1976).
- Lekin, R. (2007). Habits of mind associated with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and solution spaces of mathematical tasks. In D. Pitta-Pantazi, & G. Philippou(Eds.), Proceedings of the fif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CERME-5 (pp.2330-2339).
- Leikin, R.(2009a). Exploring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129-145). Rotterdam,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 Leikin, R.(2009b). Multiple proof tasks: Teache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In Proceedings of ICMI Study-19: Proofs and proving.
- Leikin, R., & Lev, M.(2013). Mathematical creativity in generally gifted and mathematically excelling adolecents: What makes the difference?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5(2), 183-197. https://doi.org/10.1007/s11858-012-0460-8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14).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al success for all. USA: The Council.
- Palmer, H., & van Bommel, J.(2018). The role of and connection between systematization and representation when young children work on a combinatorial task.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6(4), 562-573. https://doi.org/10.1080/1350293x.2018.1487141
- Sarama, J., & Clements, D. H.(2009).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Learning trajectories for young children. Newyork: Routledge.
- Tsamir, P., Tirosh, D., Tabach, M., & Levenson, E.(2010). Multiple solution methods and multiple outcomes-is it a task for kindergarten children? Edu. Stud Math, 73, 217-231. https://doi.org/10.1007/s10649-009-9215-z
- Watson, A., & Mason, J. (2015). 색다른 학교 수학(이경화,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