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 Yoo, Je-Bog (Department of Nurs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ong, Jae-W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2.11.21
  • 심사 : 2022.12.22
  • 발행 : 2022.12.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상호작용효과를 구성요인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문직업관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 내 체계성과 객관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내 구성요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관리에 기여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in nursing service workers. Furthermore, we explored the interactive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erms of component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on job performance. Our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and originality of the job in the professional view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we discovered that systematicity and objectivity i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ignificantly affect job performance. Third, we fou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ach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improve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professionalism and essential dispositions of thinking to enhance nursing service workers' job performance.

키워드

I. Introduction

최근 우리 사회는 고령화와 팬데믹으로 인해 환자 수가 증가하면서 의료인력의 부족과 함께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업무수행 활동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환자 수 증가는 다양한 의료상황을 동반하는데, 특히 위중증 환자와 수술을 요하는 특별한 의료상황에서는 더욱 환자의 안전을 관찰하고 관리[1]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전문적인 업무능력이 요구된다.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연구자들은 업무수행 능력의 선행요인을 찾고 척도를 개발하며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노력을 해 왔다.

업무능력 향상의 선행요인으로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 성향을 들 수 있는데, 백희정[2]은 Hall[3]의 전문직업관 척도를 기반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간호사 전문직업관 척도를 제안하였으며, 윤진[4]과 권인수 외[5]는 Facione[6]의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간호 환경에 적합한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 도구를 제안하였다. 한편, 인과관계 연구와 관련해서는 개발된 연구 도구를 이용하여,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침을 밝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7-8].

기존 연구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라는 상위차원에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 성향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차원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 성향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차원의 요인들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 성향의 상호작용적 효과를 하위차원에서 살피고자 한다.

II. Related Works

1. Professionalism

전문직업관(Professionalism)은 특정 직종에 속한 전문가 집단이 가지는 직업적 견해를 의미하며, 직업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언론인의 경우 전문직업관은 언론 분야 전문직으로서의 구성요건을 잘 갖추고 있으며, 직업적 태도가 전문직의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 정도로 보고 있다[9].

간호 서비스 분야에서 전문직업관은 조직몰입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간호업무의 수행 즉, 간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7]. 특히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전문직업관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인이 되며, 궁극적으로 직업 만족도와 조직몰입 및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10-11]. 바람직한 전문직업관은 교육과 연구, 건강 환경 구현, 정의와 신뢰 증진, 취약자 보호 등 윤리강령에 기초한다[12].

특히 회복마취 간호사는 수술한 환자의 마취 전환자를 관리하고, 마취 중인 환자 대상 모니터를 통한 간호, 수술 후 회복을 위한 간호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마약과 향정신성 약품 관리와 마취 장비 및 수술환자의 통증관리에 이르기까지 총체적 마취환자 간호 관리를 담당하고 있어[13-14] 간호 서비스의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전문직업관이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사의 전문직업관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3,15-16], 전문직업관은 전문조직의 준거성, 공적 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율적 업무수행성, 자체 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등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된다[2-3]. 한편, 국가 간 사회 문화적 특성이 상이하므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전문직업관의 규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Yoon et al.[17]은 간호사의 전문직업관의 구성요인을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 전문성, 간호실무 역할, 간호의 독자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2.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비판적 사고는 개인 또는 전문적 업무의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위해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인 성향으로[18], 인지적 측면에서의 비판적인 사고능력과 태도적인 측면에서의 비판적인 사고 성향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비판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적인 능력인 비판적 사고능력뿐 아니라, 비판적인 사고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적용하고자 하는 비판적 사고 성향의 증진이 필요하다[8]. 특히 간호업무 환경은 간호 대상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 비판적인 사고를 통한 신속한 판단이 중요하다[14].

비판적 사고성향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측정이 요구되는데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Facione[6]의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해 왔다. 이후 국내 환경에 적합한 비판적 사고 성향 척도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윤진[4]은 간호학 중심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정의하고 이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지적 열정, 신중성, 자신감, 체계성, 지적 공정성, 건전한 회의성, 객관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권인수 외[5]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연구에서 지적통합, 창의성, 도전성, 개방성, 신중성, 객관성, 진실추구, 탐구성 등의 요인을 제시한 바 있다.

3. Job Competency

직무수행 능력이란 특정 직종과 직위에 따라 독특하게 요구되는 전문능력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척도가 되며 이는 직무성과로 표출된다[19]. 조직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직무수행을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 및 태도 측면에서 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능력의 차이에 따라 직무성과가 달라진다[20]. 조직 구성원 측면에서 볼 때 개인은 바람직한 직무수행을 통해 자신의 직무에 대한 보람과 긍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며 이는 직무에 대한 만족으로 나타난다.

간호 분야에서 직무수행 능력은 간호업무에 대한 지식과 판단, 기술, 태도 등을 적절하게 보여주고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21]. 유제복 외[8]는 간호사의 임상 수행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선행요인으로 셀프리더십과 간호 전문직관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을 제시하면서 특히 비판적 사고성향의 영향이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III. Methodology

1. Research Model

본 연구는 간호 서비스에 있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나아가 이들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성요인 차원에서 살피고자 한다. 이를 연구 문제와 연구모형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Fig. 1 참조).

CPTSCQ_2022_v27n12_285_f0001.png 이미지

Fig. 1. Research Model

연구문제 1: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연구문제 2: 전문직업관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 구성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본다.

2. Measurement

전문직업관(Professionalism)은 특정 직종에 속한 전문가 집단이 가지는 직업적 견해를 의미하므로[22],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업적 견해로 정의하고 기존 연구[17,23]에서 개발된 도구를 기본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전문성, 간호계 역할, 간호 독자성 등 총 18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1, 보통=3, 매우 그렇다=5)로 구성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Critical Thinking Disposition)은 개인적이거나 전문적인 업무에 대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도출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 성향[18]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문제해결을 위한 개인적 판단 성향으로 정의하고 기존 연구[4]에서 개발된 도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측정을 위한 하위 구성항목은 지적 열정, 체계성, 객관성, 지적 공정성, 신중성 등 27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1, 보통=3, 매우 그렇다=5)로 구성하였다.

직무수행 능력은 간호사가 현장에서 능숙하고 적절하게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과 능력으로 정의하고, 10년 이상의 관련 임상경험 관리자와 간호학 교수 및 전문의의 자문을 받아 특정 간호 서비스 수행에 있어서 요구되는 주요 간호 업무수행 능력을 8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전혀 그렇지 않다=1, 보통=3, 매우 그렇다=5).

3. Research Data

본 연구에서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및 직무수행능력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 회복마취 분야 실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7년 수집된 193부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연령대는 20대(45.1%)가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는 30대(34.7%), 40대(17.6%), 50대(2.6%)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95.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의 업종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Table 1).

Table 1. Samples

CPTSCQ_2022_v27n12_285_t0001.png 이미지

IV. Results

1. Reliability Test

전문직업관 측정 변수의 신뢰성 분석을 위해 사전적으로 정의된 측정 문항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해당 요인으로 분류되지 않는 문항들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제외하고 분석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즉,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 전문성, 간호 독자성 등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전문직업관의 구성요인으로 사용하였다.

Table 2. Factor Analysis of Professionalism

CPTSCQ_2022_v27n12_285_t0002.png 이미지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 변수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수행한 결과, 개별 문항들은 지적 열정, 체계성, 객관성, 지적 공정성, 신중성 등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비판적 사고 성향의 구성요인으로 사용하였다(Table 3 참조).

Table 3. Factor Analysi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PTSCQ_2022_v27n12_285_t0003.png 이미지

한편, 직무수행 능력 측정 변수의 경우는 설문으로 구성된 문항들이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직무수행 능력으로 사용하였다(Table 4).

Table 4. Factor Analysis of Job Competency

CPTSCQ_2022_v27n12_285_t0004.png 이미지

2. Statistics

측정 변수들의 기초 통계적 특성은 Table 5와 같다. 즉, 전문직업관 구성요소 중에서 직무 독자성(OJ)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m=4.080, std=.741), 사회적 인식(SR)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2.847, std=.662). 비판적 사고 성향 구성요소에 있어서는 객관성(OB)이 가장 높았고(m=3.930, std=.494), 신중성(PR)은 상대적으로 낮았다(m=2.705, std=.728). 한편 직무수행 능력은 평균 3.967로 전반적으로 볼 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Table 5. Statistics of Variables

CPTSCQ_2022_v27n12_285_t0005.png 이미지

SC: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SR: Social recognition, PJ: Professionalism of job, Oj: Originality of job, IE: Intellectual eagerness, SY: Systemicity, OB: Objectivity, IF: Intellectual fairness, PR: Prudence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전문직업관을 구성하는 모든 요인들은 직무수행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의 경우도 신중성(PR)을 제외한 모든 구성 요인들이 직무수행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직업관 내에서는 직무 전문성(PJ)이 전문직 자아개념(SC) 및 사회적 인식(SR)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내에서는 지적 열정(IE)이 체계성(SY) 및 지적 공정성(IF)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CPTSCQ_2022_v27n12_285_t0006.png 이미지

a<.05, b<.01, c<.001, JC: Job competency

3.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Job Competency

전문직업관을 구성하는 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직무수행 능력, 통제변수를 성별과 나이로 투입하여 수행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즉, 전문직업관을 구성하는 전문직 자아개념(β=.225, p<.01)과 업무 독자성(β=.171, p<.05)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인식과 업무 전문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직업관의 구성요인 중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에 대한 인식을 특히 함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통제변수의 경우는 연령이 많을수록 직무수행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Job Competency

CPTSCQ_2022_v27n12_285_t0007.png 이미지

*p<.05, **p<.01

SC: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SR: Social recognition, PJ: Professionalism of job, ON: Originality of job

4.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 사고 성향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비판적 사고성향 중에서 체계성(β=.265, p<.001)과 객관성 요인(β=.268, p<.001)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 열정과 지적 공정성 및 신중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on Job Competency

CPTSCQ_2022_v27n12_285_t0008.png 이미지

**p<.01, ***p<.001

IE: Intellectual eagerness, SY: Systemicity, OB: Objectivity, IF: Intellectual fairness, PR: Prudence, JC: Job competency

5. Interaction Effec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먼저 해당 구성요인들의 평균을 이용하여 총합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 주 효과(main effect)는 존재하였으나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Table 9에서 보듯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상호작용 항이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Table 9. Interaction Effec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PTSCQ_2022_v27n12_285_t0009.png 이미지

**p<.01, ***p<.001

하지만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세부 구성요인 차원에서의 분석에서 부분적인 상호작용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전문직업관의 업무 전문성(PJ) 요인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체계성(SY) 요인의 상호작용 항(β=.153, p<.05), 업무 전문성(PJ)과 지적 공정성(IF)의 상호작용 항(β =-.165, p<.05), 업무 전문성(PJ)과 신중성(PR)의 상호작용 항(β=-.198, p<.01)이 유의미하게 나타남에 따라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직업관의 업무전문성은 비판적 사고성향의 체계성과 지적 공정성 및 신중성과의 통해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킴을 시사한다.

Table 10. Interaction Effec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t the component level

CPTSCQ_2022_v27n12_285_t0010.png 이미지

*p<.05,**p<.01, ***p<.001

V. Conclusions

본 연구에서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 구성요인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구성요인 간의 상호작용적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업관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인 중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전문직업관을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 측면에서 더욱 중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인 중 체계성과 객관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잦은 간호업무환경을 고려할 때 간호 서비스 종사자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사고를 통해 대처함으로써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조직목표 달성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하위 구성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전문직업관의 하위 요인 중 업무전문성은 직무수행 능력에 독자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과 상호작용을 통해서는 직무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전문직업관의 업무 전문성은 비판적 사고성향의 체계성, 지적 공정성, 신중성과 각각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상위차원이 아닌 하위차원에서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세부적인 접근을 하였으며, 나아가 하위차원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전문직업관의 선행요인[24]과 매개효과[25] 연구, 비판적 사고성향의 선행요인[26] 연구, 임상수행능력의 선행요인[27] 연구 등과 함께 개인 및 조직 성과향상을 위한 이론 확장에 기여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의 한계점을 가진다. 첫째, 설문 대상자의 업무 분야 측면에서의 한계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마취 분야 간호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는 해당 분야에 제한적으로 해석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다양한 분야로 확장함으로써 일반화의 한계를 제고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설문 대상자의 지역 측면에서의 한계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에 국한하여 수집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적 확장을 통한 일반화의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간호 업종 특성상 여성 비중이 높은 성별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통제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 Bhandary, R., Chakka, U., "Care and monitoring of the anaesthetized patient," Surgery (Oxford), Vol. 34, No. 2, pp. 79-83, 2016. DOI: 10.1016/j.mpsur.2015.11.012
  2. Baek, H. C., Kim, Y. S.,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ism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4, pp. 509-515, 2007.
  3. Hall RH.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 Sociol Review, Vol. 33, No. 1, pp. 92-104, 1968. https://doi.org/10.2307/2092242
  4. Yoon 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4.
  5. Kwon KJ, Ko KH, Kim KW, Kim JA.,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284-292, 2007. DOI: 10.11111/jkana.2010.16.3.229
  6. Facione, P. A., Test manual.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CCTDI). Millbrae, CA :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2.
  7. Jeon O. B., Ryu S. W., "Effect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42, No. 3, pp. 216-222, 2017. DOI: 10.21032/jhis.2017.42.3.216
  8. Yoo J. B., Hong M. J.,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y of Korean Nurses in the Perianesthesia Sett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9, No. 6, pp. 3345-3359, 2017.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6.3345
  9. Kang H. J.,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Newspaper Headlines : Focused on News Influence Variables, Editor's Role Orientation and Professionalis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8, pp. 347-365, 2012. DOI: 10.14400/JDPM.2012.10.8.347
  10. Kwon K. J., Ko K. H., Kim K. W., Kim J. A.,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3, pp. 229-239, 2010. DOI: 10.11111/jkana.2010.16.3.229
  11. Jung DH.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ports for all leade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0, No. 4, pp. 467-476, 2001.
  12. Kang S. W., Choi E. J., "Awareness Towards Code of Ethics for Korean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2, pp. 1101-1114, 2015.
  13. Yoo J. B., Won J. S., "Impact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Job Satisfaction of Post-anesthesia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0, No. 6, pp. 3211-3225, 2018. DOI: 10.37727/jkdas.2018.20.6.3211
  14. Yoo J. B., Jang H. J., Jeong J. H., In W. Y.,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anesthesia Nurse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1, No. 5, pp. 2687-2698, 2019. DOI: 10.37727/jkdas.2019.21.5.2687
  15. Hampton, D. L., Hampton, G. M., "Professionalism and the nurse-midwife practitioner: A explanatory study," J Am Acad Nurse Pract, Vol. 12, No. 6, pp. 218-225, 2000. DOI: 10.1111/j.1745-7599.2000.tb00185.x
  16. Wynd, C. A. "Current factors contribution to professionalism in nursing," J Prof Nurs, Vol. 19, No. 5, pp. 251-261, 2003. DOI: 10.1016/S8755-7223(03)00104-2
  17. Yoon, E. J., Kwon, Y. M., Ahn, O. H.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6, pp. 1091-100, 2005. DOI: 10.4040/jkan.2005.35.6.1091
  18. Facion, P. A., Facion, N. C.,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s test and national. League for nursing accreditation requirement Millbrae, CA: Academic, 1994.
  19. Tett, R. P., Meyer, J. 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 46, No. 2, pp. 259- 293, 1993. DOI: 10.1111/j.1744-6570.1993.tb00874.x
  20.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 28, No. 1, pp. 1-14, 1973. DOI: 10.1037/h0034092
  21. Barrett, C., Myrick, F.,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7, No. 2, pp. 364-371, 1998. DOI: 10.1046/j.1365-2648.1998.00511.x
  22. Weis, D., Schank, M. J.,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32, No. 2, pp. 201-204, 2000. DOI: 10.1111/j.1547-5069.2000.00201.x
  23. Han, S. S., Kim, M. H., Yung, E. K.,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4, No. 1, pp. 73-79, 2008. DOI: 10.5977/JKASNE.2008.14.1.073
  24. Lee H. N.,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Intravenous injections in Seni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2, No. 23, pp. 171-181, 2022. DOI: 10.22251/jlcci.2022.22.23.171
  25. Hong K. J., Han J. J.,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8, No. 4, pp. 389-399, 2022. DOI: 10.5977/jkasne.2022.28.4.389
  26. Seo J. U., Hong S. Y., "The Influence of Online Basic Clinical Trai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7, No. 2, pp. 91-98, 2022. DOI : 10.9708/jksci.2022.27.02.091
  27. Do K. J., Choi H. S., "Impact of Communication Ability, Gender Role Ident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Wellness, Vol. 17, No. 4, pp. 61-67, 2002. DOI : 10.21097/ksw.2022.11.17.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