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에 따른 경의선 숲길 주변 토지이용 별 생활인구 변화

Changes in De Facto Population around Gyungui Line Forest Park based on Surrounding Land Uses under COVID-19

  • 안주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김형규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22.11.15
  • 심사 : 2022.12.09
  • 발행 : 2022.12.31

초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공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비롯한 방역지침 하에 사람들은 안전하게 머물 곳으로 공원을 찾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공원은 물리적, 위치적 특성에 따라 팬데믹 적응 방안으로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접근성과 통행기능을 가지는 선형공원의 잠재력을 주변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경의선 숲길 공원의 연남동 구간부터 염리동 구간까지로 설정하였으며, 집계구 경계와 토지이용 특성을 기준으로 네 개의 구간으로 나누었다. 총 생활인구 수를 종속변수로, 코로나19를 포함한 외부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구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과 선형공원의 상호작용이 다양할수록 팬데믹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둘째, 다양한 상업시설이 밀집할수록 계절성보다 단기적 날씨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변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선형공원의 이용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선형공원에 도시의 위기를 극복하고 녹지 접근 형평성을 높일 수단으로 잠재력이 있음을 밝힌다.

With the spread of COVID-19, the role of parks has been emphasized. Under the quarantine guidelines, including social distancing, people are visiting parks as a safe place. In line with these changes, parks need to be studied as pandemic adapta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ir physical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linear parks with accessibility and pass way func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land uses. The case study area was selected from Yeonnam-dong to Yeomni-dong of the Gyeongui Line Forest Park, and the area was divided into 4 section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boundary and surrounding land uses.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adopted in each section using the total number of de facto popul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factors affecting external activities including COVID-19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more diverse the interaction between commercial facilities and linear parks,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pandemic. Second, where various commercial facilities are concentrated people respond more sensitively to short-term weather changes than seasonal one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linear park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land us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linear park has potential as a means to overcome the Pandemic crisis of the city and to increase equity in access to green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 2021.11.18. 읽음. http://data.nsdi.go.kr/dataset/14783.
  2. 권익현.정광진.유석연(2020), "도시 선형공원 조성 특성 및 근린환경 변화 비교 연구 - 서울시 경의선 숲길공원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21(2): 5~23.
  3. 김재철.박근현(2013),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 - 면적 근린공원과의 비교사례연구 중심으로", 「국토계획」, 48(6): 89~106.
  4. 김정호(2021), "도시지역 내 COVID-19 확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시.구 도시계획시설 유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김태현.김진(2011), 「역세권 유형별 보행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박인권.정이레.오다원.정예림(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 수의 변화 -시계열 빅데이터 분석", 「지역연구」, 37(2): 17~33. https://doi.org/10.22669/KRSA.2021.37.2.017
  7. 박홍일(2021),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가 도시공간이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8. 서울특별시(2021), "2021 여름철 종합대책", 서울.
  9. 서울특별시(2022),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 서울.
  10. 서울특별시, "서울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2021.11.18. 읽음. https://data.seoul.go.kr/dataList/datasetList.do?datasetKind=1&searchFlag=M.
  11. 소상공인진흥공단, "상권정보시스템", 2022.12.6. 읽음. https://sg.sbiz.or.kr/godo/index.sg
  12. 오화자(2017), "도시선형공원에서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거주자와 방문자의 차이 연구 - 경의선 숲길 연남동 구간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3(5): 207~224.
  13. 이담(2021),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선형공원 이용자의 인식과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경의선 숲길 연남동 구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 이수미.홍성조(2019), "도시공간에서 날씨와 계절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9): 56~65. https://doi.org/10.5762/kais.2019.20.9.56
  15. 이진희(2021), "코로나19(COVID-19)이후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상권 매출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6. 조영동.조항만(2017), "현대적 그린웨이로서 경의선 숲길 공원의 물리적 구성이 갖는 의미",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3~376.
  17. 최재혁.임병호.이시영(2022),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발제한구역의 활용가치: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LHI Journal」, 13(1): 67~84.
  18. Barquilla, C. A.(2021),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의 도시 녹지공간에 대한 접근성과 인식 및 유용성 : 필리핀파시그(Pasig)시의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Chung, J., S. N. Kim and H. Kim (2019), "The Impact of PM10 Levels on Pedestrian Volume: Findings from Streets in Seoul, South Korea",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6(23): 4833. https://doi.org/10.3390/ijerph16234833
  20. Jan Gehl (1971), Life Between Buildings, Washington D.C.: Island Press.
  21. Lan, T., L. Tang, G. Shao and Z. Xu (2021), "Quantyfying Spatiotemporal Changes in Human Activities Induced by COVID-19 Pandemic Using Daily Nighttime Light Data",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14: 2740~2753. https://doi.org/10.1109/JSTARS.2021.3060038
  22. Lu, Y., J. Zhao, X. Wu and S. M. Lo (2021), "Escaping to Nature During a Pandemic: A Natural Experiment in Asian C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Big Social Media Data",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777: 146092.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21.146092
  23. Ministry of Land, Infrastrncture and Transport, "Open Marke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Accessed November 18, 2021. http://data.nsdi.go.kr/dataset/14783. (in Korean)
  24. Morita, H., S. Nakamura and Y. Hayashi (2020), "Changes of Urban Activities and behaviors due to COVID-19 in Japan", SSRN.
  25. Seoul, "Seoul Open Data", Accessed Novermber 18, 2021. https://data.seoul.go.kr/dataList/datasetList.do?datasetKind=1&searchFlag=M. (in Korean)
  26. Ulrich R. S.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 (4647): 420-1. https://doi.org/10.1126/science.6143402
  27. Xie, J., S. Luo, K. Furuya and D. Sun (2020), "Urban Parks as Green Buff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ustainability, 12(17): 6751. https://doi.org/10.3390/su12176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