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의미와 활용 방안

  • SEONG, Jeongyong (Dept. of Archaeology Art Histo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Sieun (Dept. of Archaeology Art Histo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성정용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 양시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Received : 2021.06.30
  • Accepted : 2021.08.03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paper proposed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by review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me Jungwon and its temporal and spatial range. We also explored ways to utilize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Jungwon, which means the center of the country, has strategic value as a key area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to the north and south through the Geripryeong and Jukryeong. It also includes Chungju, which connects the Namhan and Bukhan Rivers . From the Mahan period, the areas of Cheongju and Jincheon, the Miho Stream basin to the west, and Chungju to the east we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wards, Baekje, Koguryo, and Silla engaged in a fierce battle to occupy the Jungwon area. Jungwon culture was born through the negotiation and fusion of the cultures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Silla continued to value the Jungwon area, demonstrated by the installation of Seowongyeong in Cheongju and Bukwongyeong in Wonju, centering on the Jungwongyeong. Since we have a historical view with a focus on ancient kingdoms, we have overlooked the full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Jungwon. W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ungwon area and think about how to utilize it. Therefore, we suggested in this paper that there be more public information services on the cultural heritage of Jungwon, the historical heritage experience, and the education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Jungwon's history, culture, and tourism contents, as well as the various academic research papers should be used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본 논문은 중원이라는 명칭이 갖고 있는 역사성과 그 시공간적인 범위를 개관해봄으로써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중원역사문화권의 활용 방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국토의 중심이라는 의미를 내포한 중원은 지리적으로는 충주를 중심으로 계립령과 죽령, 그리고 남한강과 북한강을 통해 남북으로 한반도를 이어주는 핵심 지역으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고대 국가가 태동하는 마한 시기부터 서쪽으로는 미호천 유역인 청주와 진천 일대, 동쪽으로는 충주 일원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후 백제와 고구려·신라가 중원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접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삼국 문화의 교섭과 융합으로 중원 문화가 탄생하게 되었다. 특히 신라는 중원경을 중심으로 청주에는 서원경, 원주에는 북원경을 설치하는 등 중원 지역을 계속 중요시 하였다. 우리는 그간 고구려·백제·신라의 고대 국가 중심의 사관에 매몰되어 있다 보니 중원 지역에 대한 온전한 가치를 간과해왔는데, 앞으로는 중원역사문화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원의 문화유산 생생 정보 공개 서비스,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역사문화유산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한 중원의 역사·문화·관광 콘텐츠의 개발 및 운영, 중원역사문화권의 정체성 규명을 위한 학술조사 및 연구의 활성화 등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9, 「중원의 고분」.
  2. 김범철, 2018, 「초기 도시 출현에 대한 고고학의 이해」, 「초기의 도시고고학」(제35회 춘계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 金元龍, 1973, 「原城郡 法泉里 石槨墓와 出土 遺物」, 「考古美術」 120, 한국고고미술동호회.
  4. 金顯吉, 2014, 「中原의 地名考 -잘못 전해지는 지명과 유래-」, 수서원.
  5.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편, 2020, 「충주 고구려비 연구」.
  6. 문재범, 2021, 「고고자료를 통해 본 중원역사문화권 조사와 연구 현황」, 「'중원역사문화권의 위상 정립과 미래 비전 설정' 학술대회 논문집」,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7. 문화재청, 2019, 「문화유산 미래 정책 비전 : 새로운 20년을 준비하다」.
  8. 문화재청, 2020a, 「2020년 문화재 안내판 정비 사업 개선 사례집」.
  9. 문화재청, 2020b, 「2020년 지역 문화재 활용 사업 : 문화유산 유유자적」.
  10. 박중균, 2015, 「미호천 유역의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과 재지 세력의 존재 양태」, 「호서고고학」 33, 호서고고학회.
  11. 성정용, 2001, 「4~5세기 백제의 지방 지배」, 「한국고대사연구」 24, 한국고대사학회.
  12. 성정용, 2013, 「中原 地域 原三國時代 墳墓 築造 集團의 性格」, 「고고학」 12-3, 중부고고학회.
  13. 성정용, 2019, 「4장 쇠를 두드리다 : 우리 역사를 바꾼 혁신적인 이기, 철」, 「한국금속문명사」, 들녘.
  14. 성정용, 2021, 「중원역사문화의 형성과 그 의미」, 「'중원역사문화권의 위상 정립과 미래 비전 설정' 학술대회 논문집」,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15. 成正鏞.權度希.諌早直人, 2009, 「淸州 鳳鳴洞 遺蹟 出土 馬具의 製作 技術 檢討」, 「湖西考古學」 20, 湖西考古學會.
  16. 宋義政.尹炯元, 2000, 「法泉里 I」, 國立中央博物館.
  17. 梁起錫, 2002, 「高句麗의 忠州 地域 進出과 經營」, 「중원문화연구」 6,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8. 양시은, 2021,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시행과 중원역사문화권의 활용」, 「'중원역사문화권의 위상 정립과 미래 비전 설정' 학술대회 논문집」,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19. 윤여헌, 2020, 「청주 분지 내 원삼국~통일신라시대 지역 거점 형성과 변천 과정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도학, 1988, 「영락 6년 광개토왕의 남정과 국원성」, 「손보기 박사 정년 기념 한국 사학 논총」.
  21. 이순자, 2021, 「국토 균형 발전과 품격 제고를 위한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필요성」,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과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중원역사문화권의 설정과 활용' 정책토론회 논문집」,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2. 이순자.안소현.유현아.심창섭.정광민, 2020, 「지역 관광지 쇠퇴 원인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3. 李芝恩, 2020, 「南韓 地域 古代 鐵 製鍊爐의 變遷과 地域性」,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덕재, 2002, 「新羅 소경의 설치와 그 기능」, 「震檀學報」 93, 진단학회.
  25. 전덕재, 2019, 「충주 고구려비를 통해 본 5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高句麗渤海硏究」 65, 고구려발해학회.
  26. 정연정, 2018, 「충청북도 축제 활성화 기본 방향 -도내 축제의 문화관광축제 지정을 위한 정책 제안-」, 충북연구원.
  27. 중앙문화재연구원, 2018,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조성 사업 부지 내 청주 오송 유적」.
  28. 중앙문화재연구원, 2020, 「진천 송두산업단지 조성 사업 부지 내 진천 송두리 유적 I~V」.
  29. 차용걸, 2001, 「서원소경의 위치와 구조」, 「新羅 西原小京 硏究」, 서경문화사.
  30. 차용걸 外, 1994a, 「淸州 松節洞 古墳群 1次年度('92) 發掘調査報告書」, 「連川 三串里 百濟 積石冢 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31. 차용걸 外, 1994b, 「淸州 松節洞 古墳群 A地區」, 忠北大學校 博物館.
  32. 차용걸 外, 1995, 「淸州 松節洞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1993年度 發掘調査 B地區-」, 百濟文化開發硏究院.忠北大學校 博物館.
  33. 千寬宇, 1979, 「馬韓 諸國의 位置 試論」, 「東洋學」 9,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34. 忠北大學校 博物館, 1983, 「淸州 新鳳洞 百濟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1982年度 調査-」.
  35. 忠北大學校 博物館, 1990, 「淸州 新鳳洞 百濟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1990年度 調査-」.
  36. 忠北大學校 博物館, 1995, 「淸州 新鳳洞 古墳群」.
  37. 忠北大學校 博物館, 1996, 「淸州 新鳳洞 古墳群 -1995年度 調査-」.
  38. 忠北大學校 博物館, 2002, 「淸州 新鳳洞 百濟 古墳群 -2000年度 發掘分 調査報告書」.
  39. 忠北大學校 博物館, 2005a, 「淸州 鳳鳴洞 遺蹟 (II)-IV地區 調査報告」.
  40. 忠北大學校 博物館, 2005b, 「淸州 新鳳洞 百濟 古墳群 -2003年度 調査-」.
  41. 충북대학교 박물관 외, 2018, 「淸州 테크노폴리스 造成 事業 敷地 內 淸州 松節洞 遺蹟 I」.
  42. 충북연구원, 2017, 「충북 지역 대표 관광 콘텐츠 전략화 방안 제시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43.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9, 「청주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확장 부지 내 유적 발(시)굴조사 약보고서」.
  44. 韓國文化財保護財團, 1999, 「淸原 梧倉 遺蹟 (I)」.
  45.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0a, 「淸原 梧倉 遺蹟 (IV)」.
  46.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0b, 「淸源 主城里 遺蹟」.
  47.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 「청주 신봉동 고분군 학술발굴조사(7차)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48. 황인호, 2013, 「國原小京에서 中原小京으로의 변천 과정 연구」, 「고고학」 12, 중부고고학회.
  49. 황인호, 2014, 「新羅 9州 5小京의 都市 構造 硏究」, 「中央考古硏究」 15, 중앙문화재연구원.
  50. 洪性和, 2019, 「中原의 등장과 변천」, 「동아시아고대학」 55, 동아시아고대사학회.
  51. 山田隆文, 2008, 「新羅の九州五小京城郭の構造と實態について -統一新羅による計劃都市の復元硏究-」, 「考古學論攷」 第31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