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 Males: Comparing On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중년 무배우남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 Seo, Jiwon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Lee, Sujin (Faculty of Education, Hirosaki University)
  •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 이수진 (일본 弘前大學 교육학부)
  • Received : 2021.06.15
  • Accepted : 2021.11.22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life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is rising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mily policy issues in Korean society. In Japan, even in multi-person households, the issues of middle-aged sons and daughters living with their old parents have been a concern. Data are from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alyzing 482 middle-aged singe males regardless of their past marit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 persons by comparing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respectively.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human capital of one-person households of middle aged males was low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multi-person households. Seco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in the group of divorced or widowed, nonhouseholder middle-aged males in multi-person households was low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one-person households. Third,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s in the group of middle-aged single mal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on the community programs for middle-aged males including not only one-person households but also multi-person household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과거 혼인경험과 관계없이 중년 무배우남성을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구분하여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차이를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제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2018)를 사용하여 중년 무배우남성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무배우남성 1인가구는 이들의 혼인상태와 관계없이 교육수준, 경제활동상태, 인터넷사용 등 인적자본 수준은 다인가구보다 낮았다. 둘째, 중년 무배우남성의 가구주 여부에 따른 인적자본과 사회자본 수준의 차이를 보면, 이혼·사별 경험이 있는 다인가구인 비가구주 중년남성은 1인가구에 비해 사회자본의 수준이 현저히 낮았다. 미혼의 경우, 1인가구에 비해 비가구주 중년남성의 미취업 비율은 높고 상용근로 비율은 낮았다. 셋째, 혼인상태에 따른 중년 무배우남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변수 중 경제활동상태는 이혼·사별집단에서 1인가구와 다인가구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었다. 사회자본의 효과를 보면 미혼집단에서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유대수준이 높을수록, 다인가구에서 신뢰가 높은 집단이 신뢰가 낮은 집단에 비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이혼·사별집단에서는 1인가구에서 자원봉사참여가, 다인가구에서는 신뢰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사회자본 변수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특화된 프로그램이 건강가정지원센터를 비롯한 지역사회에서 강화되고 있는데, 향후 중년 대상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1인가구라는 가구의 형태보다 오히려 이용자 요구에 초점을 맞추어 1인가구로 한정하지 않는 것이 다인가구임에도 소외되기 쉬운 중년 무배우남성의 정책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19). 1인가구 우울과 관련요인: 연령집단 별 비교를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9(1), 1-19.
  2.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56.
  3. 강은택.강정구.마강래(2016). 1인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3-23.
  4. 김수완(2010). 결혼해체 이후 삶의 변화: 경제적 상태와 생활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여성학, 26(1), 35-67.
  5. 김정은.남영주(2019). 남녀 1인가구의 주관적 웰빙과 스트레스의 관계 분석. 가족과가족치료, 27(3), 397-428.
  6. 김현성.이기영.김강민.이교창.안준형.황재건(2019). 중장년층 1인가구의 사회관계망 및 여가생활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7(1), 73-94. https://doi.org/10.22879/SLOS.2019.17.1.73
  7. 김혜연(2020). 성별 및 연령 집단별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well-being)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4(2), 47-72.
  8. 김혜영(2008). 신자유주의와 다양한 가족. 한국사회, 9(20), 55-94.
  9. 박미현(2016). 장년층 1인가구의 특성 분석: 다인가구와의 비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7, 115-129.
  10. 박성신.이민아.신영화.박영례(2017). 남자노인 1인가구의 거주지 주변 활동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55, 265-297.
  11. 박찬웅.김노을.유부원.윤민지(2020). 한국사회의 사회적 고립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한국사회, 21(2), 41-73. https://doi.org/10.22862/KJSR.2020.21.2.002
  12. 박창제(2019). 중고령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2(2), 23-48.
  13. 서명희.김영희.이현옥(2018). 1인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미혼과 기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7(1), 718-727.
  14. 서지원(2017). 가정안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1인 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25-50. DOI : 10.22626/jkfrma.2017.21.2.002.
  15. 서지원.양진운(2017). 중년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여가시간사용 결정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77-95. DOI : 10.22626/jkfrma.2017.21.3.005.
  16. 유현정.이아름.송유진.안혜리(2017).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활용한 1인가구의 소비생활 특성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48(2), 277-301. https://doi.org/10.15723/JCPS.48.2.201708.277
  17. 윤남교.조성제(2020).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지속성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서초구 자원봉사활동 대상자를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 교류논문지, 6(7), 105-114.
  18. 이민아(2010). 결혼상태에 따른 노인의 우울도와 성차. 한국사회학, 44(4), 32-62.
  19. 이현정(2017). 비노년층 및 노년층 비혼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자산포트폴리오 특성 및 주택자산효과 비교. 도시행정학보, 30(2), 1-24.
  20. 이호정.김재태(2017). 50대 이상 중고령자 가구의 부동산 자산 보유 영향요인 연구-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한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5(3), 61-77.
  21. 이희연.노승철.최은영(2011). 1인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대한지리학회지, 46(4), 480-500.
  22. 차경욱(2006).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53-269.
  23. 통계청(2019). 장래가구특별추계: 2017~2047.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한경혜.김주현.김경민(2003).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3(2), 155-170.
  26. 白波瀬佐和子(2005). 少子高齢化時代のみえない格差, 東京大学出版会.
  27. 白波瀬佐和子(2009). 日本の不平等を考える-少子高齢社会の国際比較, 東京大学出版会.
  28. 千保喜久夫(2011). 独身女性の労働生活に対する意識について. 財団法人年金シニアプラン 総合研究機構編. 第3回独身女性(40-50代) を中心とした女性の労働設計ニーズに 関する調査, 83-93.
  29. 高山憲之(2016). 「くらしと仕事に関するインターネット調査」からみた中年未婚男性の 生活実態と意識 : 調査結果の概要. 年金研究, 3, 210-262.
  30. 宮本みち子(2019). 団塊親子が直面する危機:家族と就労の観点から. 生活経済政策, 271, 11-16.
  31. 西文彦(2015). 親と同居する壮年未婚者 2014年. 財団法人年金シニアプラン総合研究機構編. 第4回 独身者(40~50 代)の老後生活設計ニーズに関する調査, 1-12.
  32. 平河茉璃絵(2021). 第5回独身者(40代-60代前半)の老後生活設計ニーズに関する調査: 調査結果の概要(全体および男女別等). 年金研究, 15, 119-165.
  33. 藤森克彦(2016). 中年未婚者の生活実態と老後リスクに ついて : 「親などと同居する2人以 上世帯」 と 「単身世帯」 からの分析. 年金研究, 3, 78-111.
  34. 藤森克彦(2019). 中年層の単身世帯が抱える生活上のリスクと求められる対策, 家族社会学研究, 31(2), 172-189.
  35. 藤森克彦(2021). 中年未婚者の生活実態と老後への備えに関する分析- 「単身世帯」 と 「親と同居する世帯」の比較-. 年金研究, 15, 52-76.
  36. 山田昌弘(2019). 単身で暮らすということ-中年単身層の現在 : 独身者の生活実態. 日本 家族社会学研究, 第31巻 第2号, 150-159.
  37. 山田昌弘.苫米地伸.金原あかね(2011). 家族形態の変化と経済状況の変動との関連につ いての研究-イレギュラーな世帯とその経済状況の変化. 総務省統計研究所 リサーチペーパー27号.
  38. Becker, G.(1964). Human capital: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 Bryant, K.(1990).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Coleman, J.(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9033
  41. Field, J.(2004). Social capital: London & New York: Routledge.
  42. Lin, N.(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Putnam, R.(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s, 4(13), 35-42.
  44. Putnam, R.(1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NY: Simon and Schu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