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ousehold Labor Time of Married Men by Generation -For the Baby Boom generation,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 Lee, hyunah (Dept.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Kim, Joohee (Dept.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이현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 김주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Received : 2021.09.15
  • Accepted : 2021.11.20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married men's household labor time by generation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male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To this end, married men were classified into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and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for each gener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hypothesis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As for the data, the original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2019 Time Use Survey" were use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married men's household labor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ousehold labor time for Baby Boomers can be explained by the hypothesis of economic efficiency,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demand/response capability, while household labor time for Generation X can be explained by economic efficiency hypothesis, gender role attitude hypothesis, time-availability hypothesis, and demand/response capability hypothesis. It was found that the household labor time for Generation Y can be explained by the time-availability hypothesis and demand/response capability hypothesis. The fact that each generation has different factors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policies to support the work and family balance for men.

본 연구는 기혼 남성의 가사노동참여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의 영향 요인을 세대별로 파악하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혼남성을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로 구분하고, 각 세대별 가사노동참여 요인을 가사노동 참여가설을 적용시켜 분석해 보았다. 자료는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경제적 효율성가설과 성역할태도가설, 요구반응가능성가설에 의해 설명이 가능하고, X세대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경제적 효율성가설, 성역할태도가설, 시간가용성가설, 요구반응가능성가설 모두에 의해 설명이 가능하였다. 반면, Y세대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시간가용성가설과 요구반응가능성가설에 의해서만 설명이 가능하였다. 세대별로 가사노동참여의 동인이 다르다는 사실은 남성 대상 일가정양립지원 정책수립에 있어 세대별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정윤.김난도(2019). 소비자학 분야에서의 세대의 개념, 범주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30(5), 77-99.
  2. 김선우(2013). 한국, 미국, 스웨덴의 소비문화 비교-성별, 세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4(3), 183-210.
  3. 김우성.허은정(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 연구, 10(4), 31-53.
  4. 김외숙 .이기영(200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5. 김진욱.권진(2017). 한국 기혼남성의 무급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 생활시간조사 1999년~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5, 181-215.
  6.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 연구 :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7. 매일경제(2019.4.4). 밀레니얼 세대의 가족-새로운 가족의 탄생.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04/205518.
  8. 매일경제(2015.1.8). 다시 돌아온 X세대...우리 40대가 달라졌어요.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5/01/24173.
  9. 박시내.심규호(2010). 베이비붐세대의 현황 및 은퇴효과 분석. 통계개발원 연구보고서. 통계청.
  10. 박재홍(2001).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24(2), 47-78.
  11. 삼성경제연구소(2011). 뉴시니어세대의 3대 키워드. SERI 경영 노트 96호.
  12. 서울연구원(2019.12). 월간 서울 동향 리포트 2019년 12월호. https://data.si.re.kr/sidata_report/seoul keywords_201912.html.
  13.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277-311.
  14.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 34(2), 45-64.
  15. 안수미.이기영.이승미(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93-119.
  16. 유소이.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17. 윤성호(2020). 생계부양형태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34(4), 415-432. https://doi.org/10.18398/KJLGAS.2020.34.4.415
  18. 은기수(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19. 이은희.김경자.이성림.유현정.차경욱.이영애.이준영(2015).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2), 197-227. https://doi.org/10.15790/cope.2015.11.2.197
  20. 이수연 .김인순 .김현정 .김민정(2017). 양성평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전망을 위한 세대별 가치관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1.
  21. 이승미.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5. https://doi.org/10.6115/khea.2011.49.5.081
  22. 이현아.김선미.이승미(2016).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치행정학회, 30(2), 231-261.
  23. 이현아(2021).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47-61. DOI : 10.22626/jkfrma.2021.25.1.004.
  24. 이혜정.유규창(2013).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 및 역할. 노동정책연구, 13(4), 1-31. DOI : 10.22914/jlp.2013.13.4.001.
  25. 이창순(201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40(2), 29-54.
  26. 조미라.윤수경(2014).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 5-30.
  27. 중앙일보(2010.4.12). 나는 없고 가족만 있는 베이비붐세대. https://www.joongang.co.kr/article/4105825#home.
  28. 중앙일보(2019.5.5). 밀레니얼 가족이 사는법 ①...음식, 해먹지 않고 사 먹는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59000#home.
  29. 채로.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30. 통계청(2010a).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통계청 보도자료.
  31. 통계청(2010b).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통계청 보도자료.
  32. 통계청(202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통계청.
  33. 허석재(2015).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미래정치연구, 5(1), 21-47. https://doi.org/10.20973/JOFP.2015.5.1.21
  34.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5-29.
  35. 허수연(2008).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36. LG경제연구원(2016). 밀레니얼 세대에게 필요한 동기부여 방식. LG Business Insight.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19503.
  37. Becker, G. S.(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7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38. Bryant, W. K. & Zick, C. D.(2006).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Coverman, S.(1985). Explaining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Sociological Quarterly, 26(1), 81-97. https://doi.org/10.1111/j.1533-8525.1985.tb00217.x
  40. Crompton, R.(2001). Gender restructuring, employment, and caring. Social Politics, 8(3), 266-291. https://doi.org/10.1093/sp/8.3.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