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evel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Work and Leisure in Single-person Households

1인가구의 일·여가 유형에 따른 행복수준

  • Kwon, Anna (Ulsan Women &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Received : 2021.09.08
  • Accepted : 2021.10.26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pprehend resources that affect level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work and leisur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uggests measures to effectively manage. Single-person households not only have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but also they have different resources, so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em simple as an individual subject, but as a complicated system from more integrated view. Thus, this study saw the single-person household as an organism existing in a complicated environment based on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work deigned the research model by applying the human ecological point of view consistentl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ed an hypothesi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sources such as leisure, infrastructure, social activity and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 will influence the level of happ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

본 연구는 취업 1인가구의 일·여가 유형에 따라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을 파악하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인가구는 성별, 연령 등 각기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각자 가지고 있는 자원이 다르므로 단순히 개별적인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보다 통합적인 시각에서 복잡하게 얽힌 체계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1인가구를 복잡한 환경 속에서 존재하는 유기체로 보면서, 환경과 계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간생태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1인가구의 행복수준에 여가자원, 인프라자원, 사회활동자원, 제도자원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2017.12.28). 청, '일.가정 양립' 대신 '일.생활 균형' 으로. https://www.khan.co.kr/politics/president/article/201712280600035에서 2021.09. 인출
  2. 공감(2019.4.22). 이 주의 정책뉴스 내년부터 3년간 생활 SOC 국비 30조 원 투입. https://gonggam.korea.kr/newsView.do?newsId=01JDgDe2ADGJM000에서 2021.09. 인출
  3. 건강가정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4. 김경례(2011). 일.생활 균형의 철학과 가치-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현대사회과학연구, 15, 1-18.
  5. 김경미.계선자(2018).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4), 103-119. DOI : 10.7466/jkhma.2018.36.4.103.
  6. 김경식.이루지(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24-433. DOI : 10.5392/JKCA.2011.11.11.424.
  7. 김명소.김혜원.한영석.임지영(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2(2), 1-33.
  8. 김미곤.여유진.정해식.박이택.김성아(2017).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승권.장영식.조흥식.차명숙(2008).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영주.김정근.박수경.박혜원.박희진.서정희.송혜림.양세화.유복희.유화숙.이은숙.이지혜.전 은경.정민자.허은정.홍순명(2015). 생활과학의 이해. UUP.
  11. 김원배(2009).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유선(2010). 주 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국민여가활동조사 학술심포지엄.
  13. 김은희.김철원(2017). 일과 삶의 균형에 따른 사회적 계층이 주관적 행복감. 관광연구, 32(7), 1-24.
  14. 김종순.오세숙(2018). 일과 여가균형 정도에 따른 남성 베이비부머의 여가시간.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수준의 차이. 여가학연구학회지, 16(3), 37-51. DOI : 10.22879/slos.2018.16.3.37.
  15. 김환철(2020). 초기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남은영.이재열.김민혜(2010).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요인: 사회성 여가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077-1108.
  17. 남은영.이재열.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46(5), 1-33.
  18. 문숙재(1998). 생활과학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영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19. 문숙재.송혜림.김선희.이기영.김난도.김순미.박미석.조희금(1999). 공공가정경영 -이론과 실제-. 신정.
  20.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보고서.
  21. 박미석(2002). 노년기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40(5), 133-146.
  22. 박수호.이민정(2013). 행복 요인으로서의 사회적 인정. 사회와이론, 361-391.
  23. 박정열.전은선.손영미.신규리(2016).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학연구, 14(4), 1-22. DOI : 10.22879/slos.2016.14.4.1.
  24. 박희진.송혜림.유복희.유화숙.이지혜(2019). 생활과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 신정.
  25. 서울신문(2020.2.5). 30년 전보다 소득 늘어도... 한국인 행복 지수 그대로.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206020005에서 2021.09. 인출
  26. 송혜림(2010). 일과 생활의 조화 : 정책에서 생활로.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27.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28.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 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DOI : 10.22626/jkfrma.2018.22.2.003.
  29. 안주엽.길현종.김주영.김지경.오선정.정세은(2016). 일과 행복(II). 한국노동연구원.
  30. 우창빈(2013). 행복을 추구하는 행복정책은 가능한가?: 행복을 목표로 하는 공공정책의 이론, 논란, 가능성과 조건들. 행정논총, 51(2), 283-318.
  31. 윤소영(2013a). 여가행복지수 개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윤소영(2013b).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의 실천과제. 2013년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18-30.
  33. 윤소영(2014). 행복의 조건과 일-가정 균형, 그리고 가족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95-99.
  34. 이명우.홍윤미.윤기웅(2016). 여가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6-289.
  35. 이문진.황선환(2014). 여가시간이 증하면 행복은? : 이스털린 역설의 여가학 적용.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8(2), 29-38.
  36. 이미영.이홍직.안수경.윤수인.최순례.윤승태(2019). 임금노동자의 일과 여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19(4), 63-96. https://doi.org/10.22914/JLP.2019.19.4.003
  37. 이민정(2020). 한국 1인가구의 행복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거주자의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순미(2014). 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이여봉(2017).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52, 64-77.
  40. 이유진.황선환(2019).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행복 결정요인: 위계적 회귀분석 적용.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43(1), 43-53.
  41. 이유진.황선환(2018). 가구소득과 여가시간에 따른 행복 지수. 한국레크레이션학회지, 42(1), 86-96.
  42. 이윤정(2003). 노인 여가의 기능과 여가자원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117-130.
  43. 이정연(1993). 가정학의 메타이론 : 인간생태학적 접근의 타당성. 대한가정학회지, 32(3), 1-9.
  44. 이준수.이정학(2002). 공공체육시설 운영관리 효율화를 위한 전사적 경영관리. 한국체육학회지, 41(2), 409-419.
  45. 이지윤(2013). 생태체계적 접근에 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 유기체 변인과 미시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1994). 가정관리학. 신정.
  47. 장훈.김우정.허태균(2012). 여가참여 다양성과 행복의 관계: 참여여가활동의 수와 여가시간 집중도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9(3), 21-38. https://doi.org/10.22879/SLOS.2012.9.3.21
  48. 정영금.윤소영(2018).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4), 1-15. DOI : 10.22626/jkfrma.2018.22.4.001.
  49.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3). 건강가정론 3판. 신정.
  50. 최현수.오미애.강은나.고제이.전진아.김혜승.길현종.박현용.천미경.김솔휘(2016). 1인 취약가구 위험 분석 및 맞춤형 정책지원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1. 통계청 홈페이지 www.kosis.kr
  52. 통계청(2019.12.16). 장래가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통계청.
  53. 통계청(2020.12.8).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 보도자료. 통계청.
  54. 한광수(2011). '일과 생활의 균형 (Work Life Balance)'을 위한 법제 고찰.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445-472.
  55. 한광수(2017). '일.생활 균형'으로의 패러다임전환을 위한 이론적 검토와 법제 정립에 대한 연구. 사회법연구, 31, 147-193.
  56. 허청라.구재선.서은국(2014). 기본적 욕구 충족 이후의 행복 : 사회적 욕구의 중요성. 사회 및 성격, 28(2), 59-78.
  57. 홍종관(2016). 행복을 위한 사회적 기여의 역할에 관한 고찰. 행복한 부자연구, 5(2), 25-36.
  58. Clark, A.E. & Oswald. A.(1994). "Unhappiness and Unemployment". The Economic Journal, 104(424), 648-659. DOI : 10.2307/2234639.
  59. KBS NEWS(2019.10.2). 우리나라 '워라밸' 수준은?...OECD국가들과 비교해보니.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294591에서 2021.09. 인출
  60. Layard, R.(2005). Happiness; Lessons from a New Science. New York: The Penguin Press.
  61. OECD(2018).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OECD Publishing.
  62. Sirgy, M. J. & Wu, J.(2009). The Pleasant Life, the Engaged Life, and the Meaningful Life: What about the Balanced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 183-196. DOI : 10.1007/s10902-007-90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