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계이론

Search Result 2,00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flexion for Communication: A System Theory Perspective (소통을 위한 성찰: 체계이론의 관점으로 살펴본 성찰적 커뮤니케이션 이론 연구)

  • Kim, Moo-Kyu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8
    • /
    • pp.178-200
    • /
    • 2012
  • This paper seeks to deal with the point that in order to perform meaningful communication, a conscious act of reflexion must be involved. In other words,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inevitably requires self-reflexion. It is known that rationality and dialogism function as necessary preconditions and as goals of communication. But these concepts are very ambiguous because the communicational paradox is not considered. The interaction model could be thought to solve the paradox problems, but such solution can ultimately be seen as a result of ignoring the point that personal reflexion is necessary or covering up the logical problem by depending on concepts such as 'legitimation' or 'ideal discourse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view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ased on Luhmann's system theory and constructivism has a more meticulous logics, and considers that the concept of reflexion specifically supplements the interaction model also by examining Schmidt's concept of fiction and Grant's concept of porous communication.

  • PDF

Luhmann's Sociology of Risk and Disaster Information Communicationm (루만의 위험사회학과 재난정보 소통)

  • Son, Ki-Ch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17-220
    • /
    • 2015
  •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인 고찰은 물리적이고 기술적으로 대응하는데 주력하는 재난관리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재난관리가 국민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국가의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논의는 산업사회의 다음 단계로써 현대사회가 바로 위험사회라는 사회변동론적인 접근을 하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에 경도되어 풍부한 논의와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루만의 위험사회학은 소통에 기반을 둔 방대한 사회체계이론으로 위험에 관련한 소통을 위해와 위험으로 구별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처에 새로운 안목을 제시함과 동시에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루만의 위험사회학이 이론적으로 정교한 체계이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행위자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위험과 관련된 체계들, 즉, 재난관리체계, 정치체계, 법체계, 경제체계, 환경 체계, 언론체계, 등의 다이나믹스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Knowledg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s in Nursing (간호이론의 발전과 간호 분류체계)

  • Lee Eun-J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5 no.2
    • /
    • pp.332-346
    • /
    • 1999
  • 간호학에서 간호업무를 이끌어갈 간호이론이(지식체) 필요하다는 생각은 20세기가 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간호학은 간호학 특유의 지식체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주된 이유는 간호 업무가 재대로 확인되지 않았고 간호업무를 이끌어갈 간호학 특유의 간호이론이 확실히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호가 독자적 학문으로서 인정받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간호업무에 적용이 쉽고, 간호 업무에 바탕을 둔 간호이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간호 이론이 간호업무에 쉽게 적용됨으로서 간호학의 지식체가 발전할 뿐 아니라 환자 간호도 더욱 증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간호지식의 발전 단계를 시대적 순서와 배경을 덧붙여 고찰하였고 간호학에서 간호 분류체계가 발전하게 된 동기, 그리고 간호 분류체계가 환자 간호와 간호학의 이론개발과 발전에 어떻게 활용되는 가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간호분류체계가 가지는 특성으로는 먼저 간호실무를 체계적으로 명명하고 분류함으로서 간호학에서 필요한 연구영역을 확인하게 하게 하고 간호학 고유의 지식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것 뿐 아니라 간호정보화 시스템의 개발, 다른 의료전문가들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간호의 지속성을 유지, 그리고 간호의 효과성 연구에의 활용 등이 있다.

  • PDF

Th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Theories of Habermas, Luhmann, Delueze, Guattari, and Derrida (하버마스, 루만, 들뢰즈.가타리, 데리다의 이론을 통한 일반 대중매체 체계론의 제안)

  • Park, Daemi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7
    • /
    • pp.119-151
    • /
    • 2014
  • The absence of the commensurabl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has been problematic in empirical communication studies. This study first suggests the static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modified Habermas's two level society, and then develops the dynamic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the boundary-agencement theory that synthesizes Luhmann's boundary theory and Delueze & Guattari's agencement theory. In the static mass media system theory, the mass media system interpenetrates other social subsystems and the life world as a part of the cultural system coordinated by generalized language media. In the dynamic mass media system theory, the mass media system is a boundary of all social subsystems. The mass media system also articulates its self-referential observations to other-referential observations from other subsystems, mediated interpenetrations between the social subsystems and the life world. Especially, performances in the mass media system deterritorizes social systems to the life world, and reterritorizes the life world to social systems. Th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can provide commensurability for various empirical mass media system studies, and prevent biases when researchers choose research topics.

  • PD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Mapping of Studies on Social Systems Theory in Social Sciences: Focused on Niklas Luhmann (사회과학 분야 사회적 체계 이론 연구의 지식 시각화와 매핑 - Niklas Luhmann을 중심으로 -)

  • Park, Seongwoo;Hong, Sor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6 no.1
    • /
    • pp.253-275
    • /
    • 2022
  • Niklas Luhmann is one of the most contentious and difficult theorist in sociology but follow-up studies on his theory gradually increase for recent 10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follow-up studies use the difficult concepts of Luhmann.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dopted a keyword rather than an article as the unit of analysis because keywords are linguistic constructs that can make concepts observable. The study analyzed co-occurrence of keywords in 139 articles retrieved from social sciences category in Web of Science DB. The key findings were following: the most important keywords were the name of Luhmann(Niklas Luhmann) and theory(social systems); keywords were grouped into 4 clusters(social systems theory, systems theory, legal system and political system, the significant of Luhmann's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social theory); topic terms were systems theory, communication, Autopoiesis, risk, legal system, functional differentiation, environment, social theory, sociological theory, structural coupling, systems and evolu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following: the study gives keywords as useful access point for beginners of Luhmann's theory; the study proves that content analysis by keywords network can be applied to trend analysis of difficult theoretical researches.

A Study of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 곽철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4
    • /
    • pp.201-2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construct an internet shopping mall classification system used on the library classification theories. To aid in identifying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focused on the Ranganathan’s classification canons; canons for characteristics, canons for terms. The study shows six priniciples for an internet shopping mall classification system construct: products’characteristics, inclusiveness, various access points, category sequence and term consistency, term currency and obviousness, no term du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product’s search patterns and relationship to interface are suggested.

  • PDF

연구활동 분류의 이론적 검토

  • 설성수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 no.3
    • /
    • pp.19-33
    • /
    • 1999
  • 우리는 지식활동의 원천인 연구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분류체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식활동분류와 관련된 이론체계가 정립된 것이 없어서 다양한 시가과 방법론을 검토한 후 이들을 체계화하며 새로운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 논문은 바로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이론적인 작업을 정리한 것이다. 우리는 지식이라는 거대한 실체보다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는 연구활동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기반하였다. 또한 연구활동과 연구활동의 목적이 연계되고 학제연구라는 새로운 지적활동의 패턴이 자유자재로 반영되도록 하였다.

  • PDF

中韩对体质问题的研究比较 (중국과 한국의 체질의학 비교연구)

  • Wang, Gi;Lee, Yeong-Su;Ma, Hyo-Bo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20 no.2
    • /
    • pp.98-103
    • /
    • 2007
  • 중국의 체질의학은 중국의학의 진단과 변증 및 치료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론 중의 하나이다. 최근 중국에서의 체질에 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학계에서는 체질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으며 사상의학을 대표로 하는 체질의학이론의 체계가 이미 형성되어있다. 이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양국의 체질이론에 대해 그 연원과 이론체계 및 임상응용에 대해 비교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를 통해 한국의 체질의학은 중국의 체질의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중국의 체질의학의 내용을 더욱 심화시키고 확대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cdot$$\cdot$고등학교 의생활 교육내용의 체계에 관한 연구

  • 이은희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91-91
    • /
    • 2003
  • 제7차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내용 조직이나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에 있어서 연속성의 보장을 제도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학교급별에 따라 교과의 명칭만 다를 뿐 교과의 성격, 목표, 지도내용 등에서 체계적으로 편성되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와는 달리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는 다르게 조직되었다. 특히 의생활 교육내용의 경우 일부 학년에 국한되어 제시되고 있거나, 내용구조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7차 교육과정에서도 의생활 교육내용이 체계적으로 편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초$\cdot$$\cdot$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의 체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조직과 선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교과서 분석에는 체계적 내용분석(systematic content analysis) 방법을 채택하였다. 체계적 내용분석은 교육내용의 임의적 서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생활 교육이 그 가치와 위치를 정립하려면 그 분야만이 가지는 독특한 영역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체계적인 이론을 통해서만 드러낸다. 체계적인 이론은 우리가 교육현상을 바르게 지각하고 이해하며 그 실체를 볼 수 있게 하는 틀을 마련해 준다는 의미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Offspring of Alcoholics in the United States: A Test of Theoretical Model (미국내 알콜중독자 자녀들이 적응도에 관한연구 : 이론적 모델 테스트)

  • 장진경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18-128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콜중독가정에서 성장한 성인자녀들의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을 개발하고 그 모델의 적합 성(fit of the model)에 대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은 가족 체계이론 대응이론 사회지원이론,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에 기초를 두고 개발되었다.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은 표보의 특성을 좀 더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고 모델의 적합 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정된 인과관계모델을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적지원의 이용성을 인식하는 성인 자녀들의 경우 정서적으로 불 안정한 상태를 초래했으며 ;2) 사회적지원은 삶에 대한 적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3)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인자녀들의 경우 글의 삶에 좀 더나은 적응도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사회적지원과 성인자녀들의 정서적 상태간의 부정적 인관관계에 대해 논의 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현장에서의 실제 활용에 대해서도 논의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