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Job Knowledge and Education for Community Care : Focusing on the Job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커뮤니티케어를 위한 지역사회 재활 직무 지식과 교육의 적절성 조사연구 : 작업치료사 직무 중심으로

  • Bae, Seong-Hwa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Jo, Seok-M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 Baek, Ji-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배성환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조석민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백지영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1.11.22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ppropriateness of knowledge and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community rehabilitation jobs for community car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find out the job knowledge level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the commun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school education and maintenance education,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Based on the verified questionnaire, a survey was conducted o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overall, the average score was low i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job of occupational therapists engaged in the commun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school education and maintenanc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know the necessary knowledge in the practice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understand the level of knowledge re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the community, and learn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school education and maintenance education.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jobs is developed in existing medical institution-centered education, the job knowledge level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can be raised. Amid the rapidly changing times and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job-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occupations in charge of rehabilitation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재활 직무에 대한 지식과 교육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지식수준과 학교 교육 및 보수교육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관한 지식수준과 학교 교육 및 보수교육의 적절성이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 실무에서 필요한 지식을 알 수 있었으며,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지식 보유수준을 파악하고, 학교 교육 및 보수교육의 적절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기존 의료기관 중심의 교육에서 지역사회 작업치료 직무와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직무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와 감염병의 범유행 상황 가운데 지역사회의 재활 직무를 담당하는 다양한 직군들에 해당하는 직무 관련 지식수준과 교육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문광태, 박혜연, 김종배(2020). 작업기반 지역 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재활치료과학, 9(2): 99-117. https://doi.org/10.22683/TSNR.2020.9.2.099
  2. 이향숙(2011).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차이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1): 1-14.
  3. 구인순, 정민예(2015).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수준 진단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2): 15-29.
  4. Ramsey, R.(2011). Voices of Community-Practicing Occupational Therapists: An Exploratory Study.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5(2-3): 140-149. https://doi.org/10.3109/07380577.2011.569856
  5. 이향숙, 장기연, 정민예, 구인순, 우희순(2014). 2013년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2): 89-112.
  6. 장완호(2020). 지역사회 중심 가정방문 작업 치료사의 직무분석 및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홍승표, 김슬기, 김재환, 이주현(2016). 노인 주간보호센터의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대한작업치료사협회 정책과제.
  8. 이향숙, 박상희, 김유진, 노종수, 윤여용, 이경민(2015). 국내 학교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4): 17-33.
  9. 홍소영(2019).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9(3): 11-19. https://doi.org/10.18598/kcbot.2019.9.3.02
  10. 주은솔, 방요순, 황민지(2020).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 중요도 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599-608.
  11. 신재용, 김정란, 이지선(2018).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 개발: 델파이연구. 재활치료과학, 7(1): 37-50. https://doi.org/10.22683/tsnr.2018.7.1.037
  12.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2021.10.20.
  13. 아라이 켄고 외 20인(2018). 커뮤니티케어와 작업치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14. Marjorie Scaffa(2011). 지역사회 재활. 영문출판사.
  15.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20).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Et Process.
  16. Fehring, R.J.(1987).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Nursing Faculty Research and Publications, 27.
  17. 이향숙, 윤여용, 노종수, 송재철(2017).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도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4): 113-129.
  18. 구인순, 정민예, 유은영, 박지혁, 이재신, 이향숙(2015).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1): 137-149.
  19. 이재신, 전병진, 김수경, 장기연, 정민예, 유은영, 백염림, 함보현(2013). 신입 작업치료사의 국가시험 실기과목 점수와 직무능력의 상관성.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1): 81-93.
  20. 김향희, 김정완, 허지회, 김덕용, 성수진(2008).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언어청각장애연구, 13(3): 353-380.
  21. Amini, D.A., Kannenberg, K., Bodison, S., Chang, P., Colaianni, D., Goodrich, B., & Lieberman, D.(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3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ement 1): S1-S48.
  2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62: 625-683 https://doi.org/10.5014/ajot.62.6.625
  23.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 609-639. https://doi.org/10.5014/ajot.56.6.609
  24. 김윤영, 윤혜영(2018). 커뮤니티케어 해외사례와 함의 그리고 구상. 비판사회정책, 60: 135-168.
  25. 배성환, 장연식, 백지영(2021).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제안: 작업과 활동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4): 325-335.
  26. 임정미, 김범중(2021). 장기요양서비스에서 작업치료사 인력 현황과 수급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9(2): 4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