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creditation Method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Childcare Teacher Education Department

보육교사 양성학과 평가·인증 방안 및 실무추진체계 연구

  • 권기남 (오산대학교 아동보육과) ;
  • 김유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
  • 민미희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1.08.12
  • Accepted : 2021.10.0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Objective: In this study, a department accreditation system was introduced as a specific way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department accreditation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were derived to find a practical dir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laws and websites were reviewed.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opinions on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qualification indicators, a meeting was conducted with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childcare teacher education and other qualification experts. Results: In order to introduce a department accreditation system for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levant laws, and that th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a public institution is appropriate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an evaluation index plan composed of three indicators of educational conditions, curriculum, and performance areas was derived.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a practical preparation plan, such as evaluation indicators and an implementation system, was presented for the introduction of a department accreditation childcare teacher educ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영, 박창현, 김수정, 김혜진 (2018). 유치원과 어린이집 격차 완화를 위한 로드맵 연구: 교사를 중심으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김의향 (2013. 4). 보육교직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격관리와 처우개선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 논문, 서울.
  3. 김의향, 박진옥 (2018).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8(2), 129-145. doi:10.21213/kjcec.2018.18.2.129
  4. 박삼철 (2021). 전문성과 표준화를 지향하는 호주의 교원양성제도 혁신 과정 및 특성 분석. 교육 행정학연구, 39(1), 173-192. doi:10.22553/keas.2021.39.1.173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n. d.). 건축사법. https://www.law.go.kr에서 2021년 7월 5일 인출
  6.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n. d.).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 등에 관한 규정. https://www.law.go.kr에서 2021년 7월 5일 인출
  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n. d.). 약사법. https://www.law.go.kr에서 2021년 7월 5일 인출
  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n. d.). 의료법. https://www.law.go.kr에서 2021년 7월 5일 인출
  9.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n. d.). 의료기사등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에서 2021년 7월 5일 인출
  10.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18). 학과제 방식의 보육교사 양성체계 도입 방안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11.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 (2014).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doi:10.14698/jkcce.2014.10.4.005
  12. 이경인, 김은숙, 양다교, 김명찬 (2017). 유보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고찰-보육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151-180.
  13. 이미정 (2013). 통합교사 자격체계 방안의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3(4), 387-402.
  14. 이미화, 강은진, 김은영, 김길숙, 엄지원 (2016). 보육교사 양성과정 및 보육실습 매뉴얼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5. 정미라 (2013. 9). 유보통합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한국유아교육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주제강연 논문, 서울.
  16. 차기주, 박은혜 (2019).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6(1), 245-273. doi:10.24211/tjkte.2019.36.1.249
  17. 한국교육개발원 (2019). 2019~2020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편람.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18. 한국약학교육평가원 (n. d.). 약학교육 평가지표. https://kacpe.or.kr/kr에서 7월 5일 인출
  19. 한국의학교육평가원 (2021). ASK(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 서울: 한국의학교육평가원.
  20. Hanushek, E. A. (2011). The economic value of higher teacher quality.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30(3), 466-479. doi:10.1016/j.econedurev.2010.12.006
  21. Oberhuemer, P. (2005). Conceptualising the early childhood pedagogue: Policy approaches and issues of professionalism.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13(1), 5-16. doi:10.1080/13502930585209521
  22. Slot, P. (2018).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literature review.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No. 176, Paris: OECD Publishing. doi:10.1787/edaf3793-en
  23. Slot, P., Lerkkanen, M. K., & Leseman, P. (2015). The relations between structural quality and process quality in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visions: Secondary analyses of large scale studies in five countries. https://ecec-care.org/fileadmin/careproject/Publications/ reports/CARE_WP2_D2__2_Secondary_data_analyses.pdf에서 2021년 7월 30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