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Regional Innovation Network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Actors in National R&D Projects

지역별 혁신 네트워크의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혁신주체의 관점에서

  • 김동관 (인천테크노파크) ;
  • 남태우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1.09.24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actor networks in regional innovation processes with a focus on actors' activities and finds the determinants of the networks, thereby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useful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y makers.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national R&D projects data and identified the activities of innovation actors. Finding out the network determinants was QAP analysis. The study suggests three main findings as follows. First, a meaningful difference exists in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activity by region. Second, the network of innovation actors meaningfully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 was found to be high in universities and businesses in Seoul and Gyeonggi, and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Daejeon. There are regions where all the networks of innovative actors are composed of one component, while some regions are not yet established with the network. Finally, although the networks of innovation actors are influenced by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size of the R&D fund, it is notable that the previous continuous relationship forms a strong research network.

본 논문은 지역별 혁신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혁신주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의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혁신주체의 활동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혁신주체 네트워크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QAP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마다 대표적으로 활동하는 혁신주체는 지역마다 차이가 존재하고 혁신주체의 활동은 시기적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혁신활동의 네트워크는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하고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과 공동연구개발을 많이 수행한다. 그리고 전체적인 공동연구의 건수가 증가하더라도 지역 내 국지적인 네트워크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셋째, 혁신주체의 네트워크는 지리적 근접성과 연구비의 규모 차이가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과거의 지속적인 관계가 강한 연구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BK21FOUR 「공감과 혁신을 위한 플랫폼 거버넌스 교육연구단」에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관리번호 4199990114294).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201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2017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구양미, 2008, "고령친화산업 행위주체 네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3, pp.526-543.
  4. 구영우.조성복.민완기, 2012, "혁신체제론의 진화 및 주요 논점," 기술혁신학회지 15, pp.225-241.
  5. 김경미.이동민.이만형, 2011, "충청권 바이오.의료산업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위적,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3), pp.89-106.
  6. 김선우.양현채, 2017, 중소기업의 협력 R&D 수행 현황과 네트워크 효과, STEPI Insight 213호.
  7. 김성진.백종윤, 2010,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5+ 2 광역경제권별 혁신체계 발전 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7(2), pp.316-334.
  8. 김용웅.차미숙.강현수, 2009, 신지역발전론, 경기: 한울아카데미.
  9. 김용학, 2003,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10. 김용학.윤정로.조혜선.김영진, 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한국사회학 41(4), pp.68-103.
  11. 김익식, 2008, "한국 지방자치의 위기구조 (危機構造)와 미래구상," 한국행정학보 42(2) pp.5-30.
  12. 김정홍, 2004, 지역산업의 혁신역량 강화방안-지역혁신정책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13. 문미성, 2001, 필립 쿡크(Philip Cooke)의 지역혁신체계, 국토 230호, 95-103.
  14. 박경.박진도.강용찬, 2000, "특별기획, 지역혁신 능력과 지역혁신체제-지역혁신체제론의 의의, 과제 그리고 정책적 함의," 공간과 사회 13, pp.12-45.
  15. 박준형.곽기영.한희준.김윤정, 2013, "기업 간 특허인용 관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19(4), pp.21-37. https://doi.org/10.13088/JIIS.2013.19.4.021
  16. 사이람, 2018,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본 교육.
  17. 석명섭.김병근.정혜진,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역혁신체제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6(4), pp.197-226.
  18. 송위진, 2002, "혁신체제론의 과학기술정책," 기술혁신학회지 5(1), pp.1-15.
  19. 신동호, 2006, "독일 루르지역의 지역혁신정책 거버넌스 연구: 혁신주체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2), pp.167-180.
  20. 유광민.김동관.한성호, 2016, "혁신주체 관점의 지역별 혁신 특성 비교 분석," 산업혁신연구 32(3), pp.197-227.
  21. 이석희, 2000, 중소.벤처기업중심의 지역혁신시스템구축방안,"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00-05.
  22. 이선제.정선양, 2014, "혁신클러스터 내에서의 혁신주체들간 상호작용의 변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4), pp.820-844.
  23. 이성근.박상철.이관률, 2006, "지역전략산업의 육성과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한국행정논집 18, pp.205-233.
  24.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5. 이정협.김형주.손동원, 2005, 한국형 지역혁신체제의 모델과 전략1, 지역혁신의공간적 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05-02.
  26. 이철주, 2018, "국가연구개발에 관한 연구현황 분석, 국내학술지 문헌의 연구 분야 및 분야 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1(1), pp.201-235.
  27. 이철우, 2007,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 추진의 평가와 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4), pp.377-393. https://doi.org/10.23841/EGSK.2007.10.4.377
  28. 정선양, 2008, 전략적 기술경영, 서울: 박영사.
  29. 정준호, 2016, "발명자 네트워크의 공간적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1-17.
  30. 최수진, 2016, 커뮤니케이션의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1. 최해옥, 2012, "창조산업의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구조 변화 분석: 디자인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1), pp116-130.
  32. 함명인.이재원, 2013, "연구장비 구축 연구기관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3), pp.307-31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307
  33. 황명화.차미숙.김종학.이영주.성혜정.윤은정.안재성, 2016, 지역경제 정책지원을 위한 플로우(flow)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기본 16-20.
  34. 허동숙, 박소현, 구양미, 2016, "농촌지역 산업 기술지식의 융합과 지식 네트워크: 순창군 장류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566-582.
  35. Asheim, B. T. and Isaksen, A., 1997, "Location, agglomeration and innovation: Towards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Norway?," European planning studies 5(3), pp.299-330. https://doi.org/10.1080/09654319708720402
  36. Cooke, P., 1998, "Global clustering and regional innovatio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UCL Press Ltd, London, pp.245-262.
  37. Cooke, P., Uranga, M. G. and Etxebarria, G., 1997,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stitutional and organisational dimensions," Research Policy 26(4-5), pp.475-491. https://doi.org/10.1016/S0048-7333(97)00025-5
  38. Dodgson, M., Mathews, J., Kastelle, T. and Hu, M. C., 2008, "The evolving nature of Taiwan's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 case of biotechnology innovation networks," Research Policy 37(3), pp.430-445. https://doi.org/10.1016/j.respol.2007.12.005
  39. Freeman, C., 1987,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Lessons from Japan, Frances Pinter.
  40. Freeman, C., 1989,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Great Britain.: Pinter Publishers.
  41. Hassink, R., 2001, "Towards regionally embedded innovation support systems in South Korea? Case studies from Kyongbuk-Taegu and Kyonggi," Urban Studies 38(8), pp.1373-1395. https://doi.org/10.1080/00420980120080341
  42. Lundvall, B. A. and Johnson, B., 1994, "The learning economy," Journal of Industry Studies 1(2), pp.23-42. https://doi.org/10.1080/13662719400000002
  43. Lundvall, B.-A., 1992, National innovation system: 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Pinter, London.
  44. Manual, OECD Oslo., 2018, Guidelines for collecting, reporting and using data on innovation.
  45. Moulaert, F. and Sekia, F., 2003, "Territorial innovation models: a critical survey," Regional Studies 37(3), pp.289-302. https://doi.org/10.1080/0034340032000065442
  46. OECD, 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Paris.
  47.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ECD Publishing.
  48. Perkmann, M. and Walsh, K., 2007, "University-industry relationships and open innovation: Towards a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9(4), pp.259-280. https://doi.org/10.1111/j.1468-2370.2007.00225.x
  49. Rampersad, G., Quester, P. and Troshani, I., 2010, "Managing innovation networks: Exploratory evidence from ICT, bio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network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9(5), pp.793-805.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09.07.002
  50. Wasserman, S. and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 https://www.ntis.go.kr/(최종열람일: 2021년 1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