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교수학습지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 분석

Analysis of Argumentation Levels in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Lesson Plans

  • 투고 : 2021.07.28
  • 심사 : 2021.08.18
  • 발행 : 2021.08.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논증구조를 활용한 수업설계 과정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최종 교수학습지도안에서는 1차 교수학습지도안보다 더 많은 논증요소를 반영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짜임새를 갖춘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교과서나 교육과정에 모든 논증요소들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수업주제의 경우 예비교사들이 일부 요소를 교수학습지도안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설계에 논증구조를 활용함으로써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의 논증 수준이 높아졌으므로, 논리적인 과학수업 설계를 위한 도구로 논증구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교수학습지 도안의 논증 수준은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 제시된 논증요소를 벗어나지 못하므로,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수업 설계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논증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제 교수활동의 맥락에서 논증구조를 활용하는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apply a lesson design process using an argumentation structure to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nd analyzed argumentation levels displayed in the lesson plan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in the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 logically structured lesson by reflecting more argumentation components in the final lesson plan than the first 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lesson topics in which all argumentation elements were not explicitly presented in textbooks or curriculum, preservice teachers could not clearly reflect some argumentation components in the lesson plan.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the argumentation structure as a tool to design logical science lessons, considering that argumentation levels of lesson plans writte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improved by using argumentation structures in instructional design. Nex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ilit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for science lesson design using the argumentation structure since argumentation levels of lesson plans writte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limited to the argumentation compon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curriculu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uses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n the context of actual teaching activities so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an not only understand argumentation but also improve their class expertis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2018).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생물교육(구생물교육학회지), 46(1), 55-62.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1.55
  2. 고연주, 최윤희, 이현주(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509-52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509
  3. 김동희, 김용진(2015). 툴민의 논증 모형을 활용한 과학교과서의 논증 구조 분석. 교육연구, 63, 37-64.
  4. 김범준, 김형범, 조정은, 배성희(2015). 상호작용에 따른 논증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09-3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09
  5. 김선영(2015). 예비 생물교사들의 생명윤리 논쟁거리에 대한 논증활동의 효과.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3(1), 27-36.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1.27
  6. 김영대(2017).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61-172.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61
  7. 박원미(2020). 지구과학 예비교사가 설계한 수업내용의 논증구조에 나타난 반박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38-252.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38
  8. 박지연, 남정희(2019). 논의기반 탐구 (ABI)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37-34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337
  9. 백성혜, 손수희(2014). 중학교 1학년 상태변화 실험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논증구조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197-20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197
  10.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11. 신선경(2009). 과학의 언어: 이론 구성과 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2(1), 35-60.
  12. 양일호, 김기영, 임성만, 김은애, 김성운(2015).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상황에서 반박자료와 감정이입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66-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66
  13. 오준영, 김유신(2009). Toulmin의 논증의 옹호와 교육적 적용에 대한 탐색. 범한철학, 55, 379-425.
  14. 위수민, 윤지영, 임성만(2014).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2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11
  15. 이봉우, 임명선(2010).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39-751.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6.739
  16. 이선영, 최지선(2013). 국어.수학 통합 교과 원리로서 '정당화'에 대한 탐구-툴민의 논증 구조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6(3), 1-25.
  17. 이정찬(2013). 글쓰기 교육을 위한 과학 텍스트 분석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7(2), 97-127.
  18. 한신(2020).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에 나타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논증 구조 유형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 61-71.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1.61
  19. 한혜진, 이태훈, 고현지, 이선경, 김은숙, 최승언, 김찬종(2012). 과학영재의 논증 활동에서 나타나는 반박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17-72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17
  20.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21. Erduran, S., & Jimenez-Aleixandre, M. P. (Eds.)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New York, NY: Springer.
  22. Jimenez-Aleixandre, M. P., Bugallo Rodriguez, A.,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11)84:6<757::AID-SCE5>3.0.CO;2-F
  23. McNeill, K. L., Lizotte, D. J., Krajcik, J., & Marx, R. W. (2006). Supporting stu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s by fading scaffolds in instructional material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2), 153-191.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502_1
  24. Newton, P., Driver, R., & O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570
  2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26. Roy, S., & Bairagya, S. (2019).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cience from Shulman's notion to Refined Consensus Model(RCM): A journey. Education India Journal: A Quarterly Refereed Journal of Dialogues on Education, 8(2), 10-53.
  27. Sampson, V., & Blanchard, M. R. (2012). Science teachers and scientific argumentation: Trends in views and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9), 1122-1148. https://doi.org/10.1002/tea.21037
  28.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35-260.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957
  29. Toulmin, S. E. (2006). The uses of argumentation(논변의 사용). 고현범, 임건태 (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원서 출판 2003)
  30. Toulmin, S. E., Rieke, R., & Janik, A. (1984). An introduction to reasoning. New York, NY: Macmillan Publishing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