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지구과학 영역 분석

Analysis of Earth Science Area among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 투고 : 2021.07.29
  • 심사 : 2021.08.24
  • 발행 : 2021.08.30

초록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역량을 지닌 인재를 요구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핵심역량 중심 프로그램으로 개편되었다. 이에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에서 제공하는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5가지 핵심역량에 따라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GED에서 제공하는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지구과학 영역에 초점을 두어 개발된 3개의 프로그램에 과학과 핵심역량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정량 분석 및 정성 분석하고 논의한다. 이 연구가 영재수업에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할 때, 학생들이 길러졌으면 하는 핵심역량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는데 지침이 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고,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순이며,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은 상대적으로 반영 빈도가 낮다. 둘째,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활동이 여러 핵심역량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가 영재수업에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할 때, 학생들이 길러졌으면 하는 핵심역량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정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역량중심 지구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반영 빈도가 낮았던 역량을 보완함으로써, 영재 학생들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과학과 핵심역량을 골고루 함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is re-constructured into core competency-based program in line with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alented people with comprehensive ability are required. Therefore,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is provided from Gifted Education Database(GED) i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2015 revised edition in science and 5 main core-abilitie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This research, which is provided from GED, is focused on earth science area among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analy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ow science and core-ability is appeared in 3 programs developed in science area. This research can be another guideline when someone would like to use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suggesting a right direction for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 Firstly, in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fluence rate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re highest, where influence rates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are relatively low. Secondly, in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single activity may includes several core-abilities. Following research is quite meaningful in aspect of giving out the information to choose topic in core-ability when using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lso by supplementing lowly-influenced ability in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t is expected for gifted students to build scientific core-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2. 교육부(2015b). 초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4. 김기환, 박순홍, 최규식, 손준호, 오정현, 정나진, 김혁(2015).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초.중학교 과학. 한국교육개발원.
  5. 김수연, 한신, 정진우(2016). 영재 개별화 교육에 관한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99-21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99
  6. 김순식, 이용섭(2013).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신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2), 152-158.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2.152
  7. 김연희(2020). '에너지와 안정성' 대주제로 한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초.중학생 영재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9(4), 107-128.
  8. 문병찬(2021). 핵심역량중심교육 관점에서 지층관련 초등과학교과서의 지식과 예비초등 교사들의 개념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48-58.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1.48
  9. 박구름(2017). 과학과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심보경, 유미현(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의 수행평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현장과학교육, 14(4), 481-500. https://doi.org/10.15737/SSJ.14.4.202011.481
  11. 엄성욱, 김권수, 김인철, 손창익, 이창헌, 전성수, 조은정(2019).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초등과학: 지구과학(안정성). 경상남도교육청.
  12. 이봉석(2021). 과학 핵심역량 기반 영재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인호, 박진성, 방희조, 홍태완, 이자랑, 오현종, 우석민(2018).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초등과학: 지구과학(체제와 상호작용). 인천광역시교육청.
  14. 정경윤(2021). 역량중심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GED 2019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조현희(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2(2), 1-30. https://doi.org/10.22799/JCE.2019.22.2.001
  16. 하민수, 박현주, 김용진, 강남화, 오필석, 김미점, 민재식, 이윤형, 한효정, 김무경, 고성우, 손미현(2018).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95-504.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495
  17. 한혜정, 이주연, 김기철, 장경숙(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19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