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 차문화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 Received : 2021.11.07
  • Accepted : 2021.12.13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tea culture industry and explores ways to restore and develop Korean tea culture by referring to the response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China. In order for the Korean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to expand, based on a strong tea industry, high-quality tea should be created to satisfy consumers' needs, health, convenience, and reasonable prices, and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tea house and inherit the spirit of tea.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도 전남대학교 교내 연구비(2020-3927)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이승원, <한국차 문화 부흥운동의 역사와 현대적 가치>, ≪21세기 차문화부흥운동을 위하여≫, (2006년 국제차 문화 학술세미나 자료)
  2. 정병춘, <한국 녹차산업의 비전 및 전망>, ≪21세기 차 문화부흥운동을 위하여>, (2006년 국제차문화학술세미나 자료)
  3. 김진규 외 2인 공저, <전통차류에 대한 한국 성인의 이용현황 및 기호도 연구>, J East Asian Soc Diet Life, 27(3): 319 (2017)
  4. 정은희, <우리나라 차문화 확산과 차산업 발전방향 : 영국의 교훈>, ≪소암조기정정년기념논문집≫, 한국차문화학회 (2021. 6.)
  5. <3개국(일본, 대만, 홍콩)녹차 소비현황 및 제품분석>, 농림축산식품부, 2019.5.
  6. 정광희, <韓國 綠茶 大衆化를 위한 마케팅 전략 硏究>, 원광대학교 동양대학원 석사논문, 2016
  7. 정영섭, 차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 하동군(화개)을 중심으로-, 경상국립대학교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 2021.
  8. 정명, <무이암차 제다법을 통용한 장군청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9. 송현아, <전통찻집의 고객경험이 정서적 반응, 고객가치, 고객만족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