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차(綠茶)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녹차(綠茶)의 흡습특성(吸濕特性) (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 이주백;정신교;손태화;최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50-54
    • /
    • 1986
  • 시판(市販) 녹차(綠茶)를 $20^{\circ}C$에서 상대습도(相對濕度)를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흡습특성(吸濕特性)을 조사하였다. 녹차(綠茶)의 흡습속도(吸濕速度)는 저장상대습도(貯藏相對濕度)가 높을수록 컸으며 저장시간(貯藏時間)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녹차(綠茶)의 등온흡습곡록(等溫吸濕曲綠)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일정할 때 저장시간과 흡습속도와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식(式)을 구할 수 있었다. $ln{\frac{dw}{dt}}=nln(t)+lnc$ B.E.T. 식(式)에 의해 구한 녹차(綠茶)의 단분자층수분함량(單分子層水分含量)은 7.01~7.87%로 나타났다. 저장시간(貯藏時間)과 흡습속도관계식(吸濕速度關係式)에서 구한 계산치 수분함량과 실측치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거의 유사한 경향이었다.

  • PDF

차(茶) 제조중(製造中)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Chemical Change of Major Tea Constituents during Tea Manufacture)

  • 김창목;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1983
  • 1982년(年) 8월(月) 장성지방에서 수휴(收携)한 차엽(茶葉)으로 전통적(傳統的)인 볶음차(茶) 제조방법(製造方法)과 상업적(商業的) 제조방법(製造方法)에 따라 각각(各各) 녹차(綠茶)와 홍차(紅茶)를 제조(製造)하고 생엽(生葉)과 녹차(綠茶), 홍차(紅茶)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인 tannin, caffeine 총(總)아미노산 유리당(遊離糖)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測定),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엽(紅葉)의 tannin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1.79%, 12.03%, 7.89%, 3.43%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에서는 2% 증가(增加)하였고, 홍차(紅茶)에서는 56.5%가 감소(減少)하였다. 2.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의 caffeine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2.05%, 2.58%, 1.63%, 1.58%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에서는 25.9% 증가(增加)하였고, 홍차(紅茶)에서는 3.1% 감소(減少)하였다. 3.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 의 총유리당(總遊離糖)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15.78mg/g, 25.19mg/g, 120.72mg/g, 28.18mg/g 으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와 홍차(紅茶)에서 각각(各各) 78.2%, 76.7% 감소(減少)하였다. 4.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의 총(總) 아미노산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279.59mg/g, 206.52mg/g, 120.54mg/g, 97.84mg/g으로 제조(製造) 후(後) 녹차(綠茶)와 홍차(紅茶)에서 각각(各各) 26.1%, 18.8% 감소(減少)하였다.

  • PDF

전차법(煎茶法)에 따른 녹차중(綠茶中) 무기물(無機物) 함량(含量) (The Mineral Contents of Green Tea Made with Different Drawing Conditions)

  • 김연희;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9-295
    • /
    • 1985
  • 1984년 6월 시판(市販) 녹차(綠茶) 4종(種)을 구입하여 전차시(煎茶時) 물의 온도를 70 및 $80^{\circ}C$에서 8, 5 및 3분간씩, 그리고 $70^{\circ}C$$80^{\circ}C$에서는 3분간씩 3회 반복 전차(煎茶)했을 때의 무기물(無機物) 침출량(浸出量)을 원자흡광분광광도계(原子吸光分光光度計)로써 측정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茶)(제품화(製品化)된 녹차(綠茶)) 100g중 K $1737{\sim}3000\;mg$, Mg $178{\sim}205\;mg$, Ca $171{\sim}201\;mg$, Mn $54{\sim}71\;mg$, Na $24{\sim}50\;mg$, Fe $11.6{\sim}12.3\;mg$, Cn $3.4{\sim}5.3\;mg$, Zn $4.6{\sim}5.9\;mg$,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차(茶)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差異)를 보였다. 2. 차액(茶液)중에 침출(浸出)된 무기성분의 침출비율은 K>Zn>Mg>Mn>Fe>Na>Ca>Ca순이었다. 3. 차액(茶液)중의 무기성분의 침출량은 전차시(煎茶時)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길어질수록 침출량이 많았다. 4. 같은 온도에서 5분 및 8분간 전차(煎茶)했을 때보다 3분간 3회 반복했을 때 무기물의 침출량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서 차액중(茶液中) 무기물침출량(無機物浸出量)은 차(茶)의 종류(種類)에 따라, 또 무기물(無機物)의 종류(種類)에 따라 다소의 차이(差異)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전차시(煎茶時) 8분간 1회 침출한 양에 비하여 3분간 3회 반복 전차(煎茶)하였을 때 총 침출량이 많았으므로 생활차도(生活茶道)에서는 3회 반복 전차법(煎茶法)이 보다 결과적(結果的)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침출조건(浸出條件)에 따른 녹차(綠茶)의 L-Ascorbic Acid 용출량(溶出量)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mounts of Solubilized L-Ascorbic Acid in Green Tea by Extracting Conditions)

  • 신미경;이성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0
    • /
    • 1983
  • 전촌(田村)가 개량(改良)한 DNP법(法)에 의(依)하여 녹차(錄茶)의 침출조건(浸出條件)에 따른 ascorbic acid용출량(溶出量)에 대(對)하여 검토(檢討)를 하였다. (1) 녹차(錄茶)는 양질(良質)의 것 일수록 ascorbic acid의 용출율(溶出率)이 높고 저온(低溫)에서도 잘 용출되었다. (2) 녹차(錄茶)는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ascorbic acid의 용출율(溶出率)이 높고 $80^{\circ}C$의 온탕(溫湯)을 사용(使用)했을 때 제 1 회의 3 분(分)간 침출(浸出)에서 85%가 용출되었다. (3) 증류수의 비등시간(沸騰時間)과 ascorbic acid용출량(溶出量)과의 관계(關係)에 있어서는 비등시간(沸騰時間)이 길수록 용출량(溶出量)이 증가(增加)하였다.

  • PDF

육대(六大) 차류(茶類)에 대(對)하여 -제 2보 고려시대- (On the Six Kinds of Teas -Part II Koryo Dynasty-)

  • 김명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5-159
    • /
    • 1989
  • 고려시대(高麗時代)에 육대(六大) 차류(茶類)의 전래(傳來) 여부(與否)와 국내(國內)에서의 제차(製茶) 여부(與否)를 고찰(考察)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사실(史實)이 확인(確認)되었다. 1. 연고차(硏膏茶)가 전래(傳來)되어, 국내(國內)에서도 생산(生産)되었다. 2. 향차(香茶)는 백차(白茶)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3. 엄차와 대차(大茶)는 청차(靑茶)였던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4. 고려말기(高麗末期)에는 녹차(綠茶)인 엽차(葉茶)도 음용(飮用)되었다.

  • PDF

중국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 차문화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안

  • 엄영욱;조원일;이식;신승식;김성순;전영의
    • 중국학논총
    • /
    • 제72호
    • /
    • pp.179-200
    • /
    • 2021
  •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tea culture industry and explores ways to restore and develop Korean tea culture by referring to the response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China. In order for the Korean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to expand, based on a strong tea industry, high-quality tea should be created to satisfy consumers' needs, health, convenience, and reasonable prices, and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tea house and inherit the spirit of tea.

알로에(蘆회), 녹차(綠茶), 꿀(蜂蜜)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pigmentation Effects of Aloe, Camellia sinensis and Mel)

  • 한은정;이길영;김혜정;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5-163
    • /
    • 200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pigmentation effects of Aloe, Camellia sinensis and Mel. Methods :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melanin production & melanoma cell viability in cultured B16 melanoma cells, UV screen and cyt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were measured. Results : Aloe has som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on the other hand Camellia sinensis and Mel do not have. They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melanoma cell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Aloe and Camellia sinensis have some inhibitory effects on UV scree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loe and Camellia sinensis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external application have some depigmentation effects. Following this, We should use them for whitening agents and the depigmentation effects of the other natural subjects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external application should be examined.

  • PDF

녹차(綠茶)추출물에 의한 치매 치료 및 예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mentia by Green-Tea extracts)

  • 임종순
    • 혜화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26
    • /
    • 2003
  • Alzheimer's disease (AD) is characterized by amyloid deposition and associated loss of neunons in brain regions involved in learning and memory processes. Several causes of evidence support that the congnitive disturbance is closed associated with the deficit of cerebral acetylcholine neurotransmission, and the effect of carboxyl terminal 105 amino acid fragment (CT105) of the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on the gen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e tested it on the scopolamine-induced amnesia model of the ICR mouse using the Morris water maze with repeated orally administration of 1st Green-Tea extract (200 mg/kg) and 2nd Green-Tea extract (200 mg/kg). The Green-Tea prevents impairment of learning and memory and neuronal loss in mouse models of cognitive disturbance and it demonstrated selectivity for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hE). Furthermore,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Green-Tea, CT105-induced alzheimer's mouse model showed central cholinergic activity by ameliorates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and isolation of CD14 microglia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s intracellular release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Because of its composite profile, oral therapeutic index and a prophylactic, Green-Tea is considered the better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PDF

한국(韓國) 야생차(野生茶)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 전질소(全窒素), 회분(灰分), 가용분(可溶分), 탄닌, 카페인 및 비타민 C 에 관(關)하여 -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ea Shoots in Native Tea Plant in Korea - Part 1. Total nitrogen, Ash, Water extract, Tannin, Caffeine and Vitamin C -)

  • 은종방;이종욱;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202-208
    • /
    • 1985
  • 한국(韓國) 재래(在來) 야생차(野生茶)의 유연성(類緣性) 조사(調査)로 형질(形質)이 다른 용장(龍欌) 차엽(茶葉)과 와운(臥雲) 차엽(茶葉), 그밖의 8개소(個所)의 야생차엽(野生茶葉)(일반차엽(一般茶葉)) 및 일본(日本)의 우량(優良) 녹차(綠茶) 품종(品種)인 Yabukita의 유엽(幼葉)을 각각(各各) 채엽(採葉)하여 차(茶)의 품질(品質)을 좌우(左右)하는 중요(重要)한 화학(化學) 성분(成分)인 전질소(全窒素), 회분(灰分), 가용분(可溶分), 탄닌, 카페인 및 비타민 C를 분석(分析)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질소(全窒素) 량(量)은 대죽(大竹) 차엽(茶葉)이 6.05%로 가장 많았고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4.94%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5.50%, 와운(臥雲) 차엽(茶葉)은 5.70%이고 Yabukita 차엽(茶葉)은 5.81%였다. 2) 회분(灰分) 량(量)은 군유산(軍有山) 차엽(茶葉)이 5.47%로 가장 많았고 태안사(泰安寺) 차엽(茶葉)이 4.94%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5.15%이고 와운(臥雲) 차엽(茶葉)5.10%, 용장(龍欌) 차엽(茶葉) 4.97%, Yabukita 차엽(茶葉)은 5.18%였다. 3) 가용분(可溶分) 량(量)은 태안사(泰安寺) 차엽(茶葉)과 Yabukita 차엽(茶葉)이 각각(各各) 48.45%로 가장 많았고 대죽(大竹) 차엽(茶葉)이 44.10%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가 46.78%, 와운(臥雲) 차엽(茶葉)이 47.75%,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47.78%였다. 4) 탄닌 량(量)은 용암산(聳岩山) 차엽(茶葉)이 15.67%로 가장 많았고 Yabukita 차엽(茶葉)이 10.41%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12.88%, 와운차엽(臥雲茶葉) 12.09%, 용장(龍欌) 차엽(茶葉)은 13.44%였다. 5) 카페인 량(量)은 대죽(大竹) 차엽(茶葉)이 2.89%로 가장 많았고 만덕산(萬德山) 차엽(茶葉)과 Yabukita 차엽(茶葉)이 2.43%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2.72%, 와운차엽(臥雲茶葉)은 2.73%,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2.55%였다. 6) 총(總) 비타민 C 량(量)은 용암산(聳岩山) 차엽(茶葉)이 436.59mg%로 가장 많았고 군유산(軍有山) 차엽(茶葉)이 146.94mg%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264.59mg%,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223.10mg%, Yabukita 차엽(茶葉)이 256.49mg%였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할 때 용장(龍欌) 차엽(茶葉)은 일반차엽(一般茶葉)과 형질(形質) 뿐만 아니라, 성분(成分)도 다르므로 품종(品種)이 다른 수종(樹種)으로 추정(推定)되며 와운(臥雲) 차엽(茶葉)은 일반차엽(一般茶葉)과 형질(形質)은 다르나 성분상(成分上)의 비슷한 점으로 보아 동일계통(同一系統)의 변이(變異)된 대엽종(大葉種)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