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ension Relaxation in Middle-Aged Women with Sleep Disorders in Singing Bowl

싱잉볼의 수면장애 중년여성의 긴장이완에 관한 현상학 연구 -소리치료, 싱잉볼(singing bowl)적용-

  • Received : 2021.06.20
  • Accepted : 2021.07.19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Middle-aged women experience divers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es and tensions through the menopause, aging, and taking up too many social roles, which often leads to sleep disorder. But there are not many scientific researches on the issue. Therefore, the research of efficacy of singing bowl that helps relax middle-aged women who have sleep disorder is needed to improve their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ith 4 middle-aged women with sleep disorder, whose Pittsburgh sleeping quality scale marked over 5 points, who took part in singing bowl experience for 40 minutes and did the interview. The study resulted in following conclusions that through participants' singing bowl experience, 518 constructive meanings, 15 meaning units, 7 sub components, and 2 group subjects were drawn up. Firstly, when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singing bowl experience, they underwent physical, mental, imagery experiences which are physical pain and muscle relaxation, mental relaxation, and positive mindset and imaginary images and colors. Secondly, physical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felt after singing bowl experience was increased physical relaxation, improved physical symptoms and more physical activities, and psychologically participants also felt reduced anxiety, increased happiness and positive mentality. And behavioral changes are relaxed movements, increased activities, and improved sleep is huge benefit through changes of sleep pattern. In this study, singing bowl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on relaxing the middle-aged women's tensions that are caused by sleep disorders and singing bowl experience is meaningful in that the middle-aged women as well as modern people with the sleep disorders can be helped to have better lives.

중년여성은 갱년기와 노화, 과다한 역할로 인해 다양한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로 긴장을 경험하며, 이것이 수면장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연관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이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긴장이완을 돕는 싱잉볼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2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수면장애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년여성 중 피츠버그 수면의 질 평가 측정점수가 5점 이상인 4명을 선정하여 싱잉볼 체험을 40분 실시하고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싱잉볼 체험을 통해 518개의 구성의미와 15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요소, 2개의 주제군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싱잉볼 경험 시 신체적 경험으로는 통증과 이완 경험, 심리적 경험으로는 마음이완과 긍정심리 경험, 심상적 경험으로는 이미지와 색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싱잉볼 경험 이후 연구 참여자들이 느낀 신체적 변화는 신체이완, 신체증상, 신체활력 증가였으며 심리적 변화는 불안감소, 유쾌함과 긍정심리 증가였다. 행동적 변화는 행동 느긋해짐, 활동량의 증가였고 수면변화로 인한 수면개선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싱잉볼은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긴장이완에 심리적·신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긴장으로 인한 수면장애로 고통 받는 중년여성들과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도구인 싱잉볼을 활용하여 양질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데 그 의의를 둔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미성, 김금순 (2014), 요가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체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1호 pp.22-33. https://doi.org/10.7475/kjan.2014.26.1.22
  2. 김현주(2019), 티베트 싱잉볼테라피의 자연치유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전윤경(2019), 싱잉볼 소리의 맥놀이 파동분석 연구를 통한 뇌파와 이완유도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9호, 547-558.
  4. Mitchell L.Gaynor, M.D.(2002), 「Healing Power of Sound」, Shambhala.
  5. 장석종(2014), 「내추럴 코드」, 엔자임 하우스.
  6. Peter Guy Manners(2012), 사이매틱스-진동의학 「The Body is a Symphony of Sound」, 지금 여기, 9-6 미네사클럽.
  7. 전윤경(2019), 싱잉볼 소리의 맥놀이 파동분석 연구를 통한 뇌파와 이완유도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9호, 547-558.
  8. 장석종(2014), 「내추럴 코드」, 엔자임 하우스.
  9. 이경순(2019), 소리파동의 심신치유에 관한 고찰 - 만트라 명상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Mitchell L.Gaynor, M.D.(2015), 「Healing Power of Sound」, 천시아 역, Shambhala.
  11. Clark,A.J.flower, J., Boots., and Shettar, S.(1995), "Sleep disturbance in mid-life wom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 562-568.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5.22030562.x
  1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7), 「DSM-5 수면 각성장애」, 강진령 역, 학지사.
  13. 조성희(2002), 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4. Owens, J. F. & Matthews, K. A.(1998), Sleep disturbance in healthy middle-aged women. Maturitas, 30, 41-50. https://doi.org/10.1016/S0378-5122(98)00039-5
  15. 김준형(2010), 중년여성의 죽음 의미 발견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Elliot Jaques(1965), Death and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 analysis, 46, 502-514.
  17. Erikson, E. H.(1994),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 w.w. Norton & Company.
  18. Conway, J. (1997), Men in midlife. 윤종석 역(2005). 중년의 위기. 서울 디모데.
  19. Jung, Carl G.(1972), Hull, R.F.C. trans. Answer To Job. New Jersey : Prinston University Press.
  20. Analayo Bhikkhu(2019), 「깨달음에 이르는 알아차림 명상 수행」, 이필원 . 강향숙. 류현정 공역, 명상상담연구원.
  21. 김동한(2012), 신체느낌과 명상심리치료, 박사학위논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2. C.G.Jung(2018), 「인간과 상징」, 김양순 역서, 동서문화사.
  23. Welwood, John(2000), Toward a Psychology of Awakening: Buddhism, Psychotherapy, and the Path of Personal and Spirtual Transformation. Boston : Shambhala.
  24. Edmund Husserl(2014), 「현상학적 심리학」이종훈 역, 한길사.
  25. 이경순(2019), 소리파동의 심신치유에 관한 고찰 - 만트라 명상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전윤경(2019), 싱잉볼 소리의 맥놀이 파동분석 연구를 통한 뇌파와 이완유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9호, 547-558.
  27. 이경순(2019), 소리파동의 심신치유에 관한 고찰 - 만트라 명상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Abraham H.Maslow(2020), 「존재의 심리학」, 정태연.노현정 역서, 문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