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판 제로섬 신념 척도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Zero-sum Belief Scale

  • Joeng, Ju-Ri (Department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6.03
  • 심사 : 2021.07.04
  • 발행 : 2021.08.31

초록

이 연구는 Różycka-Tran, Boski, Wojciszke(2015)이 Belief in a Zero-Sum Game (BZSG) 모델을 토대로 개발한 제로섬 신념 척도를 국내 성인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508명의 성인(대학생 252명, 일반성인 256명)을 대상으로 제로섬 신념, 사회적 신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 성향, 사회비교 지향성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제로섬 신념은 단일요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신뢰도 분석 결과, 양호한 내적 일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판 제로섬 신념 척도는 사회적 신뢰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로섬 신념 척도는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 문화 성향과 정적 관계를 나타냈고, 수평적 집단주의 문화 성향과는 부적 관계, 수평적 개인주의와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회비교 지향성과는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 집단이나 일반 성인 집단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국내에서 제로섬 신념과 관련된 많은 연구를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혔고, 제로섬 신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제로섬 신념으로 인해 나타날 결과들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zero-sum belief scale among a sample of Korean adults. The original scale was developed by Różycka-Tran, Boski, and Wojciszke (2015) based on the Belief in a Zero-Sum Game (BZSG) model. A total of 508 participants (252 college students and 256 non-student adul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comprised of the scales of zero-sum belief, social trust,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ndividualistic-collectivistic tendencies,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zero-sum belief scale has one factor.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zero-sum belief scale was good. The Zero-sum belief scale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cial trust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the sca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vertical individualistic and vertical collectivistic tendencies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horizontal collectivistic tendencie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zero-sum belief and horizontal individualistic tendenci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zero-sum belief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However, the results from the college student sample and the non-student adult sample were different. Lastly, this study could facilitate future research on zero-sum belief in South Korea, and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reveal the predictors and effects of zero-sum belief.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관우, 남진열 (2018). 대학생세대와 부모세대의 문화성향이 복지의식과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정책, 58, 123-158.
  2. 구자영, 서은국 (2007).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19.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4.001
  3. 김기범 (1996). 대인관계 속에서의 도덕성과 내 집단-외집단 구별: 문화비교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남희은, 이미란, 배은석, 김선희, 배정원 (2014). 대학생의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8(2), 227-255.
  5. 류연규, 김영미 (2019).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6(4), 131-160.
  6. 박길성 (2011). 한구사회의 세대갈등: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2(1), 3-25. https://doi.org/10.22862/KJSR.2011.12.1.001
  7. 서문기 (2004).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갈등해결 시스템을 모색하며. 한국사회학, 38(6), 195-218.
  8. 양계민 (2009).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59-79. https://doi.org/10.21193/kjspp.2009.23.2.004
  9. 양계민 (2010). 현실갈등인식과 지각된 경제수준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안녕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1), 111-128.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1.008
  10. 양혜승 (2015). 상대적 박탈감은 언제 발생하는가?: 등장인물의 특성 및 수용자 개인의 속성이 상향비교 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9(6), 137-171.
  11. 유주연, 안현의 (2020). 성인초기 남녀의 성차별 메타-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유형별 성역할갈등, 이성과의 거리감,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351-378.
  12. 이인영, 박혜경 (2021). 자원 부족이 청년세대의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2), 139-165.
  13. 전유정 (2016). 범죄뉴스의 선정성과 책임귀인이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최유석, 오유진, 문유진 (2015).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세대갈등, 노인의 기여, 노인복지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228-24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28
  15. 한규석 (1996). 심리학에서의 비교문화 연구: 사회심리학에서의 문화비교 연구: 현황 및 세계화 속의 과제. 한국심리학회 동계연구세미나, 1, 5-58.
  16. Borawski, D. (2018). The loneliness of the zero-sum game loser. The balance of social exchange and belief in a zero-sum game as predictors of loneli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35, 270-276. https://doi.org/10.1016/j.paid.2018.07.037
  17. Bosson, J. K., Vandello, J. A., Michniewicz, K. S., & Lenes, J. G. (2012). American men's and women's beliefs about gender discrimination: For men, it's not quite a zero-sum game. Masculinities and Social Change, 1(3), 210-239.
  18. Essess, V. M., Jackson, L. M., & Armstrong, T. L. (1998). Intergroup competition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immigration: An instrumental model of group conflict. Journal of Social Issues, 54, 699-724. https://doi.org/10.1111/0022-4537.911998091
  19. Essess, V. M., Dovidio, J. F., Danso, H. A., Jackson, L. M., & Semenya, A. (2005). Historical and modern perspectives on group competition. In Crandall, C. S. and Schaller, M. (Eds.), Social psychology of prejudice: Historical and contemporary issues (pp. 97-116). Lawrence, KS: Lewinian Press.
  20. Fearon, P. A., Gotz, F. M., Serapio-Garcia, G., & Good, D. (2021). Zero-sum mindset and its discontents. Social Macroeconomics Working Paper Series, 1, 1-49.
  21. Forsyth, D. R. (1999). Group dynamics (3rd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2. Gibbons, F. X., & Buunk, B. (1999).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comparison: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129-142. https://doi.org/10.1037/0022-3514.74.1.129
  23. Lyubomirsky, S., & Ross, L. (1997). Hedonic consequences of social comparison: A contrast of happy and unhappy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6), 1141-1157. https://doi.org/10.1037/0022-3514.73.6.1141
  24. Reeskens, T., & Hooghe, M. (2008). Cross-cultural measurement equivalence of generalized trust: Evidence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2002 and 2004). Social Indicators Research, 85, 515-532. https://doi.org/10.1007/s11205-007-9100-z
  25. Rozycka-Tran, J., Boski, P., & Wojciszke, B. (2015). Belief in a zero-sum game as a social axiom: A 37-Nation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6(4), 525-548.
  26. Rozycka-Tran, J., Piotrowski, J. P., Zemojtel-Piotrowska, M., Jurek, P., Osin, E. N., Adams, B. G., ... & Maltby, J. (2019). Belief in a zero-sum ga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35 countries. Current Psychology. doi: 10.1007/s12144-019-00291-0
  27. Ruthig, J. C., Kehn, A., Gamblin, B. W., Vanderzanden, K., & Jones, K. (2017). When women's gains equal men's losses: Predicting a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Sex Roles, 76(1-2), 17-26. https://doi.org/10.1007/s11199-016-0651-9
  28. Sherif, M. (1966). Group conflict and co-operation: Their social psychology. London: Routlege & Kegan Paul.
  29. Shin, J., & Kim, J. K. (2018). How a good sleep predicts life satisfaction: The role of zero-sum beliefs about happiness. Frontiers in Psychology, 9, 1580. https://doi.org/10.3389/fpsyg.2018.01580
  30. Singelis, T. M., Triandis, H. C., Bhawuk, D. P. S., & Gelfand, M. J.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3), 240-275. https://doi.org/10.1177/106939719502900302
  31.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32. von Neumann, J., & Morgenstern, O. (1944).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