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청각과 시각의 정보적 연합에 의하여 제작된 다 매체물(Multi-Media)을 접하는 것은 이제 현대사회에서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학자들은 이러한 영화에서 사용되는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에 대한 의미 연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프랑스의 실험주의 작곡가 이자 영화이론가 시온(Michel Chion)은 ‘시청각적 분석은 영상과 결합된 소리가 어떻게 작동하지를 이해하는 것으로 그 목표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이것은 캐나다의 음악 기호학자 타그(Philip Tagg)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하는데, 타그는 시각적 그리고 청각적 정보의 상호작용이 의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영상음악 분석에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 즉, 두 학자 모두 각기 다른 정보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영상과 음악의 긴밀한 협조에 의하여 제작되는 다 매체물 중 영화는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그 중요성이 역사를 통하여 드러나고 있다. 영국의 영화음악학자 칼리낙(Katheryne Kalinak)은 영화음악에서 배경 음악을 통한 내러티브에 나타나는 다양한 구도를 강조하는 행위는 ‘할리우드의 관습’이라고 주장하였다[3]. 또한 박병규는 영화음악은 표상적 측면에서 영화적 사건, 사실의 내러티브를 함의하는 개별적 요소를 음악에 내재된지표기호를 통하여 재현할 수 있다고[4] 주장하며, 영화에서 음악과 영상의 결합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였다. 더하여 타그는 영화에서 청각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의 의미를 연합하기 위하여 두 가지 다른 매체가 지니고 있는 유사성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예시를 제시한 바 있다[5]. 결국 영화는 영상이라는 시각적 정보와 음악이라는 청각 정보의 유사성에 의한 연합을 극적으로 엮어내는 멀티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이미테이션 게임(The Imitation Game)>(모르텐튈둠 2014)의 독특한 음악은 영상과 청각적·시각적 의미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내러티브의 흐름을 원활하게이끌어내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 영화의 줄거리는 독일의 암호 제조기 ‘에니그마’와 영국의 수학자 튜링(Alan Turing, 베네딕트 컴버비치 Benedict Cumberbatch 역)이 제작한 해독기기 ‘크리스토퍼’의 대립, 그리고 튜링의 부족한 사회성과 동성애로 인한 갈등이 내러티브의 중심에 있다[6].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인공 튜링의 성격과 그 주변과의 갈등에 대한 표현이 음악과 어떻게 연합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II. 매체 간의 유사성 분석 연구
매체 간의 유사성에 대한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미국의 영화음악학자 쿡(Nicholas Cook)과 그의 계승자 즈비코프스키(Lawrence Zbikowski)의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매체 간의 유사성 분석을 활용하여 영화음악 분석의 토대를 마련한 쿡은 음악의 은유 이론에 대하여 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7]. 쿡은 이 모델 [그림 1]을 통하여 멀티미디어가 송출하는 각기 다른 매개수단이 전달하는 의미의 유사성 관계 정도를 세 가지 단계로 분리하여 정리하였다.
그림 1. 유사성-비유사성 연속체 따라 위치한 쿡의 음악적 멀티미디어 모델[8]
쿡은 매개수단이 전달하는 메시지가 일치하는 경우, 매개수단(IMM, Instance of Multi-Media)간의 구성요소들에 의한 유사성이 많은 것으로 간주하여 상호 간의 조화로운 양립이 일어난다고 하였다[8]. 또한 그는 매개체 간의 유사성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항쟁 모델 (Contest model)을 제시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매개수단 간의 유사적 요소가 매우 적어 경우에 따라 의미의 연합에 실패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9]. 유사성과 비유 사성 모델 사이에는 상호보완성 모델이 존재하며, 이경우에는 매체간의 매개수단(IMM)이 쉽게 구별 될 수 있을 정도로 매체가 서로 모순된 방향성을 보이지는 않는다[9]. 즉, 상호보완적 조화모델로서 각기 다른 매개체에서 유사성을 이루는 요소들끼리의 조합만으로 의미를 형성하는 경우다. 이 모델을 통하여 쿡은 현대의 은유 이론으로부터 음악적 멀티미디어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적 접근법을 추출하였다.
즈비코프스키는 쿡이 제시한 음악을 이용한 은유법분석의 계승자로서 사회적·문화적 맥락의 음악적 관습에 대한 의미를 다른 매체와 연관지어 그 의미를 해석하는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9]. 그는 ‘음악이 영화에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 그 의미의 본질은 무엇이며 어떻게 설명 할 수 있는가?, 또한 음악과 적절하게 인식되는 소리 현상과 어떻게 연결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그의 논문을 시작하였다[10]. 즈비코프스키는 음악과 영화의 연합에 의한 의미 생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호 도메인 도식화 이론(Theories of cross-domain mapping) 과개념적 혼성(conceptual blending)을 활용하였다[11]. 이것은 포코니에(Golles Fauconnier)와 터너(Mark Turner)가 고안한 새로운 의미의 생성과 그것을 파악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분석이다. 이 도식 [그림 2]은 개념적 혼성 망(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으로 내적으로 발생하는 매체 간의 연합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림 2. 포코니에와 터너의 개념적 혼성을 위한 4개의 공간[13]
포코니에와 터너는 총칭공간(Generic Space)을 통하여 공통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기본 공간을 제시하였다[14]. 즉, 총칭공간에는 특정 사물의 일반적인 의미 혹은 공통된 의미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공간의 존재를 표시한다. 입력공간은 총칭공간을 바탕으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신호들의 공간이다. 이때 이 공간들을 연결하는 실선은 공간교차에 의한 연합을, 점선은 선택적 투영을 의미하고 있다. 혼합공간은 투영된 의미로 이루어진 입력공간들에 의하여 새롭게 생성된 의미가 존재한다[14].
즈비코프스키는 쇤베르크(Arnold Schoe -nberg, 1874-1951)의 오페라 <행복한 손> (Die glückliche Hand)을 포코니에와 터너의 개념적 혼성 망(Conceptual Intergration Networks)[12]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14]. <행복한 손>에서 즈비코프스키가 분석한 장면은 폭풍의 기본 개념을 활용하여 등장인물의 혼란을 음악, 조명, 무대연출, 그리고 드라마 내러티브로 표현하였다. 즈비코프스키는 총칭공간에 ‘폭풍’을 표시하였으며, 입력공간에는 폭풍에서 선택적으로 투영된 특징들을 네 가지 전달 매체를 통하여 표현하였다[그림 3].
그림 3. 개념적 혼성이론을 활용한 즈비코프스키의 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의 오페라 『행복한 손』 Die glückliche Hand) 마디 125~153 분석[16]
즈비코프스키는 혼합공간에 투영된 결과가 꿈이 악몽으로 변해가는 모습이라고 주장하였는데[16][그림 3].
그는 이 장면에서 음악이 캐릭터의 정신 상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 캐릭터의 정신 상태는 이질적인 음향요소와 음소들의 증가 및 음량 확성에 의한 점진적인 확장이 역동성을 만들어 폭풍에 대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고 하였다[17]. 즈비코프스키의 연구는 오페라에서 폭풍의 특징을 표현한 음악이 어떻게 캐릭터의 감정 그리고 극적 흐름과 연합하여 새로운 의미 생성이 완성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즉, 즈비코프스키의 분석은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가 개념적 혼성을 이루어 각 요소의 유사한 신호의 연합이 어떤 효과를 보여주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그림 4].
그림 4. 영화의 줄거리와 배경음악의 연합에 의한 개념적 혼성 망
III. 시각적·청각적 정보 분석 및 연합
<이미테이션 게임>의 영화음악 작곡가인 데스플라 (Alexandre Desplat)는 2014년 이 영화로 아카데미 영화 음악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하였다[18]. 데스플라 곡의 특이점은 미묘한 음악적 신호의 의미와 줄거리 정보의 연합을 효과적으로 완성하는 것이다. 그 예시로 <이미테이션 게임>이 외에 <킹스 스피치>(King's Speech, 2010), <색계>(色戒, 2007), 그리고 <작은 아씨들>(Little Women, 2019) 등의 작품이 있다.
데스플라는 주인공 튜링의 유도동기(Leitmotif)를 통하여 주제 모티브를 제시한 뒤, 주제 모티브에 대한 음악적 변형이나 불편한 음악적 표현을 통하여 튜링의 감정적인 측면 혹은 튜링과의 대립되는 요소들에 대입하여 활용하였다. <이미테이션 게임>은 선율, 리듬, 화성에 의하여 형성된 청각적 의미와 영화의 다양한 요소들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의미가 효과적으로 연합되어 있는 장면을 다수 보유한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이 챕터에서는 배경음악에서 나타나는 장조와 단조의 교차, 빈번한 박자 변형, 그리고 순차와 도약 등을 통한 변화가 만들어내는 의미가 영화의 주인공 튜링과 그의 주변 인물 및 주요한 사건 등과 연합하여 생성하는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1. 튜링과 주제음악: The Imitation Game
이 영화의 주제 음악은 <이미테이션 게임>으로 영화와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 음악은 다층적으로 영화의 줄거리를 보조하고 있는데, 첫 번째는 영화의 타이틀 음악으로서 주인공 캐릭터를 상징하고 있으며, 두 번째는 배경음악으로서 영화의 원활은 진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울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단조 오스티나토[19]로 시작하는 이 음악[그림 5]은 음침하고 부정적인 성격의 튜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음악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오스티나토와 화성적 충돌은 타인과의 조화를 꺼리는 그의 성격을 재현하여 음악과 영화의 진행이 모두 똑같은 불협화음을 드러낸다. ‘튜링의 성공’ 모티브 [그림 6]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두 마디의 장조 화성 진행 후 단조로의 복귀는 긍정적으로 변화하려는 시도가 결국 다시 부정적으로 회귀하는 영화의 줄거리를 반영하였다.
그림 5. ‘이미테이션 게임’ 마디1-2
그림 6. ‘튜링의 성공’ 모티브
[그림 6]의 모티브는 복잡한 감정을 내재한 도리안 [20] 선법으로 되어있다. 음도6(D)의 존재로 인하여 장조와 단조의 사이에서 아이러니를 형성하는 이 도리 안 선율은 줄거리에서 나타나는 튜링의 양면성과 효과적으로 연합한다. [그림 6]의 마디 1 에 나타나는 F, G, A , C는 상행진행이지만 단조 음계를 이루고 있으며, 마디2의 E 코드는 장3화음이지만 제2전위를 통한 불안감 형성으로 인하여 양면성을 띈다. 이러한 요소들은 튜링의 성공과 가려진 그의 어두운 면모를 함께 표현하고 있다.
이 모티브의 첫 사용은 음악의 시작과 함께 영화의 시작을 알리는 짧은 타이틀 장면이 지나간 뒤, 시끄러운 가운데 많은 인파들이 몰려있는 기차역을 걷고 있는 튜링이 나타난다. 이때 신문팔이 소년으로부터 알려지는 전쟁발발 뉴스와 단조의 미묘한 조합은 청각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의 연합에 대한 시발점 역할을 하였다. 튜링은 매우 긴장한 표정으로 사람들과 엮이는 것을 피하듯 움직이며 등장하고 있다.
두 번째로 이 음악이 사용된 장면은 암호 해독을 위해 모이게 된 팀원들과 제대로 어울리지 못하고 홀로 암호해독기기 ‘크리스토퍼’를 기획하는 튜링의 모습을 반주하고 있다. 단조성의 진행은 스스로를 사람들에게서 멀리하는 사회적 매너가 결여된 튜링의 외로운 모습과 효과적으로 연합한다. 또한 ‘튜링의 성공’ 모티브와 [그림 6]의 마디 2와 3에서 나타나는 화성진행은 순간적으로 단조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있다. 이 부분은 순간적이지만 긍정적 응답을 기대하는 시각적 요소와 연결된다. 이 부분과 일치하는 첫 번째 시각적 요소는 전쟁의 승리로 인하여 안심하게 될 국민들의 모습, 그리고 두 번째는 승리를 성취하기 위한 튜링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이다.
이후에도 이 모티브는 튜링의 암호해독기기에 대한 구상이 구체화되면서 ‘조안’(키아라 나이틀리 역) 에게설명하는 장면, 그를 싫어했던 동료들이 그의 암호해독기기가 유일한 방법이라고 변호하는 장면, 튜링의 암호해독기기(크리스토퍼)가 결국 독일의 암호화기기 ‘에니그마’를 해독하는 장면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그의 암호해독기기가 훗날의 컴퓨터에 초석이 되었다는 내용의 자막 장면 등 ‘튜링의 성공’과 성공적이지만은 않은 그의 인생을 지속적으로 보조하였다.
2. ‘튜링의 좌절’ 모티브
[그림 7]에 나타나는 모티브는 주제음악보다 먼저 영화에서 활용되었다. 튜링의 복잡한 정체성을 표현하는 이 모티브는 그의 좌절감이나 패배감과 연결되어 있다. 애매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에올리아 선법[21]으로, 단조의 익숙함과 교묘한 거리감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단조의 우울함과 선법의 신비로움을 동시에 취하며 튜링의 감춰진 좌절감과 효과적으로 연합하기도 한다. 특히 두 개의 프레이즈로 이루어진 이 모티브에서 각 프레이즈의 끝에 나타는 음도6(B)에서 음도 5(A)로 진행되는 반음관계는 상투적인 비극적 표현으로[22], 튜링의 우울한 성격을 효과적으로 대변하고 있다.
그림 7. 튜링의 좌절 모티브
영화의 첫 장면에서 튜링은 경찰서에 구금되어 있는데, 그가 구금된 사유는 당시에는 불법인 동성애 행위 때문이었다. 튜링의 침착한 모습과 구금 상황은 미묘한 아이러니를 만들어내며 [그림 7]의 모티브와 효과적으로 연합하고 있다. 특히 주선율에 호른을 활용하여 무게감 있는 음색은 D에올리아의 신비로움을 강화하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장치로 작동하고 있다.
‘튜링의 좌절’ 모티브가 활용되는 두 번째 장면은 튜링의 어린 시절, 그가 동성인 친구 크리스토퍼에게 고백을 하려고 기다리는 장면이다. 그러나 이때 크리스토퍼는 병사(病死)하여 학교에 돌아오지 못하였다. 위의 장면과 마찬가지로 ‘튜링의 좌절’ 모티브[그림 7]가 장면의 연합을 이끌지만 음색은 플루트가 추가되어 가장 높은 음역에서 뚜렷하게 선율을 담당하고 있다. 플루트에 의하여 가늘어지고 약해진 음색은 친구가 돌아오지 않아 실망하는 튜링의 모습과 연합하고 있다.
튜링의 좌절 모티브는 D에올리아가 아닌 E 에올리아로 변형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림 8]의 마디 1-8은 두 개의 프레이즈를 활용하여음도5(B)와 음도1(E)을 취하는 균형 잡힌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마디8의 E 이 개입되어 종지감을 흐트러트리며 다음에 대한 여지를 남기고 있으며 그것은 그대로 공통모티브의 반복(마디9)으로 이어지고 있다. 반복되기 전까지의 선율은 오보에가 담당하였다. 공통 모티브가 다시 등장하고 음색은 피아노로 바뀌어 마디9-12 부분을 연주 후 곡이 끝나면서 음도5(B)를 사용하며 강한 종지감을 형성하지 못한 채 음악은 종료된다.
그림 8. 튜링의 좌절 모티브
E에올리아의 변형된 좌절 모티브는 '에니그마'의 암호를 해독하였지만 그 해독을 독일군에게 들키지 않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희생을 만들어 낼 수밖에 없는 암호해독학자들의 고뇌를 표현함과 동시에 그들이 전쟁이 승리하기 위하여 비인간적으로 희생자를 선택하는 모습을 반주하고 있다. 이성과 감성사이에서 필사적으로 고민하는 영화의 등장인물들의 모습은 선율에서 나타나는 흐트러짐과 조합하여 괴로움과 비인간적 선택에서 오는 방황적 등장인물들의 정신적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E 의 개입으로 종지감을 상실한 채 주인공들의 번뇌하는 감정을 연장시키고 있다. 이후 피아노 부분이 시작되면서 희생에 선택될지도 모르는 불특정 다수의 인물들이 화면에 나타나고, 이 부분은 끝맺음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V(반종지적)에의한 종료와 함께 찜찜한 감정적 메시지를 음악과 영상이 함께 던지고 있다.
E에올리아 모티브는 전쟁이 끝난 후 화학적 거세 치료를 받으며 괴로워하는 튜링을 조안이 위로해주는 장면에서 다시 사용된다. 이때 음악은 [그림 8]의 마디 1-8의 흐름은 괴로워하고 있는 튜링에게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말을 전하는 조안의 모습을 반주하고 있다. 특히 조안의 평범한 삶을 부러워하는 튜링의 태도에 조 안은 ‘당신이 평범하지 않았기에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라는 말로 위로를 건넨다. 그러나 그녀의 위로에도 튜링은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으며 반종지로 끝나는 이 음악은 그의 자살과 미묘한 연결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3. ‘크리스토퍼’ 모티브와 주제음악의 베이스 라인
‘크리스토퍼 모티브’는 주제음악에서 활용된 베이스선율[그림 9]에서 변형되어 작곡되었다. 데스플라는 음악을 통하여 이 베이스 선율과 ‘크리스토퍼 모티브’를 통하여 암호해독기기와 등장인물 크리스토퍼의 연결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 베이스 선율은 F에올리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림 9]의 마디1-9에 나타난 첫 번째 프레이즈에서 으뜸음 F가 36박 중 20박을 차지하고 있다. 더하여 이 첫 번째 프레이즈의 음정 변화는 으뜸음에서 순차진행, 그리고 단3도 상행도약과 완전4도 하행도약을 사용하여 비교적 익숙한 음정관계로 진행되었다. 즉, 이 첫 번째 프레이즈는 으뜸음의 빈번한 사용과 익숙한 음정흐름을 통하여 안정적이고 확고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모티브는 저음의 현악기에 의한 연주를 통하여 무거운 감정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그림 9]의 마디10에서 시작되는 두 번째 프레이즈는 플루트의 개입과 함께 7음을 길게 취하며 불안정성을 만들어내고, 순차진행 없이 도약으로만 흘러간 뒤 음도5(C) 로 끝나며 불안감을 생성한다[22].
그림 9. 주제음악의 베이스 선율
이 베이스 선율은 튜링이 조안을 찾아가 “암호해독기기에 크리스토퍼라는 이름을 붙였다”라는 대사와 함께 흘러나오는데, 이 대사는 [그림 9]의 선율이 암호해독기기의 유도동기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 베이스 선율이 암호해독기기의 유도동기임을 인지하고 앞의 장면을 되짚어보면, 튜링이 암호해독기기를 기획하는 장면에서도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튜링의 크리스토퍼에 대한 회상과 크리스토퍼를 지시하는 유도동기의 활용이 만나는 지점은 총 네 번의 장면을 통하여 영화에서 나타난다. 네 번의 모든 장면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선율의 흐름은 음도1에서 단3 도 상행 도약 후 순차 하행하며, 다시 음도1에서 단 3도 상행 도약 후 순차 상행으로 이어진다. 공통의 음정 관계는 통일성을 형성하지만 박자와 음색 그리고 음향적 효과를 통한 변화가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다른 의미를 형성하고 있다.
크리스토퍼 등장 선율[그림 10]은 튜링의 회상 속에서 크리스토퍼를 처음 언급함과 동시에 흘러나오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이 모티브가 회상 속 크리스토퍼의 유도동기임을 유추할 수 있다. 이 장면에서 단3도 상행도약 후 순차 하행하는 구간에서 크리스토퍼는 튜링을 구해주고 있는데, 도약 후 순차 반진행하는 선율이 생성하는 안정감과 장면이 효과적으로 조응하고 있다. 이후 단3도 도약 후 하행하지 않고 상행하는 선율은, 자신이 남들보다 똑똑해서 괴롭힘을 받는다고 말하며 사회적으로 어울리는데 한계를 드러내는 튜링의 오만한 성격과 연결되어 불편함을 형성하고 있다. 크리스토퍼는 튜링이 남들과 다르기 때문에 괴롭힘을 받는 것이라고 튜링에게 다시 이해시켜 준다. 이때 음악은 2마디의 쉼표로 정적이 흐르지만, 이내 크리스토퍼는 남들과 다른 사람은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해낼 수 있다고 위로한다. 이때 음악은 음도1(C)을 활용하여 확실한 종지를 만들어 안정감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안정감은 튜링이 크리스토퍼의 대사에서 확실하게 위로를 받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그림 10. 크리스토퍼 등장 선율
두 번째로 이 선율이 활용되는 곳은 튜링과 크리스토퍼가 나무 밑에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다. 이때 크리스토퍼는 튜링에게 암호학에 대한 소개를 하며 튜링이 매우 암호학에 소질이 있을 것 같다는 말을 던진다. 이때 배경음악의 특이점은 다른 장면과 달리 오보에의 대선율(對旋律)이 선명하게 개입한다는 것이다. 오보에의 음색은 다른 목관 악기들에 비하여 탄력 있지만 목관 특유의 부드러움을 유지하고 있다. 오보에의 음색은 미묘한 슬픔을 연출하는 효과를 자아낸다[23]. 또한 오보에 선율은 화성적으로 피아노 선율에 대하여 불쾌감을 연출하지 않지만, 박자의 흐름은 미묘한 엇박자를 만들어내며 긴장감 발생에 일조한다. 이렇게 생성된 긴장감은 결국 크리스토퍼의 죽음으로 인한 튜링의 절망감과 연결된다.
그림 11. 크리스토퍼와의 대화 선율
세 번째로 변형된 크리스토퍼 쪽지 모티브는 안정감으로 이루어진 [그림 12] (a)의 마디1-15와 불안정을 유발하는 마디17-19로 나뉜다. 마디1-15의 선율은 가장 먼저 등장했던 크리스토퍼 등장 선율[그림 10]과 흡사하지만 더 여유 있고 안정적인 템포를 유지한다. 그러나 F에올리아를 기반으로 한 이 선율은 ‘크리스토퍼 등장 모티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정으로 인하여 들뜬 분위기와 동시에 긴장감을 동시에 유발한다. 마디 17-19에 나타나는 B , C, E , B , F로 이어지는 도약의 연속은 비록 음도1(F)로 끝맺을 맺더라도 미묘한 불안감을 유발한다.
그림 12. (a) 크리스토퍼 쪽지 모티브 1
크리스토퍼가 이 장면에서 건넨 쪽지에는 ‘방학 후 만나자’라는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있었지만, 크리스토퍼는 방학기간 중에 죽음을 맞이하고 만다. [그림 12](a)의 마디1-15에서 형성되는 기대감과 긴장감은 영상에서 나타나는 방학 후 재회를 기대하는 튜링과 죽음으로 인하여 결국 돌아오지 못할 크리스토퍼에 대한 아픈 기억을 내재하고 있으며, 마디17-19는 다시 성인이 된 튜링을 비추며 그 기억에 대한 튜링의 내재적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그림 12](b)는 튜링과 교장 선생님과 의대 화장면에서 사용되었다. 교장선생님은 크리스토퍼가 휴가 중에 가족여행을 갔고, 오랜 지병인 결핵으로 인해 여행 중 사망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두 번째 쪽지 모티브[그림 12](b)의 특징은 마디14-22에 나타나는 음도4(B)와 음도5(C)의 반복으로 음도1로 향하지 못한 채 끝맺음을 맺는 것이다. 끝맺을 맺지 못한 음악은 튜링의 황당한 감정을 여과 없이 표현하고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된 음도4(B)와 음도5(C)는 슬픔과 놀람으로 인하여 경직된 튜링의 멈춰버린 듯한 감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림 12. (b) 크리스토퍼 쪽지 모티브 2
마지막으로 사용된 크리스토퍼 모티브의 변형[그림 13]은 4/4박자에서 5/4박자로 변형이 발생하며 변박자에 의한 불안정함을 유발[24]하고 있으며, 으뜸음 F 의 등장이 줄어들고 음도5(C)와 음도7(E)의 등장이 빈번하다. 또한 끝맺음 역시 음도5(C)로 이루어져 불안감을 해결하지 못 한 채 음악이 종결된다. 동성애가 발각된 후 화학적 거세치료를 받는 조건으로 석방 되어있는 튜링은 이 치료를 계속하지 않으면 자신이 만들어낸 암호해독기기 ‘크리스토퍼’를 영영 볼 수 없다는 절망감에 울음을 터뜨리며 조안에게 하소연한다. 일정하지 않은 박자와 음도5와 음도7의 높은 비중은 불안정한 튜링의 정신 상태를 반영한다. 또한 이때 사용된 피아노의 잔잔한 음색과 약한 음량은 튜링의 꺼져가는 생명력을 암시하고 있다.
그림 13. 크리스토퍼 작별 모티브
4. 비밀 모티브
데스플라의 비밀 모티브는 긍정과 부정 감정의 혼합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단조 화성을 보기 드물게 장조 화성으로 해결하는 진행에서 비롯되고 있다. D 을 근음으로 하는 단3화음과 F를 근음으로 하는 장3화음의 진행이 두 번 반복되며 반복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큰 틀을 갖고 있지만, B 이 보조음으로 활용되어 불협화음을 형성하며 안정적인 분위기를 미세하게 탈피하고 있다. 또한 화성의 진행이 8분 음표에 반복이 점점 커지는 음량과 연합하며 긴장감 형성에 일조하고 있다.
그림 14. 비밀 모티브
이 음악은 암호해독팀의 군사적 책임을 맡고 있는 ‘데니스턴’ 대령이 ‘에니그마’를 소개하는 장면에서 처음 사용된다. ‘데니스턴’ 대령은 에니그마의 지독한 암호화 과정에 답답함을 토로하며 이야기하고 있지만, 튜링은 ‘에니그마’라는 기계 자체에 대하여 묘한 매력을 느끼며 “멋지다”(Beautiful)라는 표현하며 감탄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감정은 단조와 장조를 빈번하게 오가며 분위기를 보조하는 배경음악과 효과적인 연합을 이루며 독자들의 감상을 이끈다.
비밀 모티브가 두 번째로 사용된 장면 역시 변화가 심한 이 음악과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전하고 있는 장면이다. 영국은 독일의 에니그마를 해독하는데 성공했지만 정보가 새 나가고 있다는 것을 독일군에게 들키지 않기 위하여 희생을 당할 곳을 계산하며 정보를 활용한다. 튜링의 독백으로 이루어진 이 장면은 전쟁의 승리가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희생을 강요하게 되는 슬픈 선택에 대한 죄책감을 함께 표현하고 있으며, 이 양면성은 음악의 양면성과 다시 조화를 이룬다.
세 번째로 이 비밀 모티브는 이중첩자 ‘케인크로스’의 존재에 대한 정보기관의 이중성과 튜링이 숨기고 있는 동성애를 표현하고 있다. 암호 해독팀의 총책임을 맡고있는 MI6의 요원 ‘멘지스’는 ‘케인크로스’가 소련의 첩자임을 알면서도 그를 일부러 팀에 합류시켜 원하는 정보를 소련으로 흘려보내고 있음을 튜링에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튜링이 동성애자임을 숨기고 있다는 것도 함께 설명하며, 그에게 스파이 노릇을 하며 이 중첩 자를 감시하도록 협박한다. 이처럼 비밀 모티브는 다양한 형태로 내재되있는 이중성 그리고 비밀들과 연합하고 있다. 특히 화성들의 진행이 장조와 단조, 그리고 크레센도와 디크레센도를 반복하며 형성하는 음악적 긴장감은 장면이 담고 있는 긴박한 상황들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IV. 결론
본 연구는 <이미테이션 게임>에서 청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음악과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의 의미가 연합하여 강화된 메시지가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쿡의 음악 매체간의 유사성 연구와 즈비코프스키의 개념적 혼성 이론 적용 연구를 선행 연구로 삼아 각기 다른 두 가지 매체의 조응을 살펴보았다.
<이미테이션 게임>의 작곡가 데스플라는 뮤직 타임즈와의 독점 인터뷰를 통하여 튜링이라는 인물에 대한 자신의 소견을 밝힌 바 있다. 데스플라는 “이 영화는 전쟁이라는 커다란 사건이 있지만, 그보다 알란 튜링이라는 한 사람의 이야기다. 그는 매우 어렵고 고독한 사람이다. 여기서 음악은 하나의 연결고리로써 그런 그의 고독함을 관객들에게 선사한다.”라고 말하고 있다[25]. 이처럼 그는 튜링의 이미지를 음악에 투영하고 있음을 그의 인터뷰를 통하여 알리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데스플라의 <이미테이션 게임> 음악에는 다음과 같은 청각적·시각적 정보의 조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영화에서 음악은 선법의 특이성과 주인공의 독특한 성격을 결합하였으며, 화성구문론에 의하여 발생되는 메시지와 영화의 줄거리를 연합하였다. 또한 박자와 음색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감정적 의미를 통하여 등장인물들의 복합적인 감정이나 장면의 다양한 분위기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에서는 음악과 영상의 정보의 유사성과 그 연합을 통하여 의미가 강화되고 있음을 분석 및 확인을 하였다.
References
- M. Chion, Audio-vision: Sound on Screen, Columbia University Press, p.81, 1994.
- P. Tagg, Music's meanings. A modern musicology for non-musos, Mass Media's Scholar's Press. pp.271-298, 2013.
- K. Kalinak, Film Music: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62-64, 2010.
- 박병규, "영화음악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이화음악논집, 제21권, 제4호, p.131, 2017.
- P. Tagg, Music's meanings. A modern musicology for non-musos, Mass Media's Scholar's Press, pp.155-194, 2013.
- https://www.imdb.com/title/tt2084970/, 2021.05.07.
- N. Cook, "Theorizing musical meaning," Music theory spectrum, Vol.23, No.2, p.181, 2001. https://doi.org/10.1525/mts.2001.23.2.170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257, 2002.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258, 2002.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251, 2002.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252, 2002.
- G. Fauconnier and M. Turner, "Conceptual blending, form and meaning," Recherches en communication, No.19, pp.57-59, 2003.
- G. Fauconnier and M. Turner, "Conceptual blending, form and meaning," Recherches en communication, No.19, p.59, 2003.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259, 2002.
- G. Fauconnier and M. Turner,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s," Cognitive science, Vol. 22, No.2, pp.133-187, 1998. https://doi.org/10.1016/S0364-0213(99)80038-X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p.263-264, 2002.
- Lawrence Zbikowski, "Music theory, multimedia,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tegral, Vol.16, No.17, p.265, 2002.
- https://www.btlnews.com/composers/93rd-oscars-original-score/, 2021.05.07.
- M. Spitzer, "Mapping the human heart: a holistic analysis of fear in Schubert," Music Analysis, Vol.29, No.1-3, pp.149-213, 2010. https://doi.org/10.1111/j.1468-2249.2011.00329.x
- I. Straehley and J. Loebach, "The influence of mode and musical experience on the attribution of emotions to melodic sequences," Psychomusicology: Music, Mind, and Brain, Vol.24, No.1, pp.21-34, 2014. https://doi.org/10.1037/pmu0000032
- M. Costa, R. Bitti, P. Enrico, and L. Bonfiglioli, "Psychological connotations of harmonic musical intervals," Psychology of Music, Vol.28, No.1, pp.4-22, 2000. https://doi.org/10.1177/0305735600281002
- B. Willimek and D. Willimek, Translated by L. Russell, Music and Emotions-Research on the Theory of Musical Equilibration (die Strebetendenz-Theorie), Bernd Willimek Press, pp.10-11, 2013.
- X. Liu, Y. Xu, K. Alter, and J. Tuomainen, "Emotional connotations of musical instrument timbre in comparison with emotional speech prosody: Evidence from acoustics and event-related potentials," Frontiers in psychology, 2018.
- A. Fernandez-Sotos, A. Fernandez-Caballero, and J. Latorre, "Influence of tempo and rhythmic unit in musical emotion regulation," Frontiers in computational neuroscience, 2016.
- https://www.musictimes.com/articles/17789/20141128/exclusive-interview-imitation-game-composer-alexandre-desplat-talks-scoring-new.htm, 2021.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