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ubject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nd Social Science College Students

교과 만족도 및 관계 만족도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공계열 대학생과 인문 사회계열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9.06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e stress on finding a job is also increasing in a situation where the difficulty in finding a job is aggravat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study, the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as subdivided into subject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nd job-seeking stres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ajors according to their current major, that is, whether they majored in a science, engineering major or a social science major. The population for the study was th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the 4th grade, and the research sample was obtained from students of H and 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220 people were analyzed, 110 people from science and engineering and 110 from social sciences. For analysis, SPSS 24.0 and Process Macro 5.0 were us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ject satisfac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job-seeking stress. Seco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seeking stres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ce, engineering student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in the effect of subject satisfaction on job-seking stress. Fourth, in the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job-seeking stres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ce, engineering student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Therefor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you are majoring in, the lower the job-seeking stress, and the extent of this decrease is social science students were larger than science, engineer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as mad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 역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를 교과 만족도와 관계 만족도로 세분화해서 이것과 취업 스트레스 간의 영향 관계를 밝혀보고자 했다. 아울러 현재 전공이 무엇이냐 즉 이공계열 학과 전공인지 인문 사회계열 학과 전공인지에 따라 이들의 영향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현재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연구 샘플은 수도권의 H대학과 N대학 학생들로부터 취득하였다. 이공계열 110명, 인문 사회계열 110명씩 총 220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을 위해 SPSS 24.0과 Process Macro 5.0을 이용하였다. 실증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만족도는 취업 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 만족도 역시 취업 스트레스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과 만족도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공계열 학생과 인문 사회계열 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관계 만족도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역시 이공계열 학생과 인문 사회계열 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인이 전공하고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이 감소의 폭은 이공계열 학생들보다 인문 사회계열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지만 유의한 연구 결과로 사료 된다. 이러한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인 시사점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Derry, S. and D. C. Brandenburg(1978), "Students' Ratings of Academic Programs : A Study of Structural and Discriminant Valid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5), 772-778. https://doi.org/10.1037/0022-0663.70.5.772
  2. Hayes, A. H.(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New York.
  3. Lazarus and Folkman(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 York.
  4. 김계현,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 학부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지 , 1(1), 7-20.
  5. 김경남, 강은희 (2020),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3), 80-88. https://doi.org/10.5762/KAIS.2020.21.3.80
  6. 김영선, 이현주(2019),"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및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Asia-pa- 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6), 411-420.
  7. 김지영, 한채정(2019), "피부미용전공 대학생 및 졸업생의 전공만족도가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및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5(1), 35-41.
  8. 김희정,서민숙,박다현(2021), "대학생의 진로 성숙도, 전공 만족도, 자기 통제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용합학회논문지, 12(6), 83-90.
  9. 이연숙(2019),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영향관계," 관광연구, 34(4), 167-184.
  10. 정백, 안선희, 오윤자(2021),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 : 가족지지 및 친구, 선배 지지의 조절 효과," 취업진로연구, 11(1), 159-181. https://doi.org/10.35273/JEC.2021.11.1.007
  11. 정병규(2020),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IPP형 장기현장실습 경험 유무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3(1), 87-99. https://doi.org/10.22788/3.1.5
  12. 조철호(2017),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 통계분석, 도서출판청람, 서울
  13. 조선일보, 2021. 09. 06.
  14. 한의진, 황보명(2019),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관광계열과 보건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4(5), 203-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