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the Utiliz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in Woman Farmers - Mediating Effect on Information Service Acceptability -

여성농업인의 테크노 스트레스가 인터넷 정보활용에 미치는 영향 - 정보서비스 수용성에 대한 매개 효과 -

  • Kim, Hyun You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oi, Jung Shi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oi, Yoon J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Jeong, Jin Y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현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정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정진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21.02.14
  • Accepted : 2021.03.23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ation effect between technostress and utiliz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and meditation effect of information service acceptability between technostress and Internet information utiliz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03 woman farmers aged 20 to 65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performed a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of Bron, & Kenny (1986),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The importance of accepting information services has been identified in the Sobel t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edium effect on information service acceptability, information service acceptability has a partial medium effect on the technological stress of woman farmers and the level of Internet information utilization. In order to lower the technology of woman farm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new percep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crease acceptability of information service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PJ015117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강민구. (2008). 농촌정보화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농업자원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 강혜정, & 마상진. (2007). 여성농업인의 역할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강혜정. (2013). 여성농업인의 노동경영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여성경제연구, 9(2), 43-62.
  4. 강혜정, 김윤형, & 박서윤. (2019). 여성농업인 육성정책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를 중심으로. 농림축산식품부.
  5. 권문주, & 박상철. (2010). 국내 SW 전문 인력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 만족도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 IT서비스학회지, 9(1), 73-90.
  6. 고석남. (2006). 국내 SW 전문 인력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도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9(1), 73-90.
  7. 김경준. (2017). 테크노스트레스: 스트레스 이론의 적용과 연구의 확장.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경준, & 이기동. (2013).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행복 e음) 이용자의 정보시스템 수용과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4(2), 155-176.
  9. 김근아, & 김상현. (2015). 조직 내 테크노스트레스와 지속적 몰입의 관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1), 153-166. https://doi.org/10.7838/jsebs.2015.20.1.153
  10. 김대건. (2020). 테크노스트레스의 유발요인과 완화요인 및 테크노스트레스와 반생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덕현, 황인택, & 이승현. (2015). 농업인의 혁신기술 수용 및 저항 요인과 농식품 ICT 융복합사업 확산의도와의 관계. 농촌지도와 개발, 22(1), 43-54. http://dx.doi.org/10.12653/jecd.2015.22.1.0043
  12. 김사균. (2018). 농업인 교육만족과 교육성과 간의 영향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5(2), 85-97. http://dx.doi.org/10.12653/jecd.2018.25.2.0085
  13. 김상진. (2017). 테크노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중.장년층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수경, 신혜리, & 김영선. (2020).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 예측요인 분석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7(1), 55-71. http://dx.doi.org/10.22693/NIAIP.2020.27.1.055
  15. 김수욱, & 남민우. (2002). 지식기반사회의 지식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성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1), 117-136.
  16. 김용영, 오상조, 안중호, & 장정주. (2008). 정보기술 수용 후 주관적 지각 형성: 사용 경험에서 형성된 습관, 기대일치, 자기효능감의 역할. 경영정보학연구 18(1), 25-52.
  17. 김정은, & 여정성. (2007). 디지털 제품관련 소비자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19-135.
  18. 김진모. (2006).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3-63.
  19. 김학래. (2012). 소비자의 혁신성향과 제품지식 수준에 따른 테크노스트레스와 적응전략.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노희옥, 김용호, & 홍승준. (2015). 정보통신기술 사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4), 41-46. https://doi.org/10.15207/JKCS.2015.6.4.041
  21. 마상진, & 김영생. (2006). 농업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26.
  22. 박나래, 최현석, & 이중정. (2011). 스마트 폰 사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9(2), 179-186.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129
  23. 박성열, 최승철, 차승봉, 김학섭, & 임종훈. (2009). 농업인 ICT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정보화 교육 개선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36(4), 1045-1064.
  24. 박종구. (2011).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NM(Inte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 한국언론학보, 55-448.
  25. 박지연, 서대석, & 이정민. (2020).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밀농업체계 구축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6. 박진. (2015). 농업법인과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 비교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0(5), 892-902. http://dx.doi.org/10.7840/kics.2015.40.5.892
  27. 박흔동, 박주원, 문정훈, & 최영찬. (2009). 정부의 업무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미치는 사용자 개인특성 및 조직문화관행에 관한 조절효과. 한국경영정보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89-394.
  28. 서이종. (2000). 디지털 정보격차의 구조화와 사회문제화. 한국정보사회학회지, 2, 68-87.
  29. 신우찬. (2019).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혁신특성, 테크노스트레스가 혁신저항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공부문 도입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30. 심미옥, & 김화님. (2001). 여성농업인 정보화 시범사업 효과 평가. 한국농촌지도학회지, 8(1), 107-119.
  31. 엄진영, 최용호, & 박지연. (2018).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2. 유병규. (2003). 디지털 농업을 위한 농촌정보화사업의 단계별 적용. 산업경제연구, 16(4), 131-149.
  33. 유병민, 김정주, 최영창, 박혜진, & 김선희. (2010).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7(1), 45-74.
  34. 유병민, 김수욱, 박성열, 박혜진, & 이은진. (2009). 농업정보화를 위한 농업인 ICT리터러시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4), 93-119. http://doi.org/10.23840/agehrd.2009.41.4.93
  35. 유준상. (2007). 여성농업인의 요구분석을 통한 전문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79-114.
  36. 유준상, & 김정태. (2003). 농업정보화를 위한 농업정보 119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5(3) 39-51.
  37. 유찬주. (2003). 우리나라 농업농촌정보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농촌사회학회, 13(1), 115-141.
  38. 유찬주, & 이영만. (2008). 농업 정보화에 대한 농업인의 수용 태도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2(3), 43-52.
  39. 윤준상. (2007). 여성농업인의 요구분석을 통한 전문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79-114. http://doi.org/10.23840/agehrd.2007.39.2.79
  40. 윤준상, & 김정태. (2003). 농업 정보화를 위한 농업정보 119 사업의 활성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3), 39-51.
  41. 윤희정, 신혜리, & 김영선. (2020).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정보화정책, 27(4), 85-100. http://doi.org/10.22693/NIAIP.2020.27.4.085
  42. 이동필. (1997). 농촌지역의 정보화 실태와 발전방향. 농촌진흥청.
  43. 이봉하. (2007). 여성농업인 정보화 종합 컨설팅. 공주영상대학.
  44. 이신남. (2012). 개인 특성이 AIS보안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9(1), 45-64.
  45. 이태민, & 전종근. (2004).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상황기반 제공성이 모바일 상거리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3(4), 1043-1071.
  46. 이향수, & 이성훈. (2018). 농어민 정보격차와 소득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16(1), 13-20. https://doi.org/10.7840/kics.2015.40.5.892
  47. 이호철, 최수영, & 박재홍. (2002).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교육방안. 농촌사회학회, 12(1), 37-62.
  48. 임명성, & 박민수. (2015). 융복합 시대에서 테크노 스트레스의 개인별 차이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3), 137-153. http://dx.doi.org/10.14400/JDC.2015.13.3.137
  49. 정구현, 최영찬, 박흔동, & 장익훈. (2010). 농업인의 혁신기술 수용 및 지속적 사용 변수간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3), 109-137. http://doi.org/10.23840/agehrd.2010.42.3.109
  50. 정선호, &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방법.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5(1), 257-282.
  51. 진수향. (2012). 테크노스트레스와 안티스마트가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진정원, & 권순동. (2021). 기업용 SNS의 테크노 스트레스와 대인 스트레스가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8(1), 1-29.
  53. 최영찬. (1999). 정보화시대 농촌지도자의 경영전략. 한국농촌지도학회, 6(2), 39-51.
  54. 최훈, & 최유정. (2016). 모바일 결제시스템에서 지각된 위험이 사용자의 신뢰 및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통신학회, 20(6), 1096-1102.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6.1096
  55. 통계청. (2020). 2019년 농림어업조사 보고서.
  56. 이동필, 이장호, 김종선, & 한근수. (2001). 농촌지역의 정보화 실태와 정보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7. 엄진영, 최용호, & 박지연. (2019).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60.
  58. 정숙경. (2001). 여성정보화 실태조사 및 지표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연계] 여성가족부 발간자료, 0-0.
  59. 김석환. (2019).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60. 신광우. (2009). 2009 국민정보화교육 수혜자 만족도 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6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2018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6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2019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63. 허은주, & 정면숙. (2019). 테크노스트레스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고찰. 인문사회 21, 10(2), 587-602.
  64. Ahmad, U. N. U., Amin, S. M., & Ismail, W. K. W. (2014). Moderating effect of technostress inhibi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crea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ains Humanika, 67(1), 51-62. https://doi.org/10.11113/sh.v67n1.122
  65. Ayyagari, R. (2012, March). Impact of information overload and task-technology fit on technostress. In Proceedings of the Southern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pp. 18-22). SAIS 2012 Proceedings. 4.
  6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7. Brod, C. (1984). Technostress: The human cost of the computer revolution. Reading, MA: Addison-Wesley.
  68. Briggs, A., & Burke, P. (2009). A social history of the media: From Gutenberg to the Internet. Polity.
  69. Compeau, D. R., & Higgins, C. A. (1995). Computer self-efficacy: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initial test. MIS Quarterly, 189-221. https://doi.org/10.2307/249688
  70.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71. Figueiredo, J. R. (1994). An evaluation of people's attitudes toword technostress and techniques on how to overcome it. Retrieved February, 16, 2000.
  72. Hudiburg, R. A. (1989). Psychology of computer use: VII. measuring technostress: Computer-related stress. Psychological Reports, 64(3), 767-772. https://doi.org/10.2466/pr0.1989.64.3.767
  73. Hudiburg, R. A., & Necessary, J. R. (1996). Coping with computer-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5(2), 113-124. https://doi.org/10.2190/HB85-U4FF-34N3-H6EK
  74. Korunka, C., Hoonakker, P., & Carayon, P. (2008). Quality of working life and turnover inten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work.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oring, 18(4), 409-423. https://doi.org/10.1002/hfm.20099
  75. Perez, M. (1999). Technostress: How to survive this digital affliction. PC World Philippines www.pcworld.com.ph, Closed Website
  76. Tarafdar, M., Tu, Q., Ragu-Nathan, T. S., & Ragu-Nathan, B. S. (2011). Crossing to the dark side: examining creators, outcomes, and inhibitors of technostress. Communications of the ACM, 54(9), 113-120. https://doi.org/10.1145/1995376.1995403
  77. Tarafdar, M., Tu, Q., Ragu-Nathan, B. S., & Ragu-Nathan, T. S. (2007).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role stress and productivit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4(1), 301-328. https://doi.org/10.2753/MIS0742-1222240109
  78. Tarafdar, M., Ragu-Nathan, B. S., Ragu-Nathan, T. S., & Tu, Q. (2005). Exploring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productivity.
  79. Ramirez, R. (2001). A model for rural and remo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Canadian exploration, Telecommunications Policy, 25(5), 315-330. https://doi.org/10.1016/S0308-5961(01)00007-6
  80. Ray, C., & Talbot, H. (1999). Rural telematics: The information society and rural development. Virtual Geographies: Bodies, space and relation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49-163.
  81. Richardson, R., & Gillespie, A. (1996). Advance communications and employment creation in rural and peripheral regions: a case study of the Highlands and Islands of Scotland.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30(1), 91-110. https://doi.org/10.1007/BF01580539
  82. Rogers, M. J. (2003). New insights into the molecular mechanism of action of bisphosphonales.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9(32), 2643-2658. https://doi.org/10.2174/1381612033453640
  83. Weil, M, M., & Rosen, L. D. (1997). Technostress: Coping with technology @work@home @play. New York: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