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3A2A02095619).
References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2019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연구보고서 NIAVIII-RSE-C-19067).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s://www.iapc.or.kr/mediaView.do?idx=28&article_id=ICCART_0000000113015&type=A1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연구보고서 NIAVIII-RSE-A-20017).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s://www.iapc.or.kr/mediaView.do?idx=28&article_id=ICCART_0000000113023&type=A1에서 2021년 5월 19일 인출
- 구현영, 김은정 (2015). 학령 초기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와 영향 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1), 55-63. doi:10.4094/chnr.2015.21.1.55
- 김기태, 이현주, 문신일 (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네트워크 크기, 이용행태, 또래친구와의 관계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4), 5-40.
-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김효진, 오미애, 정은희 등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정책보고서 2013-92).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publish/report/view?type=all&seq=28724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김보미, 장경은, 오현미 (2019).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조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57-73. doi:10.14698/jkcce.2019.15.01.057
- 김윤화 (2018). 어린이와 청소년의 휴대폰 보유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Report, 18(20), 1-7.
- 김종민, 최은아 (2019).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8(4), 197-225. doi:10.21183/kjcm.2019.12.18.4.197
- 김지현, 신혜영 (2013).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 내 인터넷,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이용 실태. 사이버교육연구, 7(2), 97-117
- 노언경 (2019).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 분류와 예측 및 긍정적.부정적 결과 차이 검증. 교육문제연구, 32(3), 261-287.
- 민미희 (2015).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73-89. doi:10.14698/jkcce.2015.11.073
- 박현지, 이강원, 진승후 (2020). 코로나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Post-Digital) (연구보고서 NRF-20141223-1-20). 서울: 한국연구재단. https://www.nrf.re.kr/cms/board/library/view?menu_no=419&nts_no=141735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백혜원, 신윤미, 신경민 (2014).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정서 및 행동의 문제. 신경정신의학, 53(5), 320-326. doi:10.4306/jknpa.2014.53.5.320
- 신지형, 김윤화, 오윤석 (2020). 2020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정책자료 20-15-02).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s://www.kisdi.re.kr/report/view.do?key=m2101113024973에서 2021년 4월 12일 인출
- 양일영, 이수영 (2011).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1), 109-139.
- 엄명용, 김태웅 (2010). 디지털 콘텐츠 몰입경험: 온라인게임 사례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209-216. https://doi.org/10.5392/JKCA.2010.10.8.209
- 오소정, 김윤경, 박주희 (2020). 아동의 스마트 기기 사용패턴에 따른 잠재집단 프로파일 분석 사용패턴 잠재집단 유형에 따른 스마트 기기 중독. 아동학회지, 41(1), 47-60. doi:10.5723/kjcs.2020.41.1.47
- 오윤석 (2017). 미디어 동시 이용행태 분석: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KISDI STAT Report, 17(8), 1-5.
- 이귀옥 (2020).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 사용시간 궤적과 학교적응 궤적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2(1), 105-124. doi:10.36431/JPE.12.1.6
- 이성대, 염동문 (2012).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9(4), 163-181.
- 이수정 (201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6), 1-8. doi:10.32431/kace.2014.17.6.001
- 이재희, 김근진, 엄지원 (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연구보고서 2017-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1&manage_idx=30&board_idx=28266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이창호, 김경희, 장상아 (201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 연구(연구보고서 13-R08).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www.nypi.re.kr/brdartcl/boardarticleView.do?brd_id=BDIDX_O3aFj6GGWW6WZ3z20i95P2&cont_idx=199&menu_nix=8V15Pij5&edomweivgp=R에서 2021년 5월 19일 인출
- 이창호, 김기헌 (2017). 인터넷사회의 부모와 자녀관계에 관한 한. 중. 일 비교: 한국사례 분석(과제번호. 17-R23).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www.nypi.re.kr/brdrr/boardrrView.do?menu_nix=4o9771b7&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tab=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이호영, 최항섭, 오주현 (2011).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이용자 정책(연구보고서 11-07). 경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 8fe3e5ce30d04e50ffe0bdc3ef48d419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임양미 (2014).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 속성이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 및 활용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2), 163-17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163
- 전은옥, 최나야 (2017).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한국보육학회지, 17(1), 75-98. doi:10.21213/kjcec.2017.17.1.75
- 최정원, 전현희, 오현정, 홍세희 (2020).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화 및 스마트폰 의존도와의 관계 분석- 연락 및 sns 사용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5), 331-354. doi:10.21509/KJYS.2020.05.27.5.331
- 한효정, 장영은 (2020). 가족여가 및 가족의례가 아동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시간과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5(2), 141-161. doi:10.13049/kfwa.2020.25.2
-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 현주, 이재분, 이혜영 (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연구보고서 RR-2003-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riss.kr/index.do에서 2021년 1월 23일 인출
- 홍세희 (2019). 잠재계층, 잠재전이, 성장혼합모형. 서울: 박영사.
- Asparouhov, T., & Muthen, B. (2014).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 approaches using M pl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1(3), 329-341. doi:10.1080/10705511.2014.915181
- Barron, B., Martin, C. K., Takeuchi, L., & Fithian, R. (2009). Parents as learning partners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flu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and Media, 1(2), 55-77. doi:10.1162/IJLM.2009.0021
- Bian, M., & Leung, L. (2015). Linking loneliness, shynes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and patterns of smartphone use to social capital.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3(1), 61-79. doi:10.1177/0894439314528779
- Clark, S. L., & Muthen, B. (2009). Relating latent class analysis results to variable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statmodel.com/download/relatinglca.pdf
- Coleman, J. (2008, March). Theories of youth development: Controversies of age and stage. Paper presented at ESRC seminar, Oxford, UK.
- Connell, S. L., Lauricella, A. R., & Wartella, E. (2015). Parental co-use of media technology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the USA.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9(1), 5-21, doi:10.1080/17482798.2015.997440
- Genteile, D. (2009). Pathological video-game use among youth age 8 to 18: A national study. Psychological Science, 20(5), 594-602. doi:10.1111/j.1467-9280.2009.02340.x
- Gentile, D. A., Coyne, S., & Walsh, D. A. (2011). Media violence, physical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school age children: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Aggressive Behavior, 37(2), 193-206. doi:10.1002/ab.20380
- Heim, J., Brandtzieg, P. B., Kaare, B. H., Endestad, T., & Torgersen, L. (2007). Children's usage of media technologies and psychosocial factors. New Media & Society, 9(3), 425-454. doi:10.1177/1461444807076971
- Hill, K. G., White, H. R., Chung, I.-J., Hawkins, J. D., & Catalano, R. F. (2000). Early adult outcomes of adolescent binge drinking: Person- 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of binge drinking trajectori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4(6), 892-901. doi:10.1111/j.1530-0277.2000.tb02071.x
- Kostyrka-Allchorne, K., Cooper, N. R., & Simpson, A. (2017). Touchscreen generation: Children's current media use, parental supervision methods and attitudes towards contemporary media. Acta Paediatrica, 106(4), 654-662. doi:10.1111/apa.13707
- Laursen, B., & Hoff, E. (2006).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pproaches to longitudinal data. Merrill-Palmer Quarterly, 52(3), 377-389. doi:10.1353/mpq.2006.0029
- Lin, C. H., Lin, S. H., & Wu, C. P. (2009).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leisure boredom on adolescents'internet addiction. Adolescence, 44(176), 993-1004.
- Livingstone, S., & Helsper, E. (2007). Gradations in digital inclusion: Children, young people and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9(4), 671-696. doi:10.1177/1461444807080335
- Muthen, B. O. (2004). Latent variable analysis: Growth mixture modeling and related techniques for longitudinal data. In D. Kaplan (Ed.),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s (pp. 345-368). Thousand Oaks, CA: Sage.
- Nathanson, A, I. (2015). Media and the family: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9(1), 133-139. doi:10.1080/17482798.2015.997145
- Nooner, K. B., Litrownik, A. J., Thompson, R., Margolis, B., English, D. J., Knigh, E. D., et al. (2010). Youth self-report of physical and sexual abuse: A latent class analysis. Child Abuse & Neglect, 34(3), 146-154. doi:10.1016/j.chiabu.2008.10.007
- Nylund, K. L., Asparouhov, T., & Muthen, B., O.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4), 535-569. doi:10.1080/10705510701575396
- Pastor, D. A., Barron, K. E., Miller, B. J., & Davis, S. L. (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1), 8-47. doi:10.1016/j.cedpsych.2006.10.003
- Sanders, W., Parent, J., Forehand, R., Sullivan, A. D., & Jones, D. J. (2016). Parental perceptions of technology and technology focused parenting: Associations with youth screen tim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4, 28-38. doi:10.1016/j.appdev.2016.02.005
- Simpkins, S. D., Davis-Kean, P. E., & Eccles, J. S. (2005). Parents' socializing behavior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math, science, and computer out-of-school activitie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9(1), 14-30. doi:10.1207/s1532480xads0901_3
- Suk, Y., Cho, Y. H., & Jeong, D. H. (2017). Profil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device usage.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8(1), 27-47.
- Vaala, S. E., & Bleakley, A. (2015). Monitoring, mediating, and modeling: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 computer and internet use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9(1), 40-57. doi:10.1080/17482798.2015.997103
- Vermunt, J. K. (2010). Latent class modeling with covariates: Two improved three-step approaches. Political Analysis, 18(4), 450-469. doi:10.1093/pan/mpq025
- Xu, Z., Turel, O., & Yuan, Y. (2012). Online gam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Motivation and prevention factor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1(3), 321-340. doi:10.1057/ejis.20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