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ntongqi and Its Relation to the System of Taegeuk (Taeil),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참동계』와 태극(태일)-음양-오행 체계

  • Lee, Bong-ho (College of Liberal Arts, Kyonggi University)
  • Received : 2021.01.31
  • Accepted : 2021.04.05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Until recently, academic consensus held that Zhou Dunyi's Taijitu (Taiji Diagram) originated from Cantongqi. However, a new debate has arisen wherein some scholars question that theory and related theories. They criticize these previous theories because the books and charts used as evidence in those theories were published after the lifetime of Zhou Dunyi, and this disqualifies their influence on his thought. However, identifying certain authors as being of a slightly later period than Zhou Dunyi does not definitively answer whether or not Zhou Dunyi's diagram was based on Cantongqi. I approached this problem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Zhou Dunyi's Taijitu is based on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Consequently, the formation of this system should be traced back historically. In the process of tracing it back, I intended to explain that the main character of Cantongqi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was first established as a religious theological system in the Han Dynasty. In this process,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were combined by Dong Zhongshu, and the five movements were introduced by Han Dynasty scholars as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I-ching. However, Han Dynasty scholars did not form this system. In the late Han Dynasty, Cantongqi adopted the theological system of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to theoretically form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Cantongqi was able to form this system because of the logic that yin-yang is the essence of the I-ching. Cantongqi does not have the same schematic as Taijitu. However, the system of taiji (Taiyi), yin-yang, and the five movements appears and extracts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aijitu. Therefore, I do not think we should hastily agree with the recent claims made by scholars.

지금까지는 주돈이의 <태극도>가 『주역참동계』에서 연원한다는 학설이 정설처럼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몇 학자들은 기존의 학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새로운 논쟁이 일었다. 이들은 <태극도>의 『주역참동계』 연원설에서 청대 학자들이 근거로 사용한 책들과 도상이 주돈이 이후의 것이거나, <태극도>에 기초해서 후대에 그려진 것임을 주장한다. 반면에 최근 학자들의 주장에서 <태극도>의 『주역참동계』 연원설을 최초로 제기한 남송 시대의 주진(朱震)과 양갑(楊甲)의 학설은 해명하지 못하였다. 이들 남송 시대 학자들은 주돈이와 주희 사이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이다. 이러한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 보았다. 주돈이의 <태극도>는 태극-음양-오행의 체계를 골자로 한다. 따라서 이 체계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주역참동계』가 직접 연관이 있음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태극-음양-오행의 체계 형성 과정은 한대의 종교적 사상적 영향에 의한 것이다. 한무제의 태일신(太一神) 신학체계에서 태일-음양-오행의 체계가 신학적으로 정립된다. 동중서에 의해 유학의 육예(六藝) 해석에 음양오행이 도입되며, 이는 한대 역학자들이 『주역』 해석에 오행을 개입하게 하는 사상적 흐름을 형성한다. 그러나 한대 역학자들은 음양재 이설을 중심으로 하였기에 태일-음양-오행의 체계를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동한시기에 쓰여진 『주역참동계』는 한 대 역학자들이 『주역』을 해석한 다양한 『역위(易緯)』 이론과 연단 이론을 결합하면서, 태일-음양-오행의 체계를 사상적으로 형성한다. 이때 『주역참동계』는 '감리위역설(坎離爲易說)'을 중심으로 한 역학 이론을 적용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주역참동계』와 그 주석들에는 <태극도>와 같은 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감리위역설'을 중심으로 한 태일-음양-오행의 체계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태극도>를 구성하는 도상의 부분들을 그려낼 수 있는 내용은 존재한다. 이 체계에서 '태극'이 아니라 '태일'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태일'을 '태극'으로 해석할 사상적 이론은 등장하고 있었다. 한대 역학자들은 역에 원기(元氣) 개념을 적용하였고, 공영달에 의해 태극이 '원기'이자 '태일(太一)'이라고 정의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주역참동계』가 <태극도>와 같은 도상을 담고 있지 않아도 태일(태극)-음양-오행의 체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태극도> 도상의 부분들을 그림으로 그려낼 수 있음을 해명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史記」
  2. 「呂氏春秋」
  3. 「周易」
  4. 「莊子」
  5. 「易緯乾鑿度」
  6. 「周易參同契」
  7. 「周易正義」
  8. 「道藏」 18卷
  9. 「說文解字」
  10. 「太極圖說」
  11. 「通書」
  12. 「性理大全」
  13. 김병환, 「태극도연원연구」, 「동양철학」 7, 1996.
  14.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서울: 예문서원, 2007.
  15.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서울: 예문서원, 2007.
  16. 류승국, 「동양철학연구」, 서울: 동방학술연구원, 1988.
  17. 서대원 「「참동계「와 태극도」, 「동양철학연구」 47, 2006.
  18. 양계초.풍우란, 「음양오행설의 연구」, 김홍경 편역, 서울: 신지서원, 1993.
  19. 이대승, 「팽효의 「분장통진의」 연구(1)」, 「도교문화연구「 43, 2015. http://uci.or.kr/G704-001241.2015..43.007
  20. 이대승, 「송대 도서학과 주자 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2019.
  21. 이봉호, 「정조의 스승, 서명응의 철학𰃜, 고양: 동과서출판사. 2013.
  22. 이봉호, 「갈홍은 「포박자「에서 왜 「참동계」의 연단법을 소개하지 않았나? - 「참동계「의 연단법과의 비교」, 「동양철학연구」 78, 2014. https://doi.org/10.17299/tsep..78.201405.179
  23. 정우진, 「전통의 관점에서 고찰한 포박자 갈홍의 연단술」, 「도교문화연구」 39, 2013. http://uci.or.kr/G704-001241.2013.39..007
  24. 劉春雷, 「西漢易學卦氣說硏究-以孟喜, 焦赣, 京房和<易緯>爲中心」, 山東大學 博士學位 論文, 2016.
  25. 孟乃昌, 「周易參同契考辨」, 上海:上海古跡出版社, 1993.
  26. 朱伯昆 主編, 「周易通釋」, 北京: 崑崙出版社, 2004.
  27. 朱越利, 「「周易參同契「的黃老養性術」, 「宗敎學硏究」, 2004年 第4期.
  28. 蕭漢明, 「「周易參同契」的易學特徵」, 「道家文化硏究」 第11期, 1997.
  29. 楊桂才, 「道學宗主-周敦頤哲學思想硏究」, 北京: 人民出版社, 2005.
  30. 余敦康, 「漢宋易學解讀」, 北京: 華夏出版社, 2006.
  31. 吾妻重二, 「朱子學の新硏究」, 東京: 創文社, 2004.
  32. 王明, 「周易參同契考證」,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4.
  33. 王弼 著.樓宇烈 校釋, 「王弼集校釋」, 北京: 中華書局, 1983.
  34. 李申, 「話說太極圖」, 北京: 知識出版社, 1992.
  35. 李申, 「易圖考」,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0.
  36. 鄭吉雄, 「易圖象與易詮釋」, 臺北: 喜瑪拉雅硏究發展基金會, 2002.
  37. 胡孚琛 主編, 「中華道敎大辭典」, 北京: 中國社會科學院出版社, 1995.
  38. 侯外廬.趙紀彬.杜國庠.邱漢生, 「中國思想通史」 第2卷, 北京: 人民出版社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