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Zhuxi and Jeungsan's Theories of Sangsaeng

주자와 증산의 상생이론 비교 고찰

  • An, Yoo-kyoung (Youngnam Culture Institu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안유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Received : 2021.05.31
  • Accepted : 2021.08.03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is paper identifies what the theoret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in the concept of Sangsaeng held by Zhuxi (1130~1200) and Jeungsan (1871~1909). Human beings cannot live alone. For humans to survive, they must live with others. However, humans have an infinite desire not only for survival but also for material things, honor, and power. In other words, humans, on the one hand, seek harmony and symbiosis for survival, and on the other, constantly confront, conflict and compete with one another to satisfy their infinite desires. Thus, human-to-human interrelationship is not a co-prosperity that creates partnerships for harmony but one of adversaries within competition that must be fought and defeated. At the same time, humans can achieve harmony and cooperation by overcoming their infinite desires and realizing morality. Therefore,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originate from competitive structure, which are dominated by confrontation and conflict, can be solved through human effort and reflection, so that humans can focus on solving social problems by mobilizing their own wisdom. Jeungsan emphasized Sangsaeng as mutual beneficence and it became one of the creeds of Daesoon Thought. In the Neo-Confucianism of Zhuxi, there is an ideology of Sangsaeng as co-prosperity and this is comparable to mutual beneficence in Daesoon Thought. In Zhuxi's terminology it is called 'In (仁), humanity.' In Neo-Confucianism, a harmonious world is achieved by loving people and caring for and nurturing all things when the principles of humanity are realized. This means that when the principle of co-prosperity is realized in Daesoon Thought, there will be no conflict or grudges, and only an acquired vision of reconciliation and mutual beneficence will be achieved. Zhuxi also emphasizes the realization of humanity (cheonli) by eliminating self-interest. 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self-interest' is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tual beneficence and grievances in Daesoon Thought. Just as the principle of 'In' fosters love among people and the benefit of things immediately after self-interest is removed, the principle of mutual beneficence is realized immediately after grudges are resolved. This achieves an endless of paradise on earth.

본 논문은 주자(1130~1200)와 증산(1871~1909)의 상생이론의 의미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이론적 유사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한 것이다. 인간은 혼자서 살 수 없는 존재이다. 인간이 생존을 위해서는 반드시 남과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 그렇지만 인간은 생존뿐만 아니라 물질·명예·권력 등에 대해서도 무한한 욕망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한편으로 생존을 위해서 화합·공생을 도모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무한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대립·갈등하고 경쟁한다. 이로써 인간과 인간 간의 상호관계는 화합을 도모하는 상생의 동반자가 아니라, 싸워서 이겨야 하는 경쟁의 적인 것이다. 동시에 인간은 무한한 욕망을 극복하고 도덕성을 실현함으로써 조화와 화합을 이룰 수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대립과 갈등으로 점철된 경쟁구도의 다양한 사회문제는 인간의 노력과 반성을 통해서 해결해나갈 수 있는데, 이로써 인간은 스스로의 지혜를 동원하여 사회문제의 해결에 주력하게 된다. 증산은 상생을 대순사상 종지의 하나로서 강조한다. 주자의 성리학에도 대순사상의 상생에 버금하는 이념이 존재하니 그것이 바로 인(仁)이다. 성리학에서는 '인'의 원리가 실현될 때에 사람을 사랑하고 만물을 이롭게(보살피고 양육)함으로써 조화로운 세상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대순사상에서 '상생'의 원리가 실현될 때에 어떠한 갈등이나 원한이 없이 오로지 화해와 공존의 후천선경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또한 주자는 사욕을 제거함으로써 인(천리)을 실현해나갈 것을 강조한다. 이때 '인'과 '사욕'의 관계는 대순사상의 '상생'과 '원한'의 관계와 유사하다. 사욕이 제거되면 곧장 '인'의 원리가 실현되어 '사람을 사랑하고 사물을 이롭게 함으로써' 조화와 화합을 이루듯이, 원한이 해소되면 곧장 '상생'의 원리가 실현되어 무궁한 후천선경이 이룩된다.

Keywords

References

  1. 「朱熹集」, 「朱子語類」, 「周易」, 「孟子」, 「孟子集註」, 「中庸」, 「中庸或問」, 「中庸章句」, 「周子全書」, 「二程集」, 「存齋集」, 「栗谷集」
  2.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3.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4. 김방룡,「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해원상생의 재해석과 지평」,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9.0.37
  5. 배규한,「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1
  6. 배영기,「상생윤리의 체계론적 연구」, 「윤리연구」 51, 2002. http://uci.or.kr/G704-000880.2002.51.3.001
  7. 양무목,「대순사상과 한국정치: 해원상생 사상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1, 1996.
  8.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상생이념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18, 2004.
  9. 차선근,「대순진리회 생태론 연구서설: 상생생태론」, 「대순사상논총」 35, 202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295
  10. 《Oxford Languages》 https://languages.oup.com/google-dictionary-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