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ommunity Elderly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Received : 2021.04.01
  • Accepted : 2021.04.20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on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grit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ommunity elderl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for 8 weeks from October 8 to November 26, 2020. Results: t-test showed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t=-2.12, p=.040), self-efficacy (t=3.78, p<.001), grit (t=3.75, p<.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2.89, p=.002)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hands BMI (t=-1.26, p=.213), diastolic pressure (t=-1.07, p=.287), total cholesterol (t=-1.67, p=.102), LDL-cholesterol (t=-0.76, p=.451), HDL-cholesterol (t=-0.57, p=.567) and triglyceride (t=-1.76, p=.094)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 improving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community elderly.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Dongshin University research grants.

References

  1. 권대훈. (2018).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9(3), 725-744.
  2. 김경태, 조지훈. (2013). 탄성밴드운동 및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 혈중지질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5(2), 129-138.
  3. 김창숙 외 7인. (2007).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신체구성, 혈압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14(2), 158-168.
  4. 김희선, 유빛나, 이은환. (2018). 우리나라 만성질환관리 사업의 발전과정과 향후 과제. 대한공공의학회지, 2(1), 105-120.
  5. 노지혜, 이민규. (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1), 159-183.
  6. 류세인, 김애경. (2020). 요양병원 노인 환자를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7(4), 400-412.
  7. 박정숙, 오윤정. (2017).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2), 244-256. https://doi.org/10.5932/JKPHN.2017.31.2.244
  8. 박정희, 김남이. (2020). 간호사의 그릿,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325-333.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325
  9. 손조욱, 이지현. (2006).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1), 5-16.
  10. 손화희. (2004). 서울지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2), 77-92.
  11. 송환, 김혜숙. (2020). 지역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7), 41-49. https://doi.org/10.15207/jkcs.2020.11.7.041
  12. 신정훈. (2021). 웰니스 건강 증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고령자 건강생활습관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2), 111-121.
  13. 윤순녕, 김정희. (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8(2), 130-140.
  14. 이기란, 김두리, 임효남, 강경희. (2020). 복지관이용 노인을 위한 연하기능증진 구강간호 프로그램이 우울, 자기효능감,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연하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1(2), 166-178.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2.166
  15. 이묘숙. (2012).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7, 289-313.
  16. 이승주, 박주영. (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269-276. https://doi.org/10.14400/JDC.2018.16.2.269
  17. 이은희 외 5명. (2007).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이 성인의 건강생활 습관실천과 대사증후군 개선에 미치는 효과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3), 1-19.
  18. 장경오. (2020).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신체적, 생리적 및 심리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2), 133-144.
  19. 조숙희, 윤경순, 정신. (2018). 뇌종양 환자의 자기효능감, 그릿, 증상클러스터가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종양간호학회지, 18(4), 188-197.
  20. 주현정, 공희경. (2019).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변인들 간의 융복합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7(2), 243-254. https://doi.org/10.14400/jdc.2019.17.2.243
  21. 질병관리청. (2020). 보건교육 자료실. Retrieved from https://health.cdc.go.kr/healthinfo/index.jsp
  22. 허은주. (2020).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에 따른 그릿, 건강증진행위 차이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12), 57-65. https://doi.org/10.15207/JKCS.2020.11.12.057
  2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4. Boardley D, Fahlman M, Topp R, Morgan AL, McNevin N. (2007). The impact of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in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Cardiology, 16(1): 30-35. https://doi.org/10.1111/j.1076-7460.2007.05353.x
  25. Chen G, Gully SM, Eden D. (2001).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4(1), 62-83. https://doi.org/10.1177/109442810141004
  26. Duckworth AL, Peterson C, Matthews MD, Kelly D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 Pers Soc Psychol, 92(6), 1087-1101. doi:10.1037/0022-3514.92.6.1087
  27. Duckworth AL, Quinn P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 Pers Assess, 91(2), 166-174. doi:10.1080/00223890802634290
  28. Mccartney DE, Mcmanus RJ. (2016). Self-monitoring and self-management: new interventions to improve blood pressure control.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5(6), 502-507. doi:10.1097/mnh.0000000000000279
  29. Parsons MA, Pender NJ, Murdaugh CL. (2011).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Six ed.). New York, NY: Pearson Health Science.
  30. Schwartz CL et al., (2018). Do patients actually do what we ask: patient fidelity and persistence to the Targets and Self-Management for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Stroke and at Risk Groups blood pressur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J Hypertens, 36(8), 1753-1761. doi:10.1097/hjh.0000000000001738
  31. Walker SN, Hill-Polerecky DM.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pp. 120-126). Omaha,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