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33/kssche.20210531.03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ommunity Elderly  

Yang, Mi-jeong (Department of Nursing, Dongshin University)
Yun, Kyung-soon (Department of Nursing, Dongshin University)
Cho, Sook-hee (Department of Nurs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22, no.2, 2021 , pp. 25-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on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grit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ommunity elderl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for 8 weeks from October 8 to November 26, 2020. Results: t-test showed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t=-2.12, p=.040), self-efficacy (t=3.78, p<.001), grit (t=3.75, p<.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2.89, p=.002)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hands BMI (t=-1.26, p=.213), diastolic pressure (t=-1.07, p=.287), total cholesterol (t=-1.67, p=.102), LDL-cholesterol (t=-0.76, p=.451), HDL-cholesterol (t=-0.57, p=.567) and triglyceride (t=-1.76, p=.094)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 improving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community elderly.
Keywords
Community; Health promotion behavior; Physiological indicators; Self-effic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신정훈. (2021). 웰니스 건강 증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고령자 건강생활습관 변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2), 111-121.
2 이기란, 김두리, 임효남, 강경희. (2020). 복지관이용 노인을 위한 연하기능증진 구강간호 프로그램이 우울, 자기효능감,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연하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1(2), 166-178.   DOI
3 장경오. (2020).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신체적, 생리적 및 심리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2), 133-144.
4 손조욱, 이지현. (2006).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7(1), 5-16.
5 Boardley D, Fahlman M, Topp R, Morgan AL, McNevin N. (2007). The impact of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in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Cardiology, 16(1): 30-35.   DOI
6 류세인, 김애경. (2020). 요양병원 노인 환자를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7(4), 400-412.
7 권대훈. (2018).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9(3), 725-744.
8 김경태, 조지훈. (2013). 탄성밴드운동 및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 혈중지질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5(2), 129-138.
9 김희선, 유빛나, 이은환. (2018). 우리나라 만성질환관리 사업의 발전과정과 향후 과제. 대한공공의학회지, 2(1), 105-120.
10 김창숙 외 7인. (2007).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신체구성, 혈압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14(2), 158-168.
11 노지혜, 이민규. (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1), 159-183.
12 박정숙, 오윤정. (2017).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2), 244-256.   DOI
13 박정희, 김남이. (2020). 간호사의 그릿,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325-333.   DOI
14 손화희. (2004). 서울지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2), 77-92.
15 송환, 김혜숙. (2020). 지역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7), 41-49.   DOI
16 윤순녕, 김정희. (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8(2), 130-140.
17 Mccartney DE, Mcmanus RJ. (2016). Self-monitoring and self-management: new interventions to improve blood pressure control.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5(6), 502-507. doi:10.1097/mnh.0000000000000279   DOI
18 이승주, 박주영. (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269-276.   DOI
19 이은희 외 5명. (2007).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이 성인의 건강생활 습관실천과 대사증후군 개선에 미치는 효과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3), 1-19.
20 이묘숙. (2012).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7, 289-313.
21 Chen G, Gully SM, Eden D. (2001).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4(1), 62-83.   DOI
22 조숙희, 윤경순, 정신. (2018). 뇌종양 환자의 자기효능감, 그릿, 증상클러스터가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종양간호학회지, 18(4), 188-197.
23 주현정, 공희경. (2019).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변인들 간의 융복합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7(2), 243-254.   DOI
24 질병관리청. (2020). 보건교육 자료실. Retrieved from https://health.cdc.go.kr/healthinfo/index.jsp
25 허은주. (2020).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에 따른 그릿, 건강증진행위 차이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12), 57-65.   DOI
2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7 Duckworth AL, Peterson C, Matthews MD, Kelly D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 Pers Soc Psychol, 92(6), 1087-1101. doi:10.1037/0022-3514.92.6.1087   DOI
28 Walker SN, Hill-Polerecky DM.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pp. 120-126). Omaha,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29 Parsons MA, Pender NJ, Murdaugh CL. (2011).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Six ed.). New York, NY: Pearson Health Science.
30 Schwartz CL et al., (2018). Do patients actually do what we ask: patient fidelity and persistence to the Targets and Self-Management for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Stroke and at Risk Groups blood pressur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J Hypertens, 36(8), 1753-1761. doi:10.1097/hjh.0000000000001738   DOI
31 Duckworth AL, Quinn P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 Pers Assess, 91(2), 166-174. doi:10.1080/0022389080263429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