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천항 국제여객부두 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of Incheon International Passenger Port Management System

  • 투고 : 2021.08.26
  • 심사 : 2021.10.14
  • 발행 : 2021.09.30

초록

지난 20년 동안 우리나라 국제여객항 카페리의 여객과 화물 운송 실적은 각각 연평균 8.6%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항로의 발전과 항차의 양적 증대에 비해 국제여객항의 비효율적인 관리체계에 대한 개선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은 중요도-성취도(IPA) 기법을 응용·적용하여 우리나라의 대표 국제여객항인 인천항을 중심으로 최근 국제여객선 수급상황 변화와 정부·민간 등 이용 주체의 개선 요구를 반영한 여객터미널 관리체계 전반의 개선사항과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IPA 분석 결과,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의 '운영' 부문에서는 세관인력의 확대 및 상시통관 시스템 시행, '시설'에서는 연락교-선석 간 완충시설 설치 및 카페리 화물 전용 배후단지 마련, '제도'의 경우 비용부담 주체의 명확한 기준 설정 및 터미널 이용 관련 비용의 인상폭 제한 등이 관리체계 개선에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여객항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위해 운영, 시설 및 제도 등 다각적 차원에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한 정부의 정책 접근과 투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ver the past 20 years, Korea's number of international passengers and freight transportation records has increased by 8.6% per year,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sea lanes and increased voyages, there have been constant calls for improving the inefficient management of international passenger ports. Hence, this paper presents improvements and further directions for international passenger port management. Focusing on the Incheon International passenger port as a representative case study, the main resul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urgent, possible measures for improving the port management include (i) the expansion of customs personnel and implementation of a 24-hours customs clearance system in operation, (ii) installation of buffer facilities between the ferry and ferry cargo and establishment of hinterland specialized in car ferry freight in a facility, and (iii) clear standards for cost-bearing subjects and limitation of high cost related to terminal use in institution.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government policy access and investment reflecting stakeholder opinions at various levels, such as operation, facilities, institution, and so forth, for efficient management of international passenger po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동훈.김종천(2021), 수산분야 블록체인기술 도입에 관한 인식도 연구, 수산경영론집, 제52권 제1호, 65-82.
  2. 국토해양부(2012), 한.중 해운회담 20년, 한.중 해운협력성과 및 향후 발전방안 연구.
  3. 김건위.현승현(2018), 지방정부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에 대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30권 제4호, 57-84. https://doi.org/10.21026/JLGS.2018.30.4.57
  4. 김경환.유영진(2016), IPA기법을 활용한 한식당 선택속성과 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3호, 113-132.
  5. 김성우(2008),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을 이용한 관광지 매력성 평가 : 금강산 관광을 대상으로, 관광연구논총, 제20권 제1호, 101-115.
  6. 김현겸.최재형.권현준(2007), 한-일항로 카페리 선사의 해상 화물 운송상의 차별화된 경쟁력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9호, 167-190.
  7. 박근식(2013), 한중 카페리 선사의 컨테이너 운송의 경쟁력에 대한 연구, 국제상학, 제28권 제1호, 115-137.
  8. 안우철.정지웅.안승범(2020), 인천항의 베트남 컨테이너 물동량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6권 제3호, 397-417.
  9. 오용식.구경모(2015), 우리나라 국제카페리항로 시장의 발전방안에 관한 한 고찰 - AHP를 통한 정책수요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4호, 73-94.
  10. 이광근(2007), 동북아 물류 및 카페리 허브항구로서의 속초항의 전망과 과제, 한국로지스틱스연구, 제15권 제2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15.
  11. 이기병.김종락(2018), 한.중 FTA 시대의 한.중 해운물류 성장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 한.중 카페리 선사를 중심으로, 국제상학, 제33권 제2호, 165-183.
  12. 이진규.여기태(2014), 전이할당 분석을 이용한 한중카페리 항만의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항을 중심으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3호, 39-58
  13. 인천발전연구원(2012), 인천-중국 카페리를 이용한 복합운송 활성화 방안 연구.
  14. 임성근.소순창.이창석(2017), IPA 분석을 활용한 정부3.0 '서비스 정부'에 대한 공급자와 수요자 간 인식차이 분석, 행정논총, 제55권 제2호, 137-167.
  15. 정현재.여기태(2014), 퍼지이론을 도입한 한.중 카페리 선사의 서비스 요인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8권 제3호, 261-268. https://doi.org/10.5394/KINPR.2014.38.3.261
  16. 정현재.조건식.여기태(2014), 한.중 카페리 선사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0권 제1호, 81-104.
  17. 최병길(2014), 관광목적지로서 제주관광의 라이프사이클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7호, 81-100.
  18. 최재형(2007), 국제 카페리선사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해양수산부(2000), 국제여객터미널 관리운영 효율화방안 연구.
  20. 한국교통연구원(2013), 한중일 국제교역 운송체계 장기개발 구상.
  21. 한중카페리협회(2018), 한중 카페리 항로 시장개방의 영향분석 및 정책방안 연구.
  22.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7), 국제여객터미널 및 마리나 시설의 경제성 분석 방법론에 관한 연구.
  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9), 수산분야 블록체인기술 도입에 관한 연구.
  24.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9), 우리나라 주요 국제여객항 운영체계 개선방안 연구: 운영, 시설, 제도를 중심으로.
  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2), 한중카페리 항로의 문제점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수립.
  26. 한연숙, 민규식(2014), IPA 분석기법에 의한 프라이빗뱅킹 고객의 부동산 자산관리 서비스 요구도와 만족도 매트릭스 분석, 부동산학보, 제59집, 287~298.
  27. Lee, N. Y., Park, J. Y and Yeo, G. T(2013), A Study on Measuring the Efficiency of Korea-China Car Ferry Route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7, 187-193. https://doi.org/10.5394/KINPR.2013.37.2.187
  28. Lundtorp, S. and Wanhill, S(2001), The Resort Lifecycle Theory Generating Process and Esti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8, 947-964. https://doi.org/10.1016/S0160-7383(00)00080-3
  29. Martilla, J. A. and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