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 Port on The Living Conditions of Its Neighborhood Area

항만이 인근지역 생활여건에 미친 영향 분석

  • Received : 2021.11.29
  • Accepted : 2021.12.31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a port affects the living conditions of its neighborhood area with a case study of Pusan New Port and to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to port policy. PLS-SEM reflective measurement model satisfies the criteria on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also structural model meets the criteria in terms of R2, path coefficients' significance and predictive relevance(Q2). The results of PLS-SEM suppor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expansion of Pusan New Por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of Gangseo-gu(nearby area) through its significant and sequential effects on the employment and population increase of Gangseo-gu. The originality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enunciating that a port plays a role as a driving force of the betterment of living conditions of its nearby Gu-level area. In terms of polic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ort related companie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reinforce the acceptability of port polic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conditions of port neighborhood area. To evaluate comprehensively the influence of a port on its neighborhood area, a further study needs to identify how a por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area or what kinds of socio-economic effects a port has on the area.

본 연구는 항만이 항만인근지역의 생활여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부산항 신항과 인근 강서구 생활여건 간의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명확히 밝힘으로써 우리나라 항만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PLS-SEM 측정모형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충족하고, 구조모형은 설명력(R2), 경로계수의 유의성, 예측의 적합도(Q2) 측면에서의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분석결과는 부산항 신항 확충이 강서구의 고용증가를 통해 강서구의 인구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강서구의 생활여건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이 항만인근지역(구(區)단위)의 생활여건 개선을 유발하는 견인차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은 항만정책의 수용성 제고를 위하여 항만인근지역의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데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향후 연구는 항만이 항만인근지역에 미친 영향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항만이 항만인근지역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이나 항만인근지역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권기철(2006), 부산광역권의 제조업 고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계 및 인구이동의 균형화 효과, 경제연구, 제24권 제3호, 97-123.
  2. 김리영.양광식(2013),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5권 제3호, 1-19.
  3. 김상구(2010), 해항도시의 삶의 질 비교분석 - 항만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6권 제3호, 287-293.
  4. 김상구(2012), 해항도시의 삶의 질에 대한 항만의 영향력 분석 - 중국 대련항과 부산항의 비교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6권 제6호, 481-488. https://doi.org/10.5394/KINPR.2012.36.6.481
  5. 김상열.박호.구한모.류동근(2015), 항만물류산업이 항만도시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9권 제3호, 267-275. https://doi.org/10.5394/KINPR.2015.39.3.267
  6. 김성철.류동근.류학수(2009), 우리나라 해외항만 투자인식과 해외진출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사연구, 제49권, 75-111.
  7. 김안호.기성래(2005),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권 제4호, 141-160.
  8. 김유현(2021),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55권 제2호, 337-367.
  9. 김춘선.김성귀.류재영.박승기.이성우.이재완.이한석.임영태(2013), 항만과 도시, (서울), 블루&노트, 19-27.
  10. 김현아(2008),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응용경제, 제10권 제2호, 75-103.
  11. 마문식.유홍성.김병일(2009),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4호, 83-106.
  12. 박근하.최진영.이선은(2021), 항만지역 미세먼지 특성 및 지역사회 영향, 2021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한국해양학회.
  13. 박성익(2006), 지역별 인구 변동 및 경제적 요인 분석: 패널자료를 이용한 회귀분석 및 요인분석, 국제경제연구, 제12권 제3호, 1-35.
  14. 송효진.정재형.정수현(2021),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 부산항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미세먼지(PM10) 농도를 중심으로 -,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7권 제7호, 83-99.
  15. 심재희(2009),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2호, 919-937.
  16. 안준건.김동휘.황규철.Loh Andrew.최나린.하성용.현상민.임운혁(2021), 항만지역 가스상 대기오염물질 발생 및 거동특성 연구, 2021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한국해양학회.
  17. 양창호(2021), 항만경제, (서울), 박영사, 12-17.
  18. Enrico D'agostini.류동근(2017), 이탈리아 항만의 사회경제학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1권 제4호, 243-250. https://doi.org/10.5394/KINPR.2017.41.4.243
  19. 여기태.한종길.우종균.신영란.정태원.박근식.우정욱.우수한.하영목.양창호.하창승.박진희(2016), 물류의 이해, (서울), 박영사, 62-73.
  20. 이민규.이기열(2016),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2권 제2호, 299-320.
  21. 이민우.이향숙(2016),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환경비용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4호, 15-28.
  22. 이제홍.최흥섭(2008),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항만산업 경제적 효과 및 투자재원 조달 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2호, 317-334.
  23. 이태휘.여기태(2012), 항만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8권 제4호, 559-579.
  24. 정봉민(2014), 부산시 지역경제와 항만의 경제적 연계성 분석과 그 시사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4호, 199-217.
  25. 정분도.심재희(2011),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3호, 311-329.
  26. 정창무(2007), 삶의 질 분석 모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12호, 245-252.
  27. 최봉호.이기환(2019), 지역물류산업과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한 패널분석, 무역학회지, 제44권 제2호, 173-188.
  28. 최영출(2014), 지역 주민의 생활 여건과 행복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1호, pp.1-23.
  29. 최진이(2020), 항만과 도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제11권 제2호, 521-536.
  30. 통계청(2019), 사회조사 통계정보 보고서, 1-78.
  31. 통계청(2021), 국민 삶의 질 2020, 8-17.
  32. 해양수산부 내부 자료(부산항 제1신항 하역능력).
  33. 해양수산부 내부 자료(부산항 제1신항 배후부지 입주업체 수).
  34. www.busanpa.com. (부산항 통계, 컨테이너 통계, 2021년 3월 1일 검색).
  35. www.gangseo.seoul.kr (강서구 통계정보, 통계연보, 2021년 1월 10일 검색).
  36. Diamantopoulos, A., and Siguaw, J.A.(2000), Introducing LISREL, Thousand Oaks, CA: Sage.
  37. Dooms, M., Haezendonck, E., and Verbeke, A.(2015), Towards a meta-analysis and toolkit for port-related socio-economic impacts: A review of socio-economic impact studies conducted for seaport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42(5), 459-480. https://doi.org/10.1080/03088839.2014.944238
  38. Dooms, M., Van Der Lugt, L., Schepper, De, S., and De Jong, O. (2018). Socio-econo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port clusters: more challenges, fewer solutions? In Bergqvist, R. & Monios J. (Eds.), Green Ports: Inland and Seaside sustainable transportation strategies (1ed., 231-254). (Amsterdam), Elsevier.
  39. ESPO(2012) Port Performance Indicators: Selection and Measurement, Project Executive report(PPRISM WP4 D4.2), European Sea Ports Organization.
  40. Ferrari, C., Merk, O., Bottasso, A., Conti, M. and Tei, A.(2012), Ports and Regional Development: A European Perspective, OECD Regional Development Working Papers 2012/07, OECD Publishing, Paris.
  41. Gallup, J.E., Sachs, J.D. and Mellinger, A.(1999), Geography and Economic Development,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2, 179-232. https://doi.org/10.1177/016001799761012334
  42. Hair, J.F., Hult, G.T.M., Ringle, C.M. and Sarstedt, M.(2017a),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PLS-SEM) 2nd Ed., (Los Angeles), Sage, 1-33.
  43. Hair, J.F., Matthews, L.M., Matthews, R.L., Sarstedt, M.(2017b), PLS-SEM or CB-SEM: Updated guidelines on which method to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variate Data Analysis, 1(2), 107-123. https://doi.org/10.1504/IJMDA.2017.087624
  44. Hair, J.F., Ringle, C.M., Sarstedt, M.(2011),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9(2), 139-151. https://doi.org/10.2753/MTP1069-6679190202
  45. Hair, J.F., Risher, J.J., Sarstedt, M., Ringle, C.M.(2019), When to use and how to report the results of PLS-SEM, European Business Review, 31(1), 2-24. https://doi.org/10.1108/ebr-11-2018-0203
  46. Hair, J.F., Sarstedt, M., Hopkins, L. and Kuppelwieser, V.G.(2014),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 An emerging tool in business research, European Business Review 26(2), 106-121. https://doi.org/10.1108/EBR-10-2013-0128
  47. Hair, J.F., Sarstedt, M., Pieper, T.M. and Ringle, C.M.(2012), The use of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A review of past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applications, Long Range Planning, 5 Nos 5/6, 320-340.
  48. Lohmoller, J.-B.(1989), Latent Variable Path Modeling with Partial Least Squares, Physica, Heidelberg.
  49. Merk, O.,(2013), The Competitiveness of Global Port-Cities: Synthesis Report, OECD Regional Development Working Papers 2013/13, OECD Publishing, Paris.
  50. Reinartz, Werner J., Michael Haenlein, and Jorg Henseler (2009), An Empiric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Covariance-Based and Variance-Based SEM,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26(4), 332-344. https://doi.org/10.1016/j.ijresmar.2009.08.001
  51. Rigdon, Edward E.(199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G.A. Marcoulides,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251-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