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hijujils(施主秩), the records on the creation of Buddha statues, of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of Hwaeomsa Temple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 「시주질(施主秩)」 분석

  • 유근자 (동국대학교 미술학부 불교미술전공)
  • Received : 2021.09.20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2.20

Abstract

This paper mainly analyzes the records titled 'Shijujil(施主秩)' from the Bokjangs of each of the Rocana and Shakyamuni statues enshrined as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composed of Vairocana(center), Rocana(right), and Shakyamuni(left) at the Daeu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in Gurye. The Shijujil from the Shakyamuni statue was recovered through Bokjang investigation in September 2015 and has been kept in the museum of Hwaeomsa as an undisclosed relic. After the discovery of the Shijujil from the Rocana statue through an Bokjang investigation in July 2020, both of the Shijujils were only officially released through the special exhibition 'Grand Hwaeomsa Temple in Jirisan Mountain' in September 2021. Existing documents recording on the creation of Buddha statues in the 17th century are in the form of sheets or rolls. However, the Shijujils take the form of simple stitched booklets. The Shijujil from Rocana consists of 19 chapters and 38 pages in one book, and the Shijujil from Shakyamuni consists of 11 chapters and 22 pages in one book. The contents of the Shijujils consist of the purpose of the Buddha statue creation, the creation date, the year and place of enshrining, the names of the statues, the people in charge and their roles, the sculptors, the list of items donated, and the list of the contributors. In addition, the list of monks who were staying at Hwaeomsa Temple at that time are also recorded, so the Shijujil is like a time capsule that tells the situation of Hwaeomsa Temple about 400 years ago.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Shijujils and the Writing on the wooden pedestal of Rocana, the Vairocana Triad began to be in March 1634(12th year of King Injo) and was completed in August of that year, and was enshrined in the Daeungjeon Hall in the fall of the following year. It is very important to confirm that the Vairocana Buddha Triad of Hwaeomsa was created in 1634. Since studies on the reconstruction of Hwaeom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and the roles of Byeokam Gakseong have been mainly based on 『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written by monk Haean in 1636,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was created in 1636. However, it is now known that the Virocana Buddha Triad was created in 1634. The Shijujils are also a good source of information about Byeokam Gakseong who played a pivotal roles in the reconstruction projects of Hwaeomsa Temple in the 17th century. He played leading roles in rebuilding the East Five-story Stone Pagoda(1630), in creating the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1634), and in producing the Yeongsanhoe Gwaebul(1653, Hanging Scroll Painting depicting the Shakyamuni preaching). It is also very important that the Shijujils are records that can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Byeokam Gakseong and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The Shijujils from Rocana and Shakyamuni are the first documents ever discovered in which the names of royal family members, such as Uichanggun(Gwang Lee, son of King Seonjo), Ikseong Shin(son-in-law of King Seonjo), and Crown Prince Sohyeon(son of King Injo) are recorded in detail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Buddha statues. The Shijujils from Rocana and Shakyamuni contain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ion of the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in the 17th century, such as the year of production of the Buddha statues, the role of Byeokam Gakseo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yeokam Gakseong and the royal family, so it is of great value not only for art history but also for historical studies of Hwaeomsa Temple.

본 논문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가운데 좌존(左尊) 노사나불상과 우존(右尊) 석가불상의 복장에서 수습한 2점의 불상 조성기인 「시주질(施主秩)」을 분석한 것으로, 두 자료는 2015년 9월과 2020년 7월의 복장조사를 통해 나온 것이다. 2015년 9월에 수습한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한동안 미공개로 화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다가 2020년 7월 노사나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이 발견되면서, 2021년 9월 '지리산 대화엄사' 특별전을 통해 함께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화엄사 두 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17세기에 조성된 불상에 관한 기존 조성기의 일반적인 낱장 또는 두루마리 형식과 다르게, 선장(線裝) 방식으로 가철(假綴)된 책자 형식으로 되어 있다. 노사나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1책 19장 38면으로,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1책 11장 2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주질(施主秩)」의 내용은 불상 조성의 목적, 제작 시기, 봉안(奉安) 연도 및 봉안처(奉安處), 존명(尊名), 소임자(所任者), 조각승(彫刻僧), 시주(施主) 물목(物目), 시주자(施主者) 등을 담고 있다. 이밖에도 당시 화엄사에 주석하고 있던 승려들까지 수록하고 있는 점에서 「시주질(施主秩)」은 약 400여 년 전 화엄사의 중창 불사 당시의 상황을 오늘날에 소상하게 알려주는 타임캡슐(time capsule) 같은 것이다.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 및 노사나불상의 대좌 기록에 의하면, 1634년(인조 12) 3월에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을 조성하기 시작해 8월에 완성한 후, 1635년(인조 13) 가을에 대웅전에 봉안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제작 시기를 1634년으로 특정할 수 있게된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은 중관(中觀) 해안(海眼)이 1636년(인조 14)에 저술한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에 의존해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 시기를 1636년으로 추정해 왔는데, 이제는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제작 시기를 1634년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벽암(碧巖) 각성(覺性)의 역할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벽암 각성은 1630년에 화엄사 동오층석탑을 중수할 때는 '대공덕주(大功德主)'였고, 1634년 삼신불상을 조성할 때도 '판거사(辦擧事)' 또는 '대공덕주(大功德主)'였으며, 1653년 영산회 괘불탱을 조성할 때 역시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 등 17세기 화엄사 중창 불사에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벽암 각성과 왕실과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불상의 조성과 관련하여 왕실 인물인 선조의 아들 의창군(義昌君) 이광(李珖)과 사위 신익성(申翊聖), 인조의 아들 소현세자(昭顯世子) 등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자료이기 때문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시주질(施主秩)」은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 연도, 벽암 각성과 왕실의 관계 및 벽암 각성의 역할 등, 17세기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담고 있어 미술사뿐만 아니라 향후 화엄사의 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大覺登階集」
  2. 「東溪集」
  3. 「櫟山集」
  4. 「日省錄」
  5. 「造像經」
  6. 구례군지편찬위원회, 「구례군지」, 2005.
  7. 불교중앙박물관, 「華藏 지리산 대화엄사」, 서울: 2021.
  8. 문화재청.구례군, 「구례 화엄사 대웅전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보고서」, (사)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15.
  9. 송은석,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서울: 사회평론, 2012.
  10. 양은용.김덕수 편, 「壬辰倭亂과 佛敎義僧軍」, 서울: 경서원, 1992.
  11. 유근자,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 서울: 불광출판사, 2017.
  12.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華嚴寺誌」,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7.
  13. 김광희, 「갑사 대웅전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연구」, 「미술사학연구」 300, 2018.
  14. 김성순, 「갑사(甲寺) 사적(史蹟)을 통해 본 의병장 영규(靈圭)에 대한 두 갈래 시선」, 「불교문예연구」 14, 2019.
  15. 김승호, 「壬亂時 僧將의 설화전승 양상 - 靈圭大師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36, 2000.
  16. 김영붕, 「求禮 石柱關七義士에 대한 追慕詩文 考察」, 「한국시가문화연구」 27, 2011.
  17. 노기욱, 「이순신의 수군 정비와 명량해전」, 「지방사와 지방문화」 16, 2013.
  18. 김용태, 「조선후기 華嚴寺의 역사와 浮休系 전통」, 「지방사와 지방문화」 12, 2009.
  19. 김정희, 「碧巖 覺性과 華嚴寺 靈山會掛佛圖」, 「강좌미술사」 52, 2019.
  20. 문명대, 「松廣寺 大雄殿 塑造釋迦三世佛像」, 「강좌미술사」 13, 1999.
  21. 문명대, 「선운사 대웅보전 무염(無染) 작 비로자나삼불상(毘盧遮那三佛像)」, 「강좌미술사」 30, 2008,
  22. 문명대, 「벽암 각성의 조형 활동과 불상 조성」, 「강좌미술사」 52, 2019.
  23. 서수정, 「새로 발견한 벽암 각성의 「선원도중결의(禪源圖中決疑)」 간행 배경과 그 내용」, 「불교학연구」 55, 2018.
  24. 손영문, 「조각승 印均派 불상조각의 연구」, 「강좌미술사」 26, 2006.
  25. 손영문, 「朝鮮 後期 木造阿彌陀如來三尊 佛龕과 阿彌陀如來七尊 佛龕 考察」, 「불교미술」 30, 2019.
  26. 송은석, 「17세기 전반 曹溪山 松廣寺와 彫刻僧: 覺敏, 應元, 印均」, 「보조사상」 29, 2008.
  27. 송은석, 「조선 후기 應元.印均派의 활동: 應元, 印均, 三忍」, 「한국문화」 52, 2010.
  28. 송은석, 「미국 미술관, 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불상 연구」, 「미술사와 시각문화」 12, 2013.
  29. 심주완, 「동아시아 삼불상 도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30. 양은용, 「丁酉再亂의 석주관전투와 華嚴寺義僧軍」, 「가산학보」 4, 1995.
  31. 양은용, 「임진왜란 이후 佛敎義僧軍의 동향-全州松廣寺의 開創碑 및 新出 腹藏記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4, 2003.
  32. 양은용, 「뇌묵 처영(雷黙處英)의 의승 활동과 금산사(金山寺)」, 「한국종교」 47, 2020.
  33. 양은용, 「조각승 색난파와 화엄사 각황전 칠존불상」, 「강좌미술사」 26, 2006.
  34. 양은용, 「화엄사 대웅전 목 삼신불상의 연구」, 「강좌미술사」 28, 2007.
  35. 유근자, 「17세기의 완주 송광사 불사와 벽암 각성(碧巖覺性」, 「남도문화연구」 36, 2019.
  36. 유근자, 「화엄사 대웅전 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시주질 분석」, 「華藏 지리산 대화엄사」, 불교중앙박물관, 2021.
  37. 이강근, 「華嚴寺 佛殿의 再建과 莊嚴에 관한 硏究」, 「불교미술」 14, 1997.
  38. 이강근, 「17세기 碧巖 覺性의 海印寺.華嚴寺 再建에 대한 연구」, 「강좌미술사」 52, 2019.
  39. 이기선, 「高敞 禪雲寺에서 새로 발견된 造像 資料」, 「역사와 실학」 14, 2000
  40. 이완우, 「조선 후기 列聖御筆의 刊行과 廣布」, 「장서각」 30, 2013.
  41. 이종수.허상호, 「17~18세기 불화의 「畵記」 분석과 용어 考察」, 「불교미술」 21, 2010.
  42. 정병삼, 「8세기 화엄교학과 화엄사찰」, 「韓國思想과 文化」 54, 2012.
  43. 최선일,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목조보살입상과 彫刻僧 英賾」, 「미술사학」 24, 2010.
  44. 최인선, 「珍島 雙溪寺 大雄殿 三尊佛像과 彫刻僧 熙藏」, 「문화사학」 4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