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or(Zhangjingxiu) of Keyuan(可園) in Chinese Traditional Garden

중국 전통원림 가원(可園)의 조영자 장경수에 관한 연구

  • Shi, Shi-Jun (Graduate School of Daegu Catholic University) ;
  • Ahn, Gye-Bo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Catholic University)
  • 스스쥔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1.01.25
  • Accepted : 2021.02.10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Zhangjingxiu(張敬修 1823~1864), who made Keyuan(可園) in Lingnan, China, to find out how traditional gardens were crea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arden designer and space creation. To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garden designer life analysis, garden making background analysis, garden analysis as a space for interaction with local artists, garden analysis as art activity space for garden designer, and garden designer's unique garden cre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Zhangjingxiu was born in Dongwan City in 1823, participated in the civil war at the age of 22(1845), returned home at the age of 26(1849) and made Keyuan. However, he again went through the Opium War(1856), and at the age of 38(1861) he returned home with a war-illness. A garden designer Zhangjingxiu died at the age of 41(1864). Since Zhangjingxiu was a soldier, he healed the wounds caused by the war and created a garden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world that Zhangjingxiu normally had. The garden making background can be found in the garden's name Keyuan(可園). Zhangjingxiu tried to express in the garden the meaning of 'there is nothing possible and nothing impossible in the world' learned through the war. Therefore, Zhangjingxiu named the garden housing and the lake as Gadang(可堂), Gaheon(可軒), Gajeong(可亭), Galu(可樓), and Gaho(可湖). In addition, he returned from the war and making a garden with love and filial piety for his mother. Zhangjingxiu left many poetry and oriental paintings in Keyuan with local artists. The places created as a base as a space to interact with local artists in the garden are 'Gaheon(可軒) and Galu(可樓)', and 'Chuwoljigwan(雛月池館) and Gajeong(可亭)'. In particular, Jasudae(滋樹臺), which can produce various miniascapes of orchids,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space of Zhangjingxiu's artistic space. Zhangjingxiu is considered to have become a famous garden by creating a very characteristic garden using Jasudae, Sokgasan(石假山) and Baewoldae(拜月臺) on the court in front of Gadang.

본 연구는 중국 영남(嶺南)지방에서 가원(可園)을 조영한 장경수(張敬修 1823~1864)를 분석하여 어떤 방식으로 전통원림을 조영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조영자와 공간만들기의 관계성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영자 생애 분석, 조영 배경 분석, 지방 문인들과의 교류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조영자의 예술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장경수만의 정원만들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경수는 1823년에 동완시(東莞市)에서 출생하였는데, 22세(1845년)에 내전에 참가하고, 26세(1849년)에 귀향해서 가원을 조영하였다. 그러나 다시 아편전쟁(1856년)을 거쳤으며, 38세(1861년)에는 전쟁으로 얻은 병 때문에 귀향하였으나, 41세(1864년)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장경수는 군인이었기 때문에,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는 한편, 평소에 장경수가 가지고 있었던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원림을 조성하였다. 원림 조영배경은 원림의 이름 '가원(可園)'에서 찾을 수 있다. 장경수는 전쟁을 통해 알게 된 '세상에서 가능한 것도 없고 불가능한 것도 없다(無可無不可)'는 의미를 원림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장경수는 원림 건축물과 시설물에 가당(可堂), 가헌(可軒), 가정(可亭), 가루(可樓), 가주(可舟), 가호(可湖)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그는 전쟁에서 돌아와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효심으로 원림을 조영하였다. 장경수는 지방 문인들과 함께 가원에서 많은 시화작품을 남겼는데, 원림에서 문인들과 교류공간으로써 거점이 되도록 조성된 곳은 '가헌(可軒)과 가루(可樓)', 그리고 '추월지관(雛月池館)과 가정(可亭)'이다. 장경수는 조경식물 가운데 특히 혜난과 매화를 좋아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혜난의 다양한 분경(盆景) 연출이 가능한 자수대(滋樹臺)가 장경수의 예술활동 공간의 핵심적 공간으로 판단된다. 장경수는 가당(可堂) 앞 중정에 자수대, 석가산(假山涵月), 배월대를 활용해서 매우 특징있는 자기만의 정원을 만듬으로써 명원(名園)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9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劉庭風(2003). 嶺南園林 廣東園林. 同濟大學出版社: 3. 16.
  2. 羅翔淩(2007). 嶺南近代園林美學研究. 華南理工大學. 碩士學位論文.: 67.
  3. 陸秀興(2010). 嶺南四大名園的空間布局及其審美取向研究. 暨南大學. 碩士學位論文 : 1.
  4. 郭春華. 劉小冬. 餘盤滿(2012). 廣東四大古典名園植物調查分析. 安徽農 業科學. 40卷 21期.: 10964-10967.
  5. 鄧颖芝(2010). 東莞道生園主人-張嘉謨. 嶺南文史. 3月号: 58-60.
  6. 夏昌世. 莫伯治(1963). 漫談嶺南園林. 建築學報. 中國建築學會. 第3期: 11-14.
  7. 夏昌世. 莫伯治(1964). 嶺南庭園. 中國建築工業出版社.
  8. 李涛(2009). 江南園林與嶺南園林的淵源. 南方建築. 第3期.: 33-35.
  9. 黎映欣(2016). 江南園林與嶺南園林相互影響之研究. 浙江農林大學. 碩士學位論文.
  10. 鄧颖芝(2006). 東莞可園主人-張敬修. 嶺南文史. 4月号.: 32-34
  11. 楊寶霖(2008). 東莞可園張氏詩文集. 廣東人民出版社: 13-89.
  12. 王紅星(2011). 東莞可園. 華南理工大學出版社
  13. 鄧其生(1982). 東莞可園. 建築歷史與理論. 第3期.: 164-175.
  14. 스스쥔, 안계복(2019). 중국 동원 커웬(可園)의 조영자 장경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pp.14-16.
  15. 中國知網 : http://www.cnki.net
  16. 안계복(1999). 안압지 경관조성의 배경원리에 관한 연구(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7(4): 57-71.
  17. 홍형순(2005). 남간정사 원림의 특징과 조영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13.
  18. 신상섭(1998). 전통주택 외부공간의 조영 원리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1): 103-111.
  19. 신상섭(1994).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외부공간 조영 기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 1-14.
  20. 이정(2008). 경북, 대구지역 재실공간의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20-28.
  21. 박병오, 양병이(2003). 조선중기 영남사림(士林)의 원림조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4): 14-26.
  22. 이혁종, 최기수(2010). 전통조경공간(傳統造景空間)에서 나타난 동천(洞天)의 조영(造營) 특성(特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9-22.
  23. 진혜영, 신현실(2020). 개항기 인천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3): 83-91. https://doi.org/10.14700/KITLA.2020.38.3.083
  24. 정우진, 심우경(2012).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46-63.
  25. 송석호, 심우경(2014). 창덕궁 후원 존덕정(尊德亭)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1): 31-43.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1.031
  26. 신상섭, 김현욱, 강현민(2012). 별업 하거원(何去園)원림에 투영된 조영사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 46-56.
  27. 노재현, 신상섭, 신병철(2009). 낙덕정 조영에 깃든 장소성과 하서 김인후의 성리학적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89-104.
  28. 이현우, 김상욱, 임근홍(2014).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32-45.
  29. 이원호, 김동현, 김재웅, 안계복(2014).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조영 및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2): 27-41.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2.027
  30. 汪兆镛(1988). 嶺南畫征略 卷九: 4-5.
  31. 소현수, 임의제(2013). 매화시제(梅花詩題)를 통해 본 매화 완상(玩賞)의 대상과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84-94. https://doi.org/10.14700/KITLA.2013.31.4.084
  32. 可園博物館 : https://www.dgkeyuan.org/
  33. 陸琦(2013). 嶺南私家園林. 清華大學出版社: 180.
  34. 屈大均(1985). 广东新语 卷5. 北京 中华书局: 168.
  35. 陸琦(2015). 岭南造园与审美 第二版. 中国建筑工业出版社: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