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남지방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후기 관찰사 및 수령의 관직이용 간본 -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ations Printed by some provincial governors during their government positions in the late Chosen Dynasty)

  • 조정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3
    • /
    • 1996
  • 관직이용 간본이란 관찰사 및 수령이 관직을 이용하여 약간의 행하만 지급하고 관의 물자를 사용해서 사적으로 간행한 전적을 말한다. 이들 간본들의 분석을 위하여 (누판고)등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는 책판을 대상으로 현존본과 대사하고 이어 서문 발문의 간인기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팔도 중 영남지방에서, 대개는 관찰사나 수령의 부임지에서, 그들 조상의 문집들이 가장 많이 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 당시 영남지방 사회성격의 일면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 PDF

영남지방 불교식 제사의 제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s of Buddhistic Rites in the Young-nam Area of Korea)

  • Kim, Sung-mee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9-23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영남지방에 소재 하는 몇몇 사찰을 대상으로 불교식 제사에 차려지는 제물을 연구.고찰하였으며, 이들을 가정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유교식 제사와 비교 검토하였다. 불교식 제사의 제물은 강한 시대성을 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동물성 식품재료를 배제한 유교식 제사의 제물이 그대로 이용되고 없었으며, 더불어 사탕, 과자, 초콜릿, 카스테라, 젤리 등과 밖의 마시는 음료 즉 사이다. 콜라 등이 진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통 있는 사찰에서는 불단에 육법공양으로, 향 .등 .다ㆍ 화 .과 . 미(메와 떡) 등이 공양되었고, 영단에만 다섯 가지 나물과 세 가지 전, 메와 갱, 과일, 조과 등과 함께 위의 현대적 과자, 젤리, 사탕 등이 있었으나, 도시에 소재 한 사찰에서는 불단과 영단의 구별 없이 다섯 가지 나물, 다섯 가지 전, 떡(시루떡과 송편), 과일, 여러 가지 과자류와 카스테라 및 음료 등이 똑같이 진설되어 있음이 특징적이었다. 술은 정화수로 대신되고 있었다. 유교가 불교로부터 받은 영향은 향과 다의 이용을 들 수 있겠고 드물기는 하나 기일에 최대의 경건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육식을 하지 않는 가정도 있어 이것은 유교에 미친 불교의 금육주의의 영향이라고 하겠다. 또한 불교가 유교로부터 받은 영향은 관음시식의 영단이라고 하겠다. 영단앞에는 사진이나 지방을 붙이고 있었으며, 유교식 제사의례인 지방을 불사르는 분축의 과정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유교와 불교는 긴 세월을 지나오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오늘의 유교식 제사와 불교식 제사음식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 PDF

영남지방 유교식 제사의 제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s of Confucian Ancestral Rites in the Young-Nam Area of Korea)

  • 김성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65-379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남 지방에 소재하는 네 가정을 표집하여 각 가정에서 행 하여지고 있는 유교적 차례와 제사에 차려지는 제물을 실증적으로 연구, 고찰하였으며, 또 이들을 문헌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그 변천의 모습을 고찰하고저 하였다. 영남지방의 북부인 안동 하회마을과 영남의 중부지방이라고 볼 수 있는 양동 마을의 불천위제사에서 보이는 제 물조리에서의 공통점은 炙을 완전히 익히지 않고 진설하여 性으로서의 기원을 그대로 지키 고 있다는 사실이며 차이점은 바다가 가까운 양동마을에서는 하회마을보다 어물의 사용이 (대게와 생문어 등) 월등히 많다는 사실과 산골에 위치한 하회마을의 경우는 그 대신 닭을 생으로 한 마리 왼으로 쓰고 엽적에 또 한 마리를 사용하여 어물이 적은 데 비하여 닭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의례가 매우 엄격한 제례에서도 지역적 특성이 많이 작 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또한 진설에 있어서도 한 곳은 양위진설이고 다른 곳은 단설로 같은 불천위이지만 이러한 차이를 나타낸다고 하겠다. 또한 진설에 잇어서도 한 곳은 양위진설이고 다른 곳은 단설로 같은 불천위이지만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이것에 있어서도 한 곳은 양위진설이고 다른 곳은 단설로 같은 물천위이지만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이것은 진설배열과 함께 가가체로 지켜져 내려 오는 것이라 하겠다. 양가 모 두 기제사 때보다 차려지는 제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양도 많았다. 떡, 煎, 자반, 炙 및 나물 과 과일 등이 차려졌다. 여전히 제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양념은 매우 제한되고 있으며, 또한 이용할 수 있는 채소의 종류는 가정마다 다양하게 다르게 제한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 적이다. 사용되는 식품의 종류는 전통적으로 답습해오고 있음에 비추어, 과일은 매우 최근에 수입된 외래종의 것도 모든 가정에서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유교식 제 사의례는 시대에 따라 거의 변화됨이 없이 지켜져 내려 오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