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Gold Earring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in Seokchon-dong in Seoul

석촌동 고분군 출토 금제이식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 Kim, Yeseung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Seoul Backje Museum) ;
  • Jeong, Seri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Seoul Backje Museum) ;
  • Lee, Dahye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Seoul Backje Museum) ;
  • Jang, Minkyeong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Seoul Backje Museum) ;
  • Kim, Naeun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Seoul Backje Museum) ;
  • Yang, Seok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Received : 2021.10.01
  • Accepted : 2021.10.28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Seoul Baekje Museum has been conducting excavations at the Ancient Tomb Complex in Seokchon-dong, Seoul (Historic Site No. 243), known to be tomb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during the Hanseong period of the Baekje Kingdom. In this study, gold earrings that were revealed during the excavation underwent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Stereo microscopy, SEM, X-ray imaging, CT, and XRF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intern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earrings as well as their production metho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ain hoops of the gilt-bronze earrings were made of copper cores gilt using mercury amalgamation.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hexahedron in the middle pendant was made by connecting small rings using molten gold powder, and the pendant sphere at the end was formed by soldering two hemispheres. As for the two thin-hoop earrings, they showed similar surface compositions but were made using different methods, with one made from a copper core wrapped with a gold plate and the other made by bending a gold rod. The gold content varied depending on the item and the place of measurement, but overall the earrings showed a relatively high gold content of approximately 19 to 21K. The purity of the golden earrings and the sophisticated manufacturing techniques applied indicate the high status of the buried person and of the tomb complex in Seokchong-dong.

한성백제박물관에서는 백제 한성기 대표적인 왕실과 중앙세력의 분묘군으로 알려진 사적 제243호 석촌동 고분군의 학술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출토된 금제이식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실체현미경 관찰, SEM, X-선 촬영, CT, XRF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유물 특성, 내부 구조와 성분 등을 확인하고 제작 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금동이식의 주환은 동심재에 수은 아말감 금도금하였고, 중간식의 육면체는 금 분말을 용융시켜 소환을 이어 붙였으며 수하식 구체는 반구체 두 개를 땜하여 붙인 것을 확인하였다. 세환이식 2건은 표면 성분이 서로 유사하지만 동심재에 금판을 감싸 제작한 것과 금봉을 구부려 제작한 것으로 제작기법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금 함량은 유물에 따라, 측정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약 19~21K로 비교적 높은 금 함량을 보이며 정교한 공예기술로 만들어진 이식이라는 점에서 피장자의 우월적 지위와 석촌동 고분군의 위상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도와주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신용비 선생님, 고수린 선생님, 양석진 선생님, 박진호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이한상, 백제이식에 대한 기초적 연구, 호서고고학회 3, p23, (2000).
  2. 한송이, 익산 왕궁리 유적 출토 금제품의 화학 조성과 제작 기술,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 논문, p1, (2006).
  3. 백승희, 출토 금동유물의 표면색에 따른 금합금비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 논문, p1, (2003).
  4. 최기은, 비파괴 분석법을 활용한 무령왕릉 및 백제지역 금제품의 제작 특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5. 조현경, 조남철, 이훈, 서산 부장리 유적 출토 이식의 제작기법 및 위세품적 성격에 대한 고찰, 문화재 43(3), p282-305, (2010). https://doi.org/10.22755/kjchs.2010.43.3.282
  6. 한성백제박물관, 서울 석촌동 고분군I, 한성백제박물관 유적조사보고 6, p64, 한성백제박물관, 서울, (2019).
  7. 한성백제박물관, 2019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p3-4, 한성백제박물관, 서울, (2019).
  8. 유혜선, 경주 계림로 14호분 장식보검 금립의 접합방법에 관한 고찰, 박물관보존과학 16, p4-13, (2015).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5.16.0004
  9. 조현경, 전유리, 어지은, 조남철, 부여 합정리 유적 출토 백제이식의 과학적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13, p71-80, (2012).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2.13.0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