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and Production Method on the gilt-bronze-and-silver sho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무령왕릉 출토 금동은제식리 보존처리 및 제작기법

  • Received : 2021.10.01
  • Accepted : 2021.10.28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e gilt-bronze-and-silver sho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revealed many defective parts, which constantly raised in-depth re-investigation and reporting. In that point, scientific treatment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pplied.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an emphasis on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joining parts. As a result, the upper part of the right shoe and some part of the back heel were joined, confirming the joining method and the number of rivet used for instep bonding. From the component analysis, it is presumed that the outer plate was gilded with mercury amalgam on pure copper, and pure silver was used for the inner plate. The main pattern of the gilt-bronze-and-silver shoes includes designs of phoenix, lotus, and six-petal flower, while the lotus pattern is high in terms of ratio. Thus, youngnaksa(twisted gilt-bronze thread), geumdongsa(gilt-bronze thread), wondujeong (rivet), and samyeonjeong(quadrangular cleats) were used for bonding each plate. Twisted gilt-bronze thread was used to join the inner and outer plates, while the center and rear of the inner plate were combined with only gilt-bronze threads. From the fact, it is presumed that the joining method was different whether the function was decoration or just bonding. Regard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races of burnishing were confi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ilt-bronze and silver shoes, but no burnishing traces were identifi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lver plate, which is likely to prove more importance put on the finishing of the outer plates rather than that of the inner.

금동은제식리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의 식리로 결실된 부분이 많아 재조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과학적인 보존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여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보존처리는 형태 복원 및 편 접합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측 식리 상연과 뒤축 일부 편을 접합하여, 결합방법 및 발등 결합에 사용된 원두정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성분 분석결과, 외판 등은 순동에 수은 아말감 금도금을 한 것으로 추정되며, 내판은 순은을 사용하였다. 금동은제식리의 주문양은 봉황문, 연화문, 6엽 화문이며, 전체적으로 연화문의 비율이 높다. 각 판의 결합은 영락사, 금동사, 원두정, 사면정을 사용하였다. 내·외판 결합은 영락사를 사용하였는데, 내측판의 중앙과 후면에는 금동사로만 결합하여 장식 기능과 결합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제작과정에서 금동제판과 은제판의 외면에는 광쇠질한 흔적이 확인되지만, 은제판의 내면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내면보다 외면의 마무리에 중점을 둔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申英浩, 武寧王의 金銅製 신발에 대한 一考察, 고고학지 11, p77~94, (2000).
  2. 이귀영, 백제 금속공예 제작기법의 전개양상, 百濟學報 2, p155~184, (2009).
  3. 이문형, 제작기법과 문양을 통해 본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 중앙고고연구 18, p67~98, (2015).
  4. 이현상, 백제 식리의 원형복원을 위한 주변국 식리와의 비교 연구, 百濟學報 24, p203~237, (2018).
  5. 주경미, 무령왕릉 출토 금속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무령왕릉,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p93~128, (2020).
  6. 이한상, 무령왕릉 출토 금동식리 재검토,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무령왕릉을 다시보다', p53~71, (2021).
  7.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武寧王陵 發掘調査報告書, p23, 三和 出版社, 서울, (1974).
  8. 국립공주박물관, 사진으로 보는 武寧王陵 발굴, p154~155, 국립공주박물관, 공주, (2012).
  9. 이귀영, 百濟 金屬工藝技術史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p152~157, (2011).
  10. 강민정, 나주 신촌리 9호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기법과 고대기술재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석사학위논문, p5~6, (2018).
  11. 이문형.유수화,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방법과 문양-4호석실 출토품을 중심으로, 馬韓.百濟文化 25, p313~326, (2015).
  12.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발굴 50주년-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p206~224, 국립공주박물관, 공주, (2021).
  13. 박학수,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13, p59~69, (2012).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2.13.0059
  14. 이영범, 익산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관의 제작기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20, p1~12, (2018).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8.20.0001
  15. 김성곤, 비파괴 분석법에 의한 백제 금동관 재질 특성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23, p91~108, (2020).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0.23.0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