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Biometric Authentication When Using Mobile Easy Payment Service: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ersons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시 생체인증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험자와 비경험자 비교를 중심으로

  • Jae-Seung Ju (Department of Fintecch&Blockchain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Won-Boo Lee (Department of Fintecch&Blockchain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주재승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핀테크블록체인학과) ;
  • 이원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핀테크블록체인학과)
  • Received : 2021.04.09
  • Accepted : 2021.08.06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In the newly encountered economy caused by the Corona virus Disease-19, remote transaction becomes a new normal that disrupt traditional economic order. In the middle of the disruption, mobile tech is placed and remote finance on mobile is highly noticed and considered as an infra-tech to support the new ecology, In mobile finance. remote payment is becoming the most common service and personal identification on it is critical to operate the new service. There are various means of remotely identifying a person. Recently the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is increasing. In this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factors that effects to biometrics usage and the intention to use in remote personal identification. Variables for critical factor in the remote identification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such a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Security.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was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intention to use is also analyzed. In the study,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ur times in which variables were adjusted in individual stage. As a result, the analysis suggests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security have positive effects for intention to use. Additionally, effort expectancy and security have moderating effects to intention to use depends on biometric authentication experience. The analysis has shown positive effect of variables grouped on the intention to use them. It also suggests that the intention to use biometric authentication will quickly grow.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utilize and improve the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in mobile payment.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환경 속에서 모바일 간편결제가 확산하고 있다. 모바일 결제 시 본인 인증을 위해 다양한 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생체정보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정보 사용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과 사용의도에 대한 상관 분석을 하였다. 요인별 변수를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및 보안성으로 구분하고, 사용의도와의 연관성 파악을 위해 통합기술수용이론을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변수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단계적 회귀분석을 총 4회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제시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보안성 등이 모두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노력기대와 보안성은 생체인증 경험여부에 따라 사용의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생체정보의 효과적 활용과 기술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희,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기반으로 간편결제 서비스 수용의도와 이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016.
  2. 권영모,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1권, 2015, pp. 529-549.
  3. 권오준, 오재인, 서현식, "기술수용모형과 기술사용자 수용의 통합이론을 이용한 공공부분 SC 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제1권, 2008, pp. 680-688.
  4. 금융결제원, "바이오인식 기술의 금융서비스 적용 현황 및 발전과제", 2014.
  5. 김기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사용의도 및 사용행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2018.
  6. 김수엽, 결제 서비스에서 생체인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7.
  7. 김아영, 새로운 전자인증 서비스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 금융서비스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17.
  8. 김영채, "모바일 특성과 IT 특성, 그리고 관여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패션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12권, 제2호, 2011, pp. 551-574.
  9. 김은비, 양흥석,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품질 및 기업 명성이 고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환장벽의 조절적 작용", 서비스연구, 제7권, 제2호, 2017, pp. 17-41. https://doi.org/10.18807/JSRS.2017.7.2.017
  10. 김익재, "생체인식 기술 동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8.
  11. 류승완, 홍무궁, 이주경, "생체인증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사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제35권, 제4호, 2018, pp. 65-86.
  12. 박일순, 안현철, "UTAUT 기반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3호, 2012, pp. 551-574. https://doi.org/10.15719/GEBA.13.3.201209.551
  13. 송지준, 논문통계의 이해와 적용:(SPSS와 AMOS를 활용), 21세기사, 파주, 2019.
  14. 양승호, 황윤성, 박재기,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에 의한 핀테크 결제 서비스 사용의 도에 관한 연구", 경영경제연구, 제38권 제1호, 2016, pp. 183-209.
  15. 오윤석, "생체인증 시장의 성장 및 전망", 정보통신방송정책, 제31권, 제3호, 2019, pp. 22-31
  16. 유일, 신선신, 소순호, "모바일뱅킹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 Management, 제13권, 제2호, 2006, pp. 67-86.
  17. 유재현, 박철,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Technology, Vol.9, No.2, July 2010, pp. 31-50.
  18. 육모세, 김희연, 심혜린, "생체인식기술 기반 개인인증수단에 따른 사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6, pp. 11-19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011
  19. 이기혁, "생체인증현황 및 FIDO전망",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pp. 101-117.
  20. 이범근, 고속 홍채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1. 이석희, 생체정보를 활용한 무매체 간편결제 시스템 활용 모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20.
  22. 임송식, "생체인증 3.0시대'의 당면 과제", KDB산업은행 이슈브리프, 2019, pp. 5-6.
  23. 임윤화, "포스트 코로나, 비접촉식 결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생체인증 채택", 여신금융연구소-해외여신금융동향, 2020.
  24. 전새하, 박나래, 이중정,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0권, 제2호, 2011, pp. 97-112.
  25. 조소라, 남기표, 정대식, 신광용, 박강령, 신재호, "장파장 근적외선 조명 및 밴드 패스 필터기반 이동형 홍채 인식 시스템 및 성능 평가",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4권, 제9호, 2011, pp. 1125-1137.
  26. 하준석,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7.
  27. 한국은행, 2017 지급결제보고서, 2018.
  28. 한국은행, 2018 지급결제보고서, 2019.
  29. 한국은행, 2019 지급결제보고서, 2020.
  30. 한국은행, 우리나라의 지급결제제도, 2009.
  31.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국내 정보보호사업실태조사", 2019.
  32.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동향과 시사점", 2020.
  33. 한동균, 핀테크 수용 및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5.
  34. 한혜연, "ICT와 생물학의 융합, 생체인식 기술동향", KOTRA-해외시장뉴스, 2016.
  35. DB금융투자, "간편결제의 생얼․한은 통계분석", 2020.
  36. Baron, R. M.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1986, pp.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7. Davis, F. D.,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1989, pp. 982-1003.
  38. Hu, P. J., P. Y. K. Chau, O. R. L. Sheng, and K. Y. Tam, "Examin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sing Physician Acceptance of Telemedicine Technolog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7, No.2, 1999.
  39. Lu, Y., S. Yang, P. Y. K. Chau, and Y. Cao, "Dynamics between the trust transfer process and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services: A cross-environment perspectutiv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8, No.8, 2011, pp. 393-403.
  40. Venkatesh, V., J. Y. Thong, and X. Xu,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Vol.36, No.1, 2012, pp. 157-178. https://doi.org/10.2307/41410412
  41. Venkatesh, V.,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27, No.3, 2003, pp.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42. Zhang, L., J. Zhu, and Q. Liu, "A meta-analsis of mobile commerce adop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e",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28, No.5, 2012, pp. 1902-1911. https://doi.org/10.1016/j.chb.2012.0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