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글로벌 경쟁의 시대에 기술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기업이 품질로 제품을 구별하는 것은 실제로 어렵다[1]. 최근 사람들은 브랜드 이미지의 전략적 역할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강한 인지도와 자신의 브랜드와의 강한 연관성을 통해 확립된 브랜드 자산은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다[2]. 따라서 브랜드의 중요성은 단순한 마케팅 도구가 아니라 고객과의 소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브랜드 이미지를 잘 전달하면 브랜드의 위치를 확립하고 다른 경쟁 업체와 격리시키며 브랜드의 시장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3][4]. 브랜드의 장기적인 성공은 마케팅 담당자가 브랜드 의미를 선택하고, 이미지의 형태를 조작하고, 시장에 진입하기 전에 지속적으로 이 미지를 유지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5]. 또한 브랜드 이 미지는 매출, 시장 점유율, 수익 등의 실제 자산과 연관되어 있으며 동시에 소비자에게 노출된 브랜드 이미지 가 강하고 좋은지, 고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따라 무 형의 고객 자산을 가져온다[6][7].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은 제품 품질 특성에 대한 충분한 식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일반 소비자를 위해 구매 동기와 관련된 제품 결정 기준을 제공하며 기업의 광고 활동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의 소비자로부터 기술적으로 동일한 두 제품을 구매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기 초로, 서로 다른 소비자로부터 구매하는 다른 이유를 발견하고 그에 따라 이미지를 강조하여 효과적인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8].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아이덴티티의 중요한 요 소로서의 컬러는 독특한 감성표현과 문화상징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전반에 지속적으로 사용된다면, 기업 및 브랜드의 고유한 표식의 일부가 될 수 있다[9]. 컬러의 올바른 사용과 컬러 감성의 합리적인 표현은 제품의 상업적 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재구축할 수 있다[10].
심벌과 컬러는 브랜드를 구별하고 인식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컬러는 브랜드의 선호도를 결정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한다[11]. 컬러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와 커뮤니케 이션 과정에서 강력한 역할을 할 수 있다[12].
기존 연구 대부분은 기업 브랜드의 태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러지만 한국과 중국 브랜드의 컬러 비교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기 때문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기업 브랜드의 컬러 특성을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브랜드 컬러에 대한 응용분석을 통하여 브랜드를 개발할 때 컬러의 중요한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고자 한다.
2. 연구대상 선정
본 연구는 브랜드와 컬러의 상관성과 브랜드 마크 유 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컬러 특성을 분석했으며 연구 대상으로 영국에 기반을 둔 세계적인 브랜드 조사 기관 인터브랜드 1가 선정한 인터브랜드 선정 2019년도 세계 한국과 중국의 TOP 50 기업 브랜드 [표 1]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표 1. 한국과 중국 브랜드 TOP 50
(Interbrand, 2019)
100개 브랜드 디자인 중 나타나는 컬러·로고 타입·브랜드 이미지 형태 등 세분화된 이미지를 조사하고 기업은 브랜드 컬러와 이미지를 중요한 핵심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분석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1. 브랜드 이미지
Aaker와 안길상 등은 브랜드 이미지를 의미를 지닌 조직화된 연상들의 집합으로서 단순한 여러 연상들의 집합이 아닌 그 연상들이 갖는 의미들의 그룹들로 조직화 된 브랜드 연상들의 유기적 집합이라는 것을 제시하 였다[13][14]. Keller[15]는 소비자를 기반으로 하는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브랜드에 의미를 부여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연의 호감, 강도, 독성으로 구성된 브랜드 연상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16].
기업은 브랜드를 이용하여 제품의 개성과 아이덴티티(identity)를 창조하고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 자기 회사의 제품을 식별한다[17]. 기술의 발달로 제품의 품질이 평준화되었고, 경쟁이 치열한 현대 사회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강조되어왔다[18].
2. 브랜드 이미지와 컬러
브랜드 컬러는 단순한 컬러가 아니라 소비자가 인지하고 브랜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불확실한 컬러를 의미하며, 기업이나 제품에 고유한 컬러가 있다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브랜드 요소이다[19]. 브랜드에 있어 시각적 요소 자체는 로고, 심벌 등과 같은 컬러의 상징이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컬러를 통한 전달하며 이 컬러의 영향력이 크다[20]. 브랜드 이미지는 창의나 구체적인 전체를 표현하는 하나의 상징으로서 어떤 의의와 소통을 전달하는 것이다[8]. 예들 들어 우리가 초록색을 보면 대숲을 떠올리고, 붉은색을 보면 사랑을 떠올리며, 푸른색을 보면 푸른 하늘을 떠올리듯 상징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작용을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에도 적용하는 것이다.
브랜드 컬러를 올바른 사용은 소비자의 브랜드 연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21].
컬러는 브랜드 홍보의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기업의 발전에 따른 제품을 차별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컬러는 하나의 경영 전략이며, 기업의 경영 철학과 브랜드 목적을 결합하는 의미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 이다[22].
또한 컬러는 브랜드의 첫인상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브랜드 고유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브랜드와 기업의 이미지를 상승시켜 준다[23]. 이것은 컬러마다 의미와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강렬한 감정을 만들 수 있고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3. 브랜드 이미지 개성
브랜드 개성의 개념을 정리하며 브랜드 개성은 인간 의 특성을 지닌 브랜드 속성의 표현이고 성별, 연령, 사회 집단, 개성 등 인간과 관련된 특성 변수가 포함되어 있고 브랜드와 관련된 개성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24]. Plummer[25] 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브랜드 이미지의 한 요소로 설명하였으며 Marks와 OOlden[26]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하나의 브랜드 내면의 특징을 묘사한 특별한 의미의 집합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Keller[16]는 사용자와 이미지의 속성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한 범주로 정의했으며 브랜드의 개성은 소비자에게 무형의 가치를 제공하는 혜택의 근원으로 해석되고 있다.
김수정 등[27]은 컬러는 각각이 지니는 컬러 이미지로부터 감성적 이미지 표출이 유리한 특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체계화된 객관적 표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랜드 개성 관점에서의 브랜딩의 전략적 관리 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브랜드의 컬러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중 양국의 브랜드 개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4. 브랜드 행태
브랜드마다 개념과 행태가 다르다. 기업은 브랜드의 독특한 형태를 통해 브랜드의 개념이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민영[28]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시각이나 촉각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형태는 생물이나 무생물과 마찬가지로 자연적 모티브와 사람이 만들어 만든 인공물 같은 인공적 모티브로 나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연적 모티브와 인공적 모티브를 분류하여 한중 양국의 브랜드 형태의 차이를 탐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들에 조사를 통해 현재 학술계와 업계는 뉴미디어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뉴미디어 환경에서 국가 간의 브랜드 컬러 연구가 비교적 적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컬러에 대한 데이터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브랜드 개발 방식을 더 잘 발견하고 미래의 발전 공간을 탐구하는데 이론적 의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5. 연구문제
본 연구는 2019년에 발표된 한국 및 중국 상위 50개 브랜드의 컬러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HSB Color System과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각 브랜드의 데이터화를 과학적으로 비교한다. 또한, 한국과 중국 브랜드의 컬러 디자인 차이와 브랜드 컬러가 나타내는 개성 차이를 분석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브랜드 컬러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브랜드 컬러의 디자인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연구를 위한 추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문제1: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의 형태가(자연적 모티브/인공적 모티브) 어떠한가?
연구 문제2: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사용한 컬러 개수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3: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컬러 색상/채도/명도의 차이가 어떠한가?
연구 문제4: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컬러 개성의 차이가 어떠한가?
Ⅲ. 연구 방법
기존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디지털 방식을 통해 Adobe Photoshop 프로그램으로 도입해서 HSB Color System을 이용하여 각 브랜드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데이터를 도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I.R.I 감성척도(컬러 이미지 스케일)를 통해 도출한 데이터를 감성적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브랜드 이미지 개성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1. HSB color system
본 연구에서는 컬러 데이터 도출을 위해 HSB Color System을 사용하였다. [그림 1]과 같은 HSB Color 컬러 이미지의 System이 색의 3요소인 색상, 채도, 명도를 나타내는 컬러 시스템으로서 사람이 컬러에 대해 느끼는 감성을 표현하기에 가장 용이한 컬러 시스템이다[29].
그림 1. HSB color system
HSB color system은 보통 이미지의 컬러 교정을 할 때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하다[30]. 3요소 중에서 색상(Hue)은 바로 순수한 색, 즉 가시스펙트르를 구성하고 있는 단색으로서 0°에 RED, 60°에 YELLOW, 120°에 GREEN, 180°에 CIAN, 240°에 BLUE, 300°에 PURPLE이 위치하여 하나의 색환을 이룬다. 이건 기본적으로 RGB 스타일의 풀 컬러이다. 채도(Saturation)는 0에서 100 사이의 숫자이다. 따라서 어떤 색깔을 선택하든 100%의 채도가 가장 풍부한 버전이 되고, 0%의 채도가 회색 버전이 된다. 명도(Brightness)는 0에서 100 사이의 숫자이다. 채도와 마찬가지로 때때로 백분율로 표시되고 0% 밝기는 채도나 색조와 상관없이 검은색이다. 100% 명도는 채도가 0%인 경우에만 흰색이다. 그렇지 않으면 100% 밝기는 매우 밝은 색이다.
2.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
다양한 색깔의 색조 체계를 개발하면서 한국인의 감각을 실행하면서도 세계적으로 범용 되는 공통점을 고려해 개발된 것으로 최근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단색, 배색, 형용사 이미지의 공간은 세로 방향으로 부드러운(Soft), 단단한(Hard), 세로 방향 동태 (Dynamic), 정태(정적)의 동일한 표준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 내에서 단색, 배색, 형용사는 각각 고유의 위치가 있다[31]. 따라서 추상적 이미지를 구체적인 색상으로 바꾸고 구체적인 컬러를 추상적 개성으로 전환시켜 해석 할 수 있다[그림 2][그림 3][그림 4].
그림 2. IRI 단색 IMAGE SCALE
그림 3. IRI 배색 IMAGE SCALE
그림 4. IRI 형용사 IMAGE SCALE
3. 자료수집 과정의 타당성 검토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컬러 특징을 더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순위 상황에 따라 업체별 홈페이지에서 업체 브랜드의 CI(Corporate Identity System)[32] 파일을 다운로드하였다. 각 기업 브랜드 수년간 일한 전문가와 중국 대학교의 교수를 초청하였다. 이 두 명 전문가는 15일 동안 Adobe Photoshop 프로그램과 HSB Color System을 이용하여 브랜드별 원시 데이터를 분석했다.
Ⅳ. 조사 결과 및 분석
1. 브랜드 이미지 형태적 분석
연구 문제1에서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의 형태가 어떠한가에 대한 본 연구에서는 이민영(2017)에 참고하여 분석기준은(자연적 모티브, 인공적 모티브)을 인용하여 브랜드 이미지의 형태적 분류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다[표 2].
표 2. 브랜드 이미지 형태적 분석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의 경우 자연 모티브가 11개 (22%) 로 나타났으나 인공모티브가 39개(78%)를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의 경우 자연 모티브가 9개 (18%) 로 나타났으나 인공모티브가 41개(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결과는 거의 같으며 2019 TOP50 브랜드 이미지는 모두 인공모티브를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2. 브랜드 이미지 사용 컬러 수 분석
연구 문제2에서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사용한 컬러 개수가 어떠한가에 대한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에서 사용되는 색상의 수도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앞서 수집한 분석 대상의 브랜드 이미지들을 컬러의 수에 따라 분석하였다[표 3].
표 3. 브랜드 이미지 사용 컬러 수 분석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 컬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컬러 수는 2가지(한국: 21개/42%; 중국: 27개/54%) 이고, 두 번째는 1가지(한국: 18개 /36%; 중국: 16개/32%)가 많이 되었음을 볼 수 있다.
3.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 컬러 특성
연구 문제3에서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컬러 특성의 차이가 어떠한가에 대한 한국과 중국 브랜드 이미지의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의 색상, 채도, 명도 그리고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의 채도 차이, 명도 차이를 HSB Color System으로 데이터화하였다. 다량의 분산된 데 이 터를 분석하기 위해 색상(H), 채도(S), 명도(B)의 변량을 다음과 같은 폭의 계급으로 구분한 후 각 도수를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냈다[표 4][표 5].
표 4. 데이터 분석 위한 단위
표 5. 브랜드 이미지 색상, 채도, 명도 분석 결과
3.1 한국 2019년 TOP50 브랜드 이미지 컬러 특성
1) 색상(Hue)
한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경우 심벌마크는 무채색과 BLUE의 사용이 많고 RED, YELLOW, GREEN 순으로 나타났다. 워드마크는 무채색의 사용이 많고 적은 유채색의 경우 BLUE, RED 순으로 도수가 분포하였다.
2) 채도(Saturation)
한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채도 분석 결과 심벌마크는 60% 이상이 91∼100(%)에 분포하였다. 워드마크는 제일 높은 채도(91∼100%)와 낮은 채도(1∼10%))의 컬러가 70% 이상으로 사용하였다.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의 채도 차이에는 데이터가 양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은 가장 높은 채도와 가장 낮은 채도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명도(Brightness)
한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명도사용은 심벌마크의 경우에는 중고명고(51∼100%)의 80% 이상으로 분포하고, 워드마크의 경우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의 명도 차이에 있어서는 1-10%와 31-40% 분포를 나타내며 나머지는 비슷하게 분포를 볼 수 있다.
3.2 중국 2019년 TOP50 브랜드 이미지 컬러 특성
1) 색상(Hue)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경우 심벌마크는 무채색의 사용이 적고 많은 유채색의 경우 BLUE, RED 순으로 나타났다. 워드마크는 무채색의 사용이 많고 적은 유채색의 경우 BLUE, RED 순으로 도수가 분포하였다.
2) 채도(Saturation)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채도 분석 결과 심벌마크는 대부분 채도가 높은 컬러(81∼100%) 80% 이상에 분포하였다. 워드마크는 제일 높은 채도(91∼100%)와 낮은 채도(1∼10%))의 컬러가 75% 이상으로 사용하였다.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의 채도 차이에 있어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채도 차이(대비)는 데이터가 양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은 가장 높은 채도와 가장 낮은 채도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명도(Brightness)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명도사용은 심벌마크의 경우에는 중고명고(51∼100%)의 85% 이상으로 분포하고, 워드마크의 경우 제일 높은 채도(91∼100%)와 낮은 채도(1∼10%))의 컬러가 50% 이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의 명도 차이에 있어서는 1-10% 분포를 많이 사용하고 11-100% 구간이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3.3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 컬러 특성 비교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의 색상 특성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심벌마크와 워드마크에서 주로 무채색을 사용한 반면, 중국의 심벌마크는 무채색의 사용이 적고 워드마크는 무채색을 많이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채도의 특성 비교에서 한국과 중국은 모두 제일 높은 채도와 제일 낮은 채도를 많이 사용하지만 중국은 한국보다 조금 더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명도의 특성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심벌마크는 중고 명도를 많이 사용하였고, 워드마크는 한국이 상대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는 반면, 중국은 양극화된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4.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컬러로 개성의 차이
연구 문제4는 한국과 중국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 컬러로 개성의 차이가 어떠한가에 대한 국가적 특성과 컬러 감성 척도에 적용하여 나타난 컬러 이미지 분석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6].
표 6.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 컬러로 개성의 차이
한국의 경우 한국 디자인은 아시아에서 매우 인기가 있으며 광고나 제품 디자인에 사용되는 배색은 대중에게 생기 있고 귀엽고 세련된 개성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고귀여운’, ‘고상한’, ‘점잖은’ 국가적 특성을 지니게 한다.
중국은 전통적인 색의 사용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두꺼운 색은 항상 중국인에게 가장 좋아하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중국 배색은 대중에게 ‘다이나믹한’, ‘모던한’, ‘경쾌한’ 개성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2019년 한국과 중국 TOP50 브랜드의 브랜드 이미지 컬러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한국과 중국 기업이 브랜드 디자인에 컬러 특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브랜드의 컬러 뒤에 구현된 개성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결과와 향후 연구의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시각적 방법과 달리 Adobe Photoshop 프로그램과 HSB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화 후각 브랜드 이미지의 컬러를 분석한다. 브랜드 이미지 데이터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브랜드 이미지 형태의 비교를 통해 한국과 중국 기업의 70% 이상이 브랜드 디자인에서 인공적인 모티브 유형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디자인 트렌드는 창의적인 추상 이념을 알 수 있다.
컬러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브랜드의 색상, 채도, 명도 3차원을 비교한다. 한국과 중국 브랜드는 모두 BLUE, RED 계열의 색상 사용이 주를 이루지만 브랜드 이미지의 워드마크는 한국이 무채색을 더 많이 사용하고 중국은 무채색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채도 차원에서 한국과 중국의 심벌마크가 다 높은 채도를 사용하고 워드마크는 가장 높은 채도와 가장 낮은 채도를 많이 사용하는 특성을 볼 수 있다. 명도 차원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이미지 심벌마크가 80% 이상이 중고 명도를 사용한다. 그러나 워드마크의 분포는 한국이 각급 명도 상대적으로 고르게 사용한 반면 중국은 가장 높은 명도고와 가장 낮은 명도를 더 많이 사용하는 특성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을 사용하여 각 브랜드의 컬러에 대한 추상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양국 브랜드 디자인의 개성을 파악하였다. 한국 브랜드의 전체적인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활기차고 고상하며 따뜻한 개성을 볼 수 있고 중국 브랜드의 전체적인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엄숙하고 현대적이며 세련된 개성을 알 수 있다.
원은아(2014)는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브랜드 컬러와 형용사를 자세히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한국의 컬러는 RED와 BLUE 계열을 많이 사용하였며 중국의 경우 RED, GREEN, BIUE 계열의 컬러가 사용되었고 일본의 경우 RED와 BLUE 계열에 집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3개 국가 형용사 분석 결과는 한국의 경우 ‘모던한’, ‘경쾌한’의 형용사가 도출되었고 중국의 경우 ‘세련된’, ‘경쾌한’, ‘모던한’의 형용사가 도출되었으며 일본의 경우 ‘모던한’, ‘다이내믹한’, ‘화려한’, ‘경쾌한’의 형용사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 본 연구의 결과와 대부분 일치하다[33].
본 연구는 기업이 자신의 브랜드 이미지를 디자인할 때 자체 제품의 특성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의 색상이 가져오는 소비자의 감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연구에서는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을 적용하여 한중 기업의 브랜드를 비교했으며 브랜드 뒤에 있는 다른 개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은 현재 한국에서만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 및 기타 국가에서는 관련 개발 및 사용을 수행하지 않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에 실무적인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업이 자체 브랜드 런칭과 제품 개발 시 컬러 선택에 있어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을 기준으로 BLUE, RED 계열을 활용하고 중간 및 높은 명도와 채도를 선택함이 필요하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1-2가지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형태 디자인에 창의적인 인공 모티브 디자인을 활용이 효과적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브랜드 컬러 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새로운 측정 방법을 찾아야 하며 브랜드 컬러에 대한 연구는 더 깊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터브랜드가 기업 매출 등의 요인에 의해 발표되는 연간 50대 브랜드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또한, 국가별 브랜드 이미지의 디자인 이념과 트렌드가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다른 수준에서 더 많은 측정 도구를 찾아내고 다양한 관점에서 브랜드 컬러를 분석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고립위, 김준교, "브랜드의 다차원(미각, 시각, 언어) 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4호, pp.137-150, 2013.
- W. Dodds, K. Monroe, and D. Grewal,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8, No.3, pp.307-319, 1991. https://doi.org/10.2307/3172866
- C. W. Park, B. J. Jaworski, and D. J. Maclnnis,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Journal of Marketing, Vol.50, No.4, pp.135-145, 1986. https://doi.org/10.2307/1251291
- A. D. Shocker and V. Srinivasan, "Multiattribute Approaches for Product Concept Evaluation and Generation: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No.2, pp.159-180, 1979. https://doi.org/10.2307/3150681
- 권기대, 김신애,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실태와 성공요인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제38권, 제4호, pp.1007-1031, 2011.
- 김유경, "브랜드 이미지 유형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커뮤니케이션 요인에 관한 연구: I-PRos의 영향과 광고 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5권, 제4호, pp.155-184, 2004.
- B. F. James, M. C. Louis, and L. A. Bruce, "The Effect of Brand Attitude and Brand Image on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Summer, pp.61-75, 2001.
- 한백진, 남지아, "기업의 브랜드 디자인 컬러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인터브랜드 선정 2009 세계 100대 기업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8권, 제2호, pp.63-74, 2010.
- S. Alex, and H. S. Bernd, "Marketing Aesthetics: The Strategic Management of Brands, Identity, and Imag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6, No.4/5, pp.514-515, 1999.
- K. L. Keller, "Building strong brands in a modern marketing communications environment,"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Vol.15, pp.139-155, 2009. https://doi.org/10.1080/13527260902757530
- V. singh, Color Design for the web, Massachusetts: Rockport Pub, 2001.
- 이현주, 홍영일, "국내 스마트폰 오픈마켓 앱에 나타난 브랜드 컬러 활용에 관한 연구: 11번가, G마켓, 옥션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2호, pp.249-262, 2015.
-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The Free Press, 1991.
- 안길상, 이재록, 민경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애호도의 구조적 관계," 광고연구, 제69호, pp.115-137, 2005.
- K. L. Keller,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Vol.10, No.2, pp.15-19, 2001.
-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https://doi.org/10.2307/1252054
- 유영진,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19-33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319
- 김화연, 이형룡, "서비스 직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체인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0권, 제2호, pp.69-88, 2011.
- 신윤천,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요소," 한국마케팅연구원, 제46권, 제7호, p.43, 2012.
- 이진희,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54-1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154
- 리신, "중국시장 차 음료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이미지 평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185-19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185
- 최슬기, 황수영, 김우정, "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가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브랜드 커피전문점 스타벅스, 커피빈, 파스쿠찌, 투썸플레이스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2권, 제3호, pp.25-33, 2008.
- 오승희, 최진희, 한귀연, "공간 사용 색채 분석을 통한 브랜드의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2호, pp.39-50, 2014.
- J. L. Aak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No.3, pp.347-356, 1997, https://doi.org/10.1177/002224379703400304
- J. T. Plummer, "Brand Personality: A Strategic Concept For Multinational Advertising. in Marketing Educators' Conference," NY: Young and Rubicam, pp.1-31, 1985.
- L. J. Marks and J. C. Olson, "Toward A cognitive structure conceptualization of product familiarit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8 No.1, pp.145-150, 1981.
- 김수정, 윤형건, 이현수, "브랜드 개성을 나타내는 웹사이트 컬러에 관한 연구 Global Top Brands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1-13, 2003.
- 이민영, "서울시 자치구 심벌마크 아이덴티티의 형태론적 상징 유형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19-628, 2017.
- 황태영, 이동재, "컬러 이미지의 HSB색상 정보를 활용한 음악적 선율 추출 알고리즘 제안,"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논문지, 제4권, 제1호, pp.91-104, 2012.
- 김정은, 이소연, 박경원, 성이용, 이상호, "옥외 광고물의 색채디자인에 따른 가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1호, pp.7-14, 2004.
- http://www.iridesign.co.kr
- 김영석, "기업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 CI)와 제품사용자의 기업 선호도와의 관계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pp.351-362, 2013.
- 원은아, 한.중.일 국가 이미지 제고 활동 웹사이트 나타난 색채 비교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