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순천만국가정원 내 작가 정원의 식재 사례 분석을 통해 식재 설계의 경향성을 발견하여 향후 정원 식재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목 위주의 식재 관행이 여전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후박나무, 스트로브잣나무와 같이 크게 자라는 교목 식재는 정원의 규모(150~390㎡)를 압도하고 있었다. 둘째, 수종 선정은 수목의 생리·생태적 조건을 우선으로 고려하기보다 작가의 의도나 장식적 효과를 우선 고려하여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초본류 가운데는 다년생 초화류의 식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개화기로 분류한 초화류는 여름꽃 식물이 가장 많았고,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화류의 화색은 황색, 백색, 청색, 적색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장은 중 초장(20~60cm)의 초본류(47.4%)가 가장 많이 식재되었다. 일곱째, 정원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적 식물은 주로 목본식물에 의존하고, 초점 식물은 주로 상록수를 활용하였으며, 중간 식물은 초본류를 주로 식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수종은 작가의 의도뿐만 아니라 대상지의 물리적·생태적 조건을 신중하게 고려해서 선정해야 정원의 질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둘째, 정원의 초점 식물, 중간 식물, 지피 식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초본류를 적극 식재하여 목본 중심의 식재 관행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겨울 경관을 고려하여 화색뿐만 아니라 열매나 줄기 등의 특징을 활용한 초본류 식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청색 계열, 흑색 계열의 초화류는 소량으로도 눈에 띄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적극적인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식물의 개체적 특성을 반영한 초본류 식재 설계를 위해서는, 목본 식재 설계와 같이, 개체를 독립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의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endency of planting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ting of designer's gardens in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garden planting desig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ractice of tree-based planting is still valid. Large growing trees such as 'Pinus densiflrora', 'Celtis sinensis', 'Zelkova serrata', 'Machilus thunbergii', 'Pinus strobus' overwhelmed the size of the designer's garden(150 to 390㎡). Second, the selection of trees tended to be made considering the designer's intention and the decorative effects rather than by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the site. Third, among the herbaceous, the rate of the planting of perennials was high. Fourth, the flowering period of planted herbaceous was the most common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fall, and winter. Fifth, the frequency color of the planted herbaceous was the most common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fall, and winter. Fifth, in terms of flower color frequency, the most common was the yellow-series, followed by red-series, blue-series Sixth, average height herbaceous plants(20~60cm) were planted the most(47.4%). Seventh, structural plants that determined the garden's framework depended on trees, and the focal plants mainly utilized were evergreen trees, and the midrange plants were the planted herbaceous plant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bov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o ensure the garden's quality and sustainability, the selection of tre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not considering only the artist's intention but also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and ecological conditions. Second, herbaceous plan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e garden's focal plants, midrange plants, and ground covers, so more active herbaceous planting needs to be considered.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winter landscape, herbaceous planting using characteristics, such as fruits and stems, as well as flower color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blue and black color herbaceous plants have a noticeable effect even in a small amount, so it is necessary to plant them actively. Fifth, for the design of herbaceous planting, where the individual property of plants can be expressed, the design method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