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ce' Projec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ies, Mathematical Abilities, and Creativity

'얼음' 프로젝트가 유아의 과학적 능력, 수학적 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유광재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0.10.15
  • Accepted : 2021.02.10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ce' project, a topic chosen based on children's interests to discover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and mathematical abilities, and creativity of four-year-old children. Methods: For this research, 34 four-year-old children from M childcare center were selected. Seventeen children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17 children were placed in the comparison group. After the project was completed, to observ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Results: First, the 'Ice' project had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cientific abilities and its subfactors. Second, the 'Ice' project had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algebraic and geometric mathematical skills. Third, excluding the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the 'Ice' project contributed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and all sub-facto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Ice' project activities, a subject chosen from the interests of children, led active play participation from children and brought positive effects in immersion of play and activity. Such effects proved to affect children's scientific abilities, mathematical abilities, and creativity, and sugges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e line data in follow-up research on various project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권유선, 최혜진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63-84.
  2. 김경숙, 김정준 (2017). 겨울 숲 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8(4), 85-106. doi:10.15854/jes.2017.12.48.4.85
  3.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4. 김정미 (2016). 예술적 경험을 통한 유아 과학 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8(3), 75-99. doi:10.15409/riece.2016.18.3.75
  5. 김준희, 김지현 (2019). 순환학습기반 수과학 통합 유아 목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과학적 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40(6), 15-29. doi:10.5723/kjcs.2019.40.6.15
  6. 김지현 (2012).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가정과 삶의질연구, 30(6), 115-127. doi:10.7466/JKHMA.2012.30.6.115
  7. 김판희, 임상도 (2001). 프로젝트수행방법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프로젝트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6(1), 173-197.
  8. 신미숙, 박성혜, 조형숙 (2009).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들풀프로젝트 활동의 적용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2), 299-324.
  9. 유승희, 성용구 (2013). 프로젝트 접근-레지오에밀리아의 한국 적용. 경기도: 양서원.
  10. 윤정희, 나귀옥 (2013). 겨울철 실외영역에서의 과학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33(6), 423-450. doi:10.18023/kjece.2013.33.6.018
  11. 윤정희 (2016). 자연놀이를 통한 유아의 과학개념 형성과정 탐색(연구보고 2014S1A5B5A07042236). 서울: 한국연구재단. 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0206&local_id=10081582에서 2020년 12월 1일 인출
  12. 이경민 (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3.
  13. 이기숙 (2000). 유아교육과정. 서울: 교문사.
  14. 이순형, 이소은 (2014).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5. 이윤영, 유영의 (2018).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20(3), 271-301. doi:10.15409/riece.2018.20.3.12
  16. 전민아, 조부경 (2017). 유치원에서의 벽화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9(3), 61-88. doi:10.15409/riece.2017.19.3.61
  17. 조미정, 안진경 (2009). 콩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631-639. doi:10.5934/KJHE.2009.18.3.631
  18. 조홍자 (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최진숙, 곽경화, 김영실 (2016).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상공간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와 수학적 성향 및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235-261. doi:10.20437/KOAECE21-2-10
  20. 홍순옥, 이홍란 (2003). 장난감 프로젝트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8, 81-96.
  21. 홍혜경 (2004).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경기도: 양서원.
  22. 황해익, 최혜진 (2007).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 경기도: 양서원.
  23. Katz. L. G. & Chard. S. C. (1993). The Project Approach. In J. L. Roopnarine & J. E. Johnson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nd ed. (pp. 209-222). New York: Merrill.
  24. Lind, K. K. (1999). Science in early childhood: Developing and acquiring fundamental concepts and skills. In AAAS (Ed.), Dialogue on Early Childhood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pp. 73-83). Washington, DC: AAAS.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 Martin, D. J. (2000).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2nd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27. Osborn, A. F.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New York, NY: Charles Scribner's Sons.
  28. Sperry-Smith, S. (1997). Early childhood mathematic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9. Torrance, E. P. (1990).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30. Urban, K. K. (1990). Recent treads in creativity: Research and theory Western Europe. European Journal for High Ability, 1(1), 99-113. https://doi.org/10.1080/09374459000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