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e of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and Inefficient Problem-Solving Teams Using SYMLOG Diagram Analysis

SYMLOG 다이어그램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문제 해결 팀과 비효율적인 문제 해결 팀의 특징 비교 연구

  • Jo, Han-ji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Hakseok (Kyunggi Smart High School) ;
  • Shin, Gyeong-Seo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lectric, Electronic & Communication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hoon (Dept. of Electric, Electronic & Communication Engineering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 이학석 (경기 스마트 고등학교) ;
  • 신경섭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기.전자.통신교육)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Received : 2020.10.27
  • Accepted : 2021.01.10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problem-solving teams and inefficient problem-solving teams using SYMLOG. In this study, 3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education at C university were organized into 7 teams and carried out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jects over one semes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am project, the top 2 teams were defined as 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and the bottom 2 teams were defined as in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m using SYMLO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SYMLOG from 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and in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elf-awareness and others' perception in terms of U(Upward)-D(Downward) dimension. Second, in the inefficient problem solving team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awareness and others' in the F(Forward)-B(Backward) dimension.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lf-awareness and others' in both efficient and inefficient teams at the P (Positive)-N(Negative) dimension. Fourth, an efficient problem-solving team had a clear leader, and there was a team member who supported the leader. On the other hand, the inefficient problem-solving team did not have a clear leader, or one person played the role of leader and there were no team members supporting the leader.

Keywords

References

  1. 곽유림(2010).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기능의 상관.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원대학교 대학원.
  2. 김경훈 외(2012).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 정책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도희(2007). 기업 관리자의 리더십 Feedback 도구에 관한 연구 : SYMLOG, 정서 역량, 리더십 역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4. 김미아(2016).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의 반복경험에 따른 고등학생의 문제해결 단계별 수행 경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5. 김미원.이희주(2016). 팀구성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1(4), 113-124.
  6. 김수진 외(2010). 문제중심학습의 학습효과 측정 도구 개발. 교육종합연구, 8(3), 221-239.
  7. 김용주.문양호.신응섭(2008). 학교장면에서 학생지도를 위한 SYMLOG의 활용 가능성 진단. 교육심리연구, 22(2), 479-496.
  8. 김지혜(2011). 팀 구성과 팀 특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9. 김태우(2009).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0. 김태훈(2007). 효율적.비효율적 문제 해결자의 기술적 문제 해결 과정 비교 분석.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11. 김태훈.김민웅.조한진(2015). 창작 로봇 제작 및 프로그래밍 활동에서 MBTI 이질 성향 팀 상호 작용 분석. 공학교육연구, 18(4), 26-33.
  12. 김태훈.조한진(2012). 기술적 문제 해결에서 MBTI 성격 유형과 팀 상호 작용 간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160-182.
  13. 김태훈.조한진.심영기(2013). 설계 문제 해결에서 팀 구성원의 MBTI 성격 유형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183-207.
  14. 김희선(1998). 조직 내 작업집단유형이 집단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SYMLOG 접근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5. 노연희.손영우(2012). 팀의 구성이 팀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다양성, 인지다양성 및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4), 861-887.
  16. 동아일보(2018). 기업들 '도전'보다 '소통형 인재' 원해. 2018. 8. 28일자.
  17. 박재호(1986). 기업조직 개발을 위한 경영 팀 진단에 관한 연구-소집단 연구의 방법론 SYMLOG를 중심으로. 성곡논총, 17, 189-227.
  18. 박재호(1998). 신장이론 SYMLOG: 이론적 측면과 응용적 측면. 인문연구, 10(1), 181-214.
  19. 변영계.김영환.손미(200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 서형업(2010). MBTI에 따른 모둠 구성이 창작로봇 제작 모둠의 창의성과 상호 작용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1. 송선희(2001). 인지수준에 따른 집단구성이 동료협동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5(4), 237-252.
  22. 신지연(2007). 집단창의성과 MBTI 와의 관계: 문화콘텐츠 기획집단을 중심으로.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2007(2), 1800-1807.
  23. 심영기(2014). 기술적 문제 해결 팀 활동에서 팀원이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상호작용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안정호.임지영(2012). 팀 성격구성과 팀 창의성 간의 관계.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2012(6), 147-147.
  25. 안정호.임지영(2013). 개별성-관게성 및 인지적 유연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 설계 관련 교과목의 협동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6(4), 3-8. https://doi.org/10.18108/JEER.2013.16.4.3
  26. 안정호.임지영(2014). 공학설계수업에서 팀 성격구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7(1), 50-56. https://doi.org/10.18108/JEER.2014.17.1.50
  27. 양동민.노현재.심덕섭(2012). 프로젝트 팀 내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이 팀 효능감과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 과업조정 및 업무분담의 매개효과 검증. 기업경영연구, 19(2), 127-147.
  28. 유지원(2014a).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 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89-110.
  29. 유지원(2014b).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팀 분위기와 공유정신모형의 영향. 평생학습사회, 10(4), 193-215.
  30. 이남섭(2012).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을 위한 기술적 문제해결활동 과제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31. 이영미(2015).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구성방식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363-386.
  32. 이태호.김태훈(2014). Capstone-Design 활동에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팀 상호 작용 변화 분석. 공학교육연구, 17(1), 57-64. https://doi.org/10.18108/JEER.2014.17.1.57
  33. 전영욱.김진모(2009). 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Andragogy Today, 12(4), 115-146. https://doi.org/10.22955/ACE.12.4.200911.115
  34. 조한진(2013). 공학 교육 전공 대학생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 간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35. 조한진 외(2016). 창작 로봇 제작 및 프로그래밍 활동에서 창의성 동질 및 이질 팀 구성에 따른 팀 상호 작용 분석. 공학교육연구, 19(5), 13-24.
  36. 차수지(2008). 조직 내 집단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직무만족 차이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37. Arthur, W. Jr., Bell, S. T. & Edwards, B. D.(2007).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omparativ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additive and referent-shift consensus operationalizations of team efficacy.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0, 35-58. https://doi.org/10.1177/1094428106287574
  38. Bales. R. F.(1983). Overview of the SYMLOG System. SYMLOG Consulting Group.
  39. Bales, R. F. & Cohen, S. P.(1979). SYMLOG: A System for the Multiple Level Observation of Groups. New York: Free Press.
  40. Carter, G. & Jones, M. G.(1994).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paired inter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fifth graders' concepts of bala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47-856.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7
  41. Lewin. K.(1951).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42. Robbins, S. P. & Judge, T. A.(2013). Organizational Behavior. 15th ed. Pearson.
  43. Varney, G. H.(1989). Building Productive Teams. San Francisco: Jossey-Bass Inc.